대구경북지역 섬유경기 동향
전국 섬유류 수출 증가율은 1.8%, , 대구·경북 증가율은 24.6%
자수, 벨벳 등 차별화직물 비중 27.6%로 확대 나타나
10년 이상 노후설비 2만대 수준, 차별화·고급화 제품 생산 한계
지난해말 기준 유틸리티 비용 월간 1억원 공장, 현재 100% 인상된 2억원
올 2008년 4월 섬유경기 실사지수(TBSI)는 지난해 4월 98.5 포인트 대비 10.4포인트 하락한 88.1로 나타나(100 이하 악화) 섬유경기 실사지수는 악화된 반면 환율상승에 따른 섬유류가 수출증가 상태를 보였다.
대구·경북지역 섬유류 수출(2008년 1~3월)은 지속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전년동기대비 섬유원료 19.2%↑, 섬유사 69.0%↑, 직물 18.0%↑, 섬유제품 4.9%↑를 보였다.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섬유원료, 섬유사는 경북지역에 생산이 집중돼 있는 가운데 전국 섬유류 수출 증가율은 1.8%였으나 대구·경북 증가율은 24.6%로 나타났다.
섬유사의 경우 폴리에스테르(69.9%↑), 나일론(516.7%↑), 기타(40.6↑)로 조사됐으며, 직물의 경우 인조장섬유직물 8.2%↑, 편직물 16.8%↑, 기타직물(교직물, 자수, 벨벳) 69.2%↑로 나타나 차별화 직물이 수출 증가세를 주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체 직물류 3억8천만 달러 가운데 88.4%인 3억3천7백만 달러가 인조장섬유직물(44.8%), 편직물(16.0%), 기타직물(자수, 벨벳 등 차별화직물 등 27.6%) 등으로 집계돼 밀라노프로젝트 사업추진으로 기타직물의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직 업계는 환율상승과 중국에게 잠식되었던 쉬폰 및 박지류 등 강연사 직물의 회귀현상이 합섬직물의 경우 세데니어 박지직물의 후가공제품 오더 증가가 두드러졌다.
대구․경북지역 섬유수출 증가 요인 가운데는 니트류가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ITY 싱글스판, 크리스탈, 베네치아 등의 오더가 꾸준히 주도하고 있는 상황.
그러나 135데니어 ITY 싱글스판 니트직물의 편중으로 수출경기 하락시 과당경쟁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으로 소재의 다변화룰 통한 고급화된 Knit직물의 경쟁력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제직설비는 2007년말 30,066대로서 2005년 대비 10.8%감소한 상황이며, 제직설비 감소가 진정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설비투자의 저조로 차별화·고급화 제품 생산이 한계에 다달았으며,10년 이상 노후설비가 2만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류 수출회복 등으로 투자의욕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저금리 정책자금(우대자금) 및 설비에 대한 담보비율을 현행 50%에서 확대를 요망하고 있다.
염색가공업계의 경우 연이은 유가급등으로 원부자재 가격 인상, 유틸리티 비용 증대에 따른 가공료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을 맞고 있다.
2007년 12월 대비 2008년 4월 원․부자재 가격변동에서 하락한 원부자재는 LNG 가스 3.1% 하락 뿐이었으며, 하이드로 45.1%↑, 스팀 44.7%↑, 가성소다 18.2%↑, 산성염료(Black) 15.8%↑,벙커C유 8.1%↑ 등 대부분의 원부자재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원부자재가격 상승요인은 유가상승→ 원료가격 인상→ 원부자재 가격 인상→ 유틸리티 비용 증대→ 바이어(Whole Saler) 관망세→ 공장가동의 딜레마(채산성 개선이 불투명)라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가공업계는 생지(In-Grey)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을 맞고 있다.
한편 대구·경북지역 섬유업계 경기동향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기동향 개요
경기동향 표본업체 구성은 제직업체 66개사, 염색 67개사, 무역 및 기타 7개사 등 140개 대상업체를 선정 분석했으며,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염색공업협동조합과 공동조사 했다.
조사기간은 2008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실시했으며, 유의수준 및 표본오차 값은 95%±0.5로 모집단은 대구․경북지역 제직업체 1,154개, 염색업체 240개사를 대상으로 했다.
▶섬유경기 종합 실사지수(TBSI)
〈표 -1〉전년동기 대비 TBSI 추이 변화
구 분 |
2007년 |
2008년 |
전년동기 4월 대비 | |||||||
3월 |
4월 |
3월 |
4월 | |||||||
지수 |
종합 |
지수 |
종합 |
지수 |
종합 |
지수 |
종합 | |||
섬 유 산 업 |
생산실적 |
121.7 |
101.8 |
109.4 |
98.5 |
99.1 |
89.8 |
99.1 |
88.1 |
10.3↓ |
내수경기 |
108.6 |
94.5 |
91.0 |
93.3 |
1.2↓ | |||||
수출경기 |
109.5 |
107.9 |
95.8 |
79.2 |
28.7↓ | |||||
재고소진 |
98.3 |
100.0 |
97.7 |
93.5 |
6.5↓ | |||||
인력수급 |
91.0 |
91.9 |
85.3 |
86.2 |
5.7↓ | |||||
자금사정 |
92.5 |
91.9 |
81.9 |
83.3 |
8.6↓ | |||||
단가현황 |
91.3 |
94.1 |
77.6 |
82.2 |
11.9↓ |
자료: “합섬산지 140업체 표본조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기획조사팀. 2008. 4.
█지역 섬유업계 동향
▶제직업계
유가상승이 가파른 고공 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원사가격 인상으로 연결돼 바이어(Whole Saler)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는 상황이다.
유가인상에 따른 원사가격의 불안정은 제직업계의 생지(In-Grey)공급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가공소마다 폼목별 생지확보에 사력을 다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염색업계
지난 3월 17일, 업체별 가공료를 인상을 추진했지만 치솟는 유가와 원부자재 가격, 유틸리티 비용(Utility Cost)을 감당할 수 없어 딜레마에 빠져있다.
바이어들은 품질은 한국의 우수한 것으로 요구하는 반면 가격은 중국 단가 요구하고 있다.
2007년말 기준 유틸리티 비용이 월간 1억원 정도인 공장에서 현재 100% 인상된 2억원/(월)의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등 감당할 수 없는 입장에 처해 있다.( Steam의 경우 지난 년말대비
44.7% 인상, 화공조제 하이드로 45,1% 인상)
▶섬유류 수출액 및 제직설비 현황
2008년 1~3월 현재 대구․경북지역 섬유류 수출액은 6억5천1백만$로서 전년 동기 5억2천2백만$에 비해 24.7% 증가 추세.
누계금액으로 대구지역은 전년동기 대비 8.1% 증가, 경북지역은 37.7%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동기간 對美 전체 섬유류 수출액은 7천7백만 달러로서 전년동기 7천만 달러 대비 10.5% 증가했으며, 대구․경북지역 전체 섬유류 총수출 6억5천1백만 달러에서 對美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2.0 수준이었다.
▶대구․경북지역 직기설치 대수
2007년말 현재, 대경지역 제직기 설치 대수는 전체 30,066대로 집계됐으며, 2005년 33,719대에
비해 1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섬산지 생산기반의 안정화 추세를 맞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표 -4〉대구․경북지역 직기 기종별 현황
(단위: 대, %)
구분 |
혁신직기 |
북직기 |
대수 |
설비 증감률 | ||
WJL |
AJL |
RPL | ||||
2005년 |
17,316 (51.4) |
6,171 (18.3) |
6,611 (19.6) |
3,621 (10.7) |
33,719 (100.0) |
'01년 대비 37.8↓ |
2007년 |
15,181 (50.5) |
5,612 (18.7) |
5,697 (18.9) |
3,576 (11.9) |
30,066 (100.0) |
'05년 대비 10.8↓ |
자료: “2007 섬유산업시설현황 전수조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2007. 12.
직기 노후도의 경우 10년 이상된 직기의 분포도에서 동기간 74.0%→76.7%로 노후도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표 -5〉 주력 기종의 직기노후도 현황
(단위: 대, %)
구분 |
직기 노후도 구분 |
계 | |||
1-3년(‘07-’05) |
4-6년(‘04-’02) |
7-9년(‘01-’99) |
10년이상(‘98년이전) | ||
2005년 |
624(2.0) |
3,458(10.8) |
4,196(13.2) |
23,614(74.0) |
31,892(100.0) |
2007년 |
481(1.8) |
929(3.5) |
4,762(18.0) |
20,351(76.7) |
26,523(100.0) |
자료: “전게서”, 2007.
▶품목별 수출 동향
2008년 3월까지의 Polyester 직물의 수출 현황은 전년 동기대비 7.9% 증가한 1억5천만불을 수출하였으나 지난 2월까지의 상승세가(9.4% 증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수량은 전년 동기대비 0.9% 감소한 반면 수출 단가는 계속 상승세를 이어 가고 있었다. (1~2월: US$ 8 37/kg → 1~3월: US$ 8 51/kg)
〈표- 6〉대구․경북지역 폴리에스테르 직물수출 현황(HS)
(단위: 천$, 천㎏, %)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7 (1-3월) |
2008 (1-3월) |
전년 동기대비 | |
계 |
금 액 |
770,055 |
631,877 |
648,692 |
139,669 |
150,658 |
7.9↑ |
수 량 |
109,772 |
83,878 |
77,829 |
17,857 |
17,701 |
0.9↓ | |
평균단가 |
7 02/kg |
7 53/kg |
8 33/kg |
7 82/kg |
8 51/kg |
8.8↑ |
자료: “품목의 수출입 HS기준”, 「섬유정보센터 통계자료」, 2008. 4
Nylon 직물의 수출 현황은 전년 동기대비 20.9% 증가한 7백4십7만불을 수출했지만 지난 1~2월 증가치인 36.0%에 비해 증가폭이 상당히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수량 누계치에서도 1~2월 20.2% 증가에서 1~3월은 1.8% 감소로 조사돼 수량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수출 단가는 크게 상승해 US$ 10 55/kg으로 2월의 US$ 9 30/kg보다 13.4% 상승했다.
〈표- 7〉대구․경북지역 나일론 직물 수출현황(HS)
(단위: 천$, 천㎏, %)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7 (1-3월) |
2008 (1-3월) |
전년 동기대비 | |
계 |
금 액 |
36,204 |
38,619 |
30,872 |
6,181 |
7,470 |
20.9↑ |
수 량 |
4,844 |
5,185 |
3,334 |
721 |
708 |
1.8↓ | |
평균단가 |
7 47/kg |
7 45/kg |
9 26/kg |
8 57/kg |
10 55/kg |
23.1↑ |
자료: “품목의 수출입”, 「전게서」, 2008. 4.
합섬 교직물의 수출 또한 전년 동기대비 2.0% 증가한 1천6백9십만 달러를 수출, 수출 증가폭이 주춤하고 있으며, 수량 감소폭도 지속되고 있다.
수출 단가는 2월 대비 약 보합세인 US$ 13 31/kg을 유지.
〈표- 8〉대구․경북지역 합섬 교직물 수출현황(HS)
(단위: 천$, 천㎏, %)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7 (1-3월) |
2008 (1-3월) |
전년 동기대비 | |
계 |
금 액 |
76,229 |
75,308 |
80,249 |
16,607 |
16,933 |
2.0↑ |
수 량 |
7,432 |
6,206 |
6,335 |
1,318 |
1,272 |
3.5↓ | |
평균단가 |
10 25/kg |
12 13/kg |
12 67/kg |
12 60/kg |
13 31/kg |
5.6↑ |
자료: “품목의 수출입”, 「전게서」, 2008. 4
▶니트 직물
니트직물은 전년 동기대비 16% 증가한 5천9백만불을 수출 했지만 2월의 21.7% 증가에 비해 대폭 감소했다.
수량은 2월 대비 증가 폭이 감소( 20.0% → 15.2%)했으며, 수출 단가 또한 2월 누계인 US$ 5 02/kg에서 3월 누계 US$ 4 99/kg으로 소폭 하락했다.
〈표- 9〉대구․경북지역 니트 직물 수출현황(HS)
(단위: 천$, 천㎏, %)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7 (1-3월) |
2008 (1-3월) |
전년 동기대비 | |
계 |
금 액 |
172,013 |
172,013 |
245,196 |
50,881 |
59,039 |
16.0↑ |
수 량 |
31,443 |
36,367 |
47,976 |
10,262 |
11,820 |
15.2↑ | |
평균단가 |
4 68/kg |
4 73/kg |
5 11kg |
4 96/kg |
4 99/kg |
0.6↑ |
자료: “품목의 수출입”, 「전게서」, 2008. 4.
▶섬유업계 가동률 현황
〈표 -10〉 섬유업계의 가동률 현황
구분 |
월간 가동률 |
년중 평균가동률 | ||
제직업계 |
염색업계 | |||
2005년 |
83.3 |
73.9 |
78.8 | |
2006년 |
85.0 |
76.8 |
80.9 | |
2007년 |
1월 |
87.0 |
73.6 |
81.5 |
2월 |
84.2 |
67.6 | ||
3월 |
87.6 |
82.0 | ||
4월 |
88.5 |
82.1 | ||
2008년 |
1월 |
86.5 |
72.1 |
- |
2월 |
85.3 |
67.4 | ||
3월 |
87.5 |
80.0 | ||
4월 |
88.1 |
81.4 |
자료: “합섬산지(2008. 3-4월) 140업체 표본조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2008. 4.
섬유업계의 종합가동률은 2008년 3월 84.6%→ 4월 85.5%로 가동률 상승 추세를 보였지만 원사가격 인상과 각종 에너지 비용상승 등으로 가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염색 가공업계(원․부자재 가격 변동) 동향
올해 들어 대구염색관리공단의 에너지 사용량 가운데 공업용수는 전년 동기대비 3.2% 감소, 증기 5.3% 증가, 전기는 2.9%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월별 에너지 사용량(비산염색관리공단)
(단위: 톤, ㎥, Mwh, 증감율(%))
구분 |
공업용수(ton) |
증기(㎥) |
전기(Mwh) | ||||
2006년 |
23,136,458 |
2,017,567 |
251,859 | ||||
2007년 |
25,367,280 |
2,226,368 |
279,963 | ||||
월별 |
|
2007년 |
2008년 |
2007년 |
2008년 |
2007년 |
2008년 |
1월 |
1,934,352 |
1,924,973 |
203,713 |
202,796 |
22,205 |
23,403 | |
2월 |
1,900,000 |
1620,348 |
172,277 |
176,312 |
18,996 |
20,254 | |
3월 |
2,165,477 |
2,264,221 |
183,223 |
209,906 |
25,199 |
24,655 | |
계 |
5,999,829 - |
5,809,542 (-3.2) |
559,213 - |
589,014 (5.3) |
66,400 - |
68,312 (2.9) |
자료: “대구염색관리공단“, 2008. 4.
2007년 12월 대비 2008년 4월 원․부자재 가격변동에서 하락한 원부자재는 LNG 가스 3.1%인데 반해 상승한 원부자재는 염료(Black)산성 15.8% 상승, 하이드로 45.1%, 스팀 44.7%, 가성소다 18.2%, 벙커C유 8.1% 등 전반적으로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원부자재 가격변동 동향
〈표 -12〉각종 원․부자재 가격변동 현황
(단위: 원)
구 분 |
2007. 12. 20 |
2008. 3. 6 |
2008. 4 28 |
증감율(%) (2007.12월 대비) | |
염료 |
Blue56 |
5,900 |
6,000 |
6,830 |
15.8↑ |
Black산성 |
4,000 |
4,100 |
4,400 |
10.0↑ | |
화공 조제 |
하이드로 |
1,320 |
1,450 |
2,050 |
45.1↑ |
가성소다 |
192 |
227 |
227 |
18.2↑ | |
PU약품(나일론) |
2,400 |
2,400 |
2,400 |
- | |
톨루엔(나일론) |
940 |
1,020 |
1,020 |
8.5↑ | |
에너 지 |
벙커C유 |
588.30/ℓ |
588.20/ℓ |
636.0/ℓ |
8.1↑ |
LNG가스(㎥) |
577.94/㎥ |
559.99/㎥ |
559.99/㎥ |
▼ 3.1 | |
스팀(Steam) |
19,700/톤 |
19,700/톤 |
28,500/톤 |
44.7↑ | |
기타 |
비닐(kg) |
2,150 |
2,150 |
2,500 |
16.3↑ |
공업용수 |
용수:180, 하수도이용료:250 물이용 분담금: 140 |
용수:200, 하수도이용료:250 물이용 분담금: 150 |
용수비 17.1%인상 |
주: 구분에서 표시된 단위 외에는 모두 kg, 대구경북염색공업협동조합, 2008. 4.
█섬유류 수출 통계 [MTI 산자부 집계방식, 광역집계방식]
▶ 대구․경북지역 섬유류 수출 통계
〈표 -16〉대구․경북지역 섬유류 품목별 수출실적
(단위: 천$, %)
구 분 |
2007년(1-3월) |
2008년(1-3월) | |||||
대구 |
경북 |
계 |
대구 |
경북 |
계 | ||
섬 유 류 |
섬유원료 |
1,560 |
90,243 |
91,803 |
2,024 ( 29.7) |
107,387 (19.0) |
109,411 (19.2) |
섬유사 |
4,341 |
69,823 |
74,164 |
3,752 (-13.6) |
121,527 (74.1) |
125,279 (68.9) | |
직 물 |
208,955 |
114,878 |
323,833 |
227,737 ( 9.0) |
154,117 (34.2) |
381,854 (17.9) | |
섬유제품 |
16,420 |
16,172 |
32,592 |
16,414 ( -0.0) |
17,770 ( 9.9) |
34,184 ( 4.9) | |
계 |
231,276 |
291,116 |
522,392 |
249,927 ( 8.1) |
400,801 (37.7) |
650,728 ( 24.6) |
자료: “품목의 수출입”, 「전게서」, 2008. 4.
주 : ( )는 전년도 대비 증감률.
▶ 전국 섬유류 수출 통계 [MTI 산자부 집계방식, 광역집계방식]
〈표 -17〉전국 섬유류 품목별 수출실적(MTI)
(단위: 천$, %)
구 분 |
연도별 |
대구․경북 (B) |
비중 (B/A) | ||
2007년(1-3월) |
2008년(1-3월)(A) | ||||
섬 유 류 |
섬유원료 |
259,327 |
273,940( 5.6) |
109,411 |
40.0 |
섬유사 |
344,159 |
358,156( 4.1) |
125,279 |
35.0 | |
직 물 |
1,771,334 |
1,807,112( 2.0) |
381,854 |
21.1 | |
섬유제품 |
686,300 |
676,982(-1.4) |
34,184 |
5.0 | |
계 |
3,061,120 |
3,116,190(1.8) |
650,728 |
20.9 |
자료: “품목의 수출입”, 「섬유정보센터 통계자료」, 2008. 4.
주: ( )는 전년도 대비 증감률.
<대구 - 김진일 기자>
‘2009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 - 3월 11일, EXCO 전관 ‘팡파르’ (0) | 2009.03.07 |
---|---|
한국봉제기술연구소- R&BD 전문의 ‘스포비즈연구센터(Spo-Biz)’ 구축사업 (0) | 2008.10.26 |
대구·경북지역 섬유 전략산업의 현황과 신성장 미래비전 (0) | 2008.04.23 |
중소 섬유기업, 신소재 원사 개발 열기 확대 (0) | 2008.04.09 |
한국섬유마케팅센터(KTC)가 전하는 ‘브라질, 변화하는 Color Trend', '중 (0) | 200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