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 위기에 봉착한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의 이정표
섬유·패션 산업계 內 역할론·존재감 빠르게 ‘희석’
기획에서 비즈니스·마케팅에 이르기까지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의 섬유패션산업 스트림 전반에 걸친 디렉터 역할론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 연구원 안팎으로 불거진 내홍으로 인해 산업계 내에서 그 역할론과 존재감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대구·경북지역에는 섬유·패션 스트림에 따라 섬유 관련 기관·단체 다수가 있지만 그 어느 곳도 패션연의 당면 사태에 대해 관심이 없다.
산업계 스트림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패션연.
섬유패션업계는 당면 현안에 대해 괜한 입방아에 오르는 것 자체를 꺼리며, 거리두기를 이어가고 있다.
‘독자적으로 해법과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무언의 입장을 견지할 뿐이다.
산업부와 대구시 또한 ‘기관 스스로의 자구책 마련’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 3월 22일,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공공운수노조 대경본부, 대구참여연대, 대구경실련)’는 성명서를 통해 ‘산업부와 대구시가 기관해산을 조장한다 의혹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복수의 학계 관계자는 “사태 해결의 당사자들은 ‘기관 스스로’,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해결 방안을 제시해 주기만 기다릴 뿐이다. 상호 상충되는 입장만을 고수하며,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패션연의 장기 파행으로 말미암아 산업계의 ‘골칫거리’ 내지 ‘외톨이’로 취급받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패션연의 위기가 곧 섬유패션산업의 위기라는 인식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심각한 ‘불감증’ 상황이란 게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며, “섬유패션산업계의 강 건너 불구경을 멈추고, 현안을 타개할 주체로 나서야한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의 운영중단을 ‘외면’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스스로 포기한 데 따른 책임론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거슬러 올라가면,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부설, 패션디자인연구센터’를 초석으로 국내 및 지역 섬유패션업계의 요구로 막대한 혈세를 투입해 ‘한국패션센터’가 건립됐으며, 한국봉제기술연구소와의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 어떠한 이유에서든 작금의 사태를 임 함에 있어서 편협한 ‘불통’과 일방적인 ‘떠넘기기’로 국가와 산업계의 중요자산을 셧-다운시킬 권한은 없다.
단지, 사태 해결의 주체들은 패션연의 빠른 정상화를 위한 ‘의무’와 ‘책임’뿐이다.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좌표는 ‘좌고우면’할 상황이 아니다.
급변하는 글로벌 마켓 환경에서 생존을 향한 선제적 대응방안 모색을 위해 산업계의 역량결집이 수반돼야 함에도 엇박자를 반복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태해결의 주체들은 그 어디에도 없고, ‘책임’과 ‘해결권자’에 대한 메아리 없는 공방전만 이어지고 있을 뿐이다. 산업계에서 패션연의 입지가 봉괴되고 있다”며, “패션연 정상화를 위한 전향적 자세 전환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현재, 패션연은 이사장과 원장이 공석인 채 선임직 이사 3명과 당연직(산업부, 대구시, 경상북도) 이사만 있으며, 연구원 정원 65명 가운데 휴직자 7명을 포함해 29명이 남아 있다.
좌초 위기에 놓인 패션연의 새 이정표 마련과 섬유패션산업 스트림의 역할론을 재확립하기까지 그렇게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을 듯하다.
산업계 및 사태 해결 주체들의 설득력 있는 ‘자구책 마련’과 소통을 통한 ‘협상의 묘미’ 발휘로 패션연이 한국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에 희망의 불씨를 재점화할 수 있는 접점 마련을 기대한다.
<김진일 기자>
좌초 위기에 봉착한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의 이정표 > FOCUS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정부의 탄소중립·친환경 지원제도권에서 외면받고 있는 재생화이버 업계 ‘뿔났다’의류용·식품용, 무색 PET병 업체에 편중된 정부지원, 재생화이버 기업도 챙겨야 (0) | 2022.06.13 |
---|---|
대구시설공단, ‘제봉뜰 두류봉제지식산업센터’ 입주자 모집에 ‘0’ (0) | 2022.04.18 |
HUGO BOSS와 라이크라 컴퍼니 – 탈산소화 원사 ‘HEIQ AEONIQ’의 게임 체인저 합류 (0) | 2022.04.11 |
산업부 ‘지역활력프로젝트’로 K-방역 경북, 보건·안전 섬유 산업생태계 활력에 마중물, 주력제품 고부가화로 기능성 섬유산업 육성 단초 마련 (0) | 2022.03.25 |
대구·경북 화섬직물산지 – 회복세 속에서 원가부담 가중이 ‘발목’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