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봉제기술연구소- R&BD 전문의 ‘스포비즈연구센터(Spo-Biz)’ 구축사업

뉴스 섹션/기획기사(섬유스트림 총괄)

by 텍스뉴스 Texnews 2008. 10. 26. 00:10

본문


한국봉제기술연구소- R&BD 전문의 ‘스포비즈연구센터(Spo-Biz)’ 구축사업 본격 추진

고기능성 화섬직물 생산․연구 인프라 적극활용, 첨단 스포츠의류 연구기반 구축

‘이시아 폴리스’ 內 부지 2,545㎡, 연면적 5,454㎡ 규모(지하 1층, 지상 5층)로 건립

스마트 스포츠의류 ‘연구-생산-판매’ 종합지원서비스 구축, 스포츠산업 경쟁력강화 포커싱

‘세계1위 스포츠의류생산기지’,‘세계최고 스포츠제품 R&DB 연구센터’,‘세계3대 스포츠제품 브랜드 창출’


 



한국봉제기술연구소(이사장 김시영, 소장 류종우)가 고기능성 화섬소재의 생산-연구개발 인프라로 집적된 지역섬유산업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스포츠 의류제품 연구개발 및 생산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해 R&BD전문의 ‘Spo-Biz연구센터’설립을 본격 추진한다.

한국봉제기술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지난 2007년 4월 ‘스포비즈연구센터 구축사업 제안’에 이어 12월에 국비 20억원 확정 및 올 10월 경북도비 보조금 교부 완료됨에 따라 이달 중 대구시 출연금 신청·교부를 완료하고 1차년도(2008년) 사업을 가시화시켜나간다.

‘스포비즈연구센터’는 대구시 동구 봉무동 이시아 폴리스 내에 부지 2,545㎡, 연면적 5,454㎡ 규모(지하 1층, 지상 5층)로 건립되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국비 60억원, 대구시비 40억원, 경북도비 10억원, 민자 5억원 등 총 115억원을 투입해 스마트 스포츠의류 연구센터 구축 및 장비도입, 연구개발 등 주요사업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연구소는 우선 1차년도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스포비즈센터 구축사업’ 제1차 운영위원회를 개최하는 한편  (주)이시아폴리스와의 입주 및 분양계약 체결과 건물 설계 용역 발주 를 이달 중으로 마무리짓기로 했으며, 2009년 2월 건축설계를 완료키로 했다.

‘스포비즈연구센터’ 건립 추진은 한국이 국제적으로 올림픽, 월드컵대회 개최 및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 대회 등을 유치한 스포츠 강국이지만 이에 걸 맞는 스포츠 의류산업 연구기반은 열악한 실정임에 그 설립 당위성이 어필되고 있다.

특히 센터가 위치하는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은 우수한 Up-Middle Stream의 생산․연구기반 인프라가 조성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 완제품 생산의 완성단계인 패션․봉제분야 인프라 및 비즈니스 환경의 부재로 국제 시장경쟁에서 부가가치 창출 및 역량강화의 한계에 봉착해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화섬직물생산의 70%가 넘는 대구지역 고기능성 화섬직물 생산․연구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첨단 스포츠의류 연구기반을 구축할 필요성이 강력하게 요구돼 왔었다.

또한 패션의류제품은 타제품에 비해 변화 속도가 매우 빨라 최종 수요자의 니즈에 맞춘 기획․디자인-봉제-마케팅 연계체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할 뿐아니라 이를 위한 패션․봉제분야 완성형 생산․연구 시스템구축과 내수시장 확보 및 수출 증대를 위한 글로벌한 비즈니스 지원 기능 신설이 급선무였다.

연구소는 R&BD전문 Spo-Biz연구센터 설립을 통해 스마트 스포츠의류의 연구-생산-판매에 이르는 종합적 지원서비스를 구축하는 한편 이를 통한 스포츠산업 경쟁력강화 및 지역산업역량강화에 기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스포비즈연구센터는 7대 세부 실행목표를 설정해놓고 있다.

‘세계적 스포츠의류(제품) 브랜드 개발’을 기본 목표로 ‘2011 대구 IAAF 스포츠마케팅(제품-의류기반)기반구축’을 표적시장으로 한다.

‘고기능성 신소재 및 첨단봉제기술융합 스포츠 R&D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R&D 목표로 ‘고기능성 스마트스포츠의류 생산 협업체제구축 및 산업거점 확보’를 통해 생산구조혁신을 꾀할 계획이며, ‘스포츠특화 Down Stream Upgrade를 통한 지역섬유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확대시켜나간다.

이와함께 ‘스포츠의류 R&DB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전문인력의 육성과 ‘글로벌 스포츠의류 브랜드를 통한마케팅활동 및 지역스타기업 발굴육성’으로 비즈니스 역량을 대폭 강화시키는 등으로 스포비즈센터의 최종 전략 목표라 할 수 있는 ‘세계1위의 스포츠 의류 생산기지 달성’과 ‘세계 최고의 스포츠제품 R&DB 연구센터 구현’ 및 ‘세계3대 스포츠제품 브랜드 창출’을 구현해나간다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Spo-Biz 연구센터 구축’,‘특수봉제장비 및 성능평가 장비구축’,‘연구개발’,‘다기능 기술보유 인력양성’,‘미래지양형 비즈모델 제시’ 등 주요 사업 분야별 세부목표(정성적·정량적 목표)치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가운데 1단계(2008년~2010년)로 인프라구축 및 자립화 기반을 달성할 예정이며, 2011년 대구 IAAF(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및 브랜드 인지도 상승을 터닝 포인트로 2011년부터 글로벌 R&DB 허브로의 도약과 패션스포츠도시로 입지를 구축한다는 비전을 그려놓고 있다.

스포비즈연구센터가 위치할 ‘이시아폴리스’는 섬유패션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성장 가능성이 점쳐지는 곳으로

이시아폴리스 내 입주희망체 현황에서 섬유제품 제조업체(원사/원단, 직물)가 61.3%,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체(패션/봉제)가 38.2%, 기타 업종이 0.5%로 나타나는 등 Up-Middle-Down Stream의 전 스트림에 걸친 통합 밸류체인형 산업 구조 형성이라는 잠재력을 가진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섬유산업 시설의 집적으로 공간적 접근성, 활동 및 사업시너지 효과의 극대성 등에서 가장 입지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한국봉제기술연구소의 연구개발․기술혁신시설의 효율적 활용 및 기획․디자인-봉제-마케팅 연계체제 구축이 용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구소는 ‘Spo-Biz 연구센터’ 구축사업의 이 같은 비전과 청사진을 착실히 수행키 위해 연구센터 재원확보 계획을 비롯한 사업 운영계획도 수립했다.

우선 연구센터 재원확보 계획이다.

 

 

정부 관련 부처(지식경제부, 대구시, 경북도 등)의 R&D 정책 사업 발굴 및 기획을 통해 관련 과제를 도출하는 한편 사업의 추진으로 지원비를 확보하는 동시에 연구센터 입주 업체 임대 수수료 수익과 스포츠의류 및 고기능·고감성의류 판매장을 통한 자체 생산품 판매,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KOLAS)의 공인시험소 인증 획득을 통한 시제품 평가 수수료 사업 등으로 자립기반을 강화시켜나갈 계획이다.

‘스포츠제품 R&D 사업’의 경우 첨단 고기능성과 패션을 융합한 스포츠의류 신기술·신제품을 개발하고 스포츠 소재발굴, 표준화, 품질인증, IPR(브랜드 설계 및 의장등록)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한편 스포츠의류를 비롯한 스포츠제품의 생산 및 표준 규격을 개발해 품질 및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를 추구한다.

브랜드 개발 및 런칭과 프로모션, 전시회, 사업제휴, 신시장개발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제품 비즈니스 추진사업’.

스포츠산업진흥법에 근거둔 2011 IAAF 스포츠제품 비즈니스 사업의 추진과 통합브랜드 개발 및 인지도 제고를 바탕으로 2011 IAAF 진행과 그 궤를 같이 해 대회 후 글로벌 브랜드로 런칭시킴과 동시에 전 시민과 국민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마케팅 활동으로 전개해나간다는 것.

‘스포츠제품 기업지원(Staffing) 사업’도 추진된다.

패션·봉제업체를 대상으로 스포츠제품 브랜드의 포트폴리오와 산지 거점확보를 위해 시제품을 비롯한 Branding, 생산 및 기술을 지원하며, 성능평가, 비즈니스 지원 및 선도(스타)기업 육성을 병행전개한다.

전문인력양성과 창업보육지원을 지원하는 ‘창업보육 및 인력양성사업’도 계획에 포함시켰다.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추진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스포츠제품 R&D, 비즈니스 전문인력과 외국어 능력, 스포츠, 패션·봉제전문능력, 마케팅 전문능력 등을  갖춘 실무 전문가를 육성한다.

 

 

 

또 스포츠제품 비즈니스 벤처창업 보육과 스포츠제품 브랜드 개발 및 육성을 위한 ‘창업보육지원사업’도 추진, 하청 영세 패션·봉제 업체의 스포츠제품 비즈니스 전문기업으로 업종 전환을 지원한다.

한편 내년 9월 공사착공 및 2010년 3월 준공을 목표로하는 ‘Spo-Biz 연구센터’가 본격 가동, 활성화될 경우 시너지효과 또한 적잖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선 미국, EU등 선진국과의 FTA 협상체결에 따른 고부가 의류제품의 수출증가 기대되는 등 고기능성 스포츠·캐주얼 의류의 기획, 연구개발, 생산, 마케팅 등 일괄 지원 체제 구축을 통해 수출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가생활의 확대와 고령화 사회 진입 등 라이프 스타일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섬유․의류산업의 Blue Ocean으로 부각되고 있는 스포츠 의류시장을 지역섬유산업의 핵심산업으로 육성시킴은 물론 지역의 원사, 제직, 염색가공산업 등 기존 섬유산업 인프라 기반의 고기능·고부가가치 스포츠의류제품 개발을 통한 지역섬유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시아 폴리스 내 입주한 패션․어패럴기업에 대한 기술·생산·마케팅 등의 맞춤형 밀착 지원을 통한 지역 의류산업 활성화와 동남권 어패럴 클러스터 조성의 전초기지 역할 마련이란 비전도 함께 제시되고 있다.




<대구 - 김진일 기자>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