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축용다기능 하이브리드 섬유제품개발’ 1차년도 ‘지붕 천정재용 섬유

통계 및 공지/테크니컬텍스타일-Technical Textile

by 텍스뉴스 Texnews 2010. 11. 11. 00:40

본문

‘건축용다기능 하이브리드 섬유제품개발’ 1차년도 ‘지붕 천정재용 섬유제품 개발’ 완료

‘투습방수’ 기반의 쾌적성·에너지 효율화 기반의 탄소 제로 및 환경과 공생에 기여 전망

 

 

최근 친환경 녹색성장이 글로벌 마켓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지붕 천정재용 섬유제품인 건축용 다기능 섬유 신제품 개발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건축용 소재분야에 있어서도 이산화탄소 배출저감을 위해 단열, 방습 기능이 한층 강화되는 등 정책 이행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대내·외 환경변화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섬유개발연구원(원장 이춘식)은 지식경제부가 추진하는 지역산업기획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건축용 다기능 하이브리드 섬유제품 개발’ 1차년도(기간 : ‘09. 10∼’10. 9) 사업(지붕 천정재용 섬유제품 개발)을 추진해 성공리에 마무리 했다.

건축용 다기능 섬유제품은 건축물 축조시 햇빛, 빗물, 오염공기 등 외부의 자연환경으로부터 쾌적한 주거 공간 창출을 도모하는 기능성 섬유 내장재로 단열, 투습, 방수 등 복합기능을 가지며, 건물의 에너지 저감에 기여가 예상되고 있다.

주택 및 건축물의 벽체, 지붕 등에 사용되는 섬유제품을 지칭하는 건축용 다기능 섬유제품의 최대 요구특징은 실내 쾌적성과 냉·난방 에너지 저감에 있다.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미세먼지, 유해성 가스(VOCs) 최소화를 통한 실내 환경개선과 곰팡이, 바이러스, 박테리아를 통한 알레르기성비염, 천식을 방지하기 위한 실내 온·습도 컨트롤 기능이 요구되며, 냉·난방 에너지 소비 저감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통한 자원 효율화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 사업은 한국섬유개발연구원(원장 이춘식)을 총괄사업 추진기관으로 도레이첨단소재(주)와 원풍물산(주), (주)비에스지 등이 세부사업 주관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붕 천정재용 섬유제품 구성도>

구체적으로 투습·방수소재개발-도레이새한(주), 기능성단열소재개발-원풍물산(주)과 (주)윈코, 복합화 가공기술개발-(주)비에스지, (주)상협산업, 화성산업(주)가 수행하고 있으며, 영남대학교, 한라대학교 등은 시제품 물성분석, 공정요소 기초자료, 제품 기능향상 연구로 참여하고 있다.

개발된 지붕 천정재용 섬유제품은 투습방수기능과 단열기능 섬유 소재 및 제품으로 각각의 소재 단독 및 복합 형태의 제품으로 실제 건축현장에 사용될 예정이다.

 

 

 

 

                                                                      < 건축용 투습방수 및 기능성 단열재 섬유소재 및 제품 >

                                                                   

 

 

< 건축용 투습방수 및 기능성 단열재 섬유소재 및 제품 >

 

 

바야흐로 21세기의 주택과 건축물은 ‘투습방수’ 기반의 쾌적성과 편안한 공간설계는 물론 에너지 효율화 기반의 탄소 제로 및 환경과 공생할 수 있는 높은 단열성과 영구지속 가능한 거주주택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번 건축용 하이브리드 섬유소재의 개발과제는 섬유산업과 건축산업과의 융복합에 따른 연관기관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대외 기술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매년 국내 수요의 약 60% 정도인 300억원에 이르는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점진적인 수출마켓셰어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진일 기자>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