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섬유산업, 예산삭감 바탕 ‘자립화방안’ 강요 앞서 환경 제대로 파악할 때
섬유·패션 관련 ‘전문생산기술연구소’ - R&D 과제 확보 경쟁자 구도 문제
정보전달에서 마케팅지원까지, 각자 ‘개인플레이’- ‘특화기능 상실’ 우려돼
전국 연구기관 간 철저한 협력·Co-work 바탕의 예산지원 프로그램 바탕둬야
전문생산기술연구소를 비롯 정부예산지원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내 섬유관련 연구기관들의 ‘정체성 확립’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그 어느때보다 정부 관계부처의 면밀하고도 정밀한 상황 진단 및 대응이 긴급히 요구되고 있다.
예산지원의 칼자루를 거머쥐고 있는 정부.
이미 ‘자립화요구’를 단계적으로 강화시켜나가고 있을 뿐아니라 예산 삭감 규모 및 배정 관련 ‘요구단계’에서 ‘실천단계’로의 보폭을 빠르게 옮기기 시작했다.
연구기관(전문생산기술연구소) 대상의 ‘자립화방안’요구.
‘예산삭감’을 전제로 정부지원 ‘우산’에서 벗어나 대외 경쟁력을 갖게하겠다는 취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당장 이들 연구기관들은 ‘자립화’라는 미명 아래 ‘연구기관’도 ‘기업체’도 아닌 ‘돌연변이 연구기관’의 모습으로 만드는 결과를 낳게하고 있다.
‘애벌레’에서 ‘번데기’과정을 거쳐 ‘성충’에 이르는 ‘완전변태’과정이 아닌 ‘애벌레’에서 ‘번데기’과정을 건너뛰어 ‘성충’으로 거듭나게하겠다는 ‘불완전 변태’.
정부는 지금 섬유연구기관들에게 바로 ‘불완전 변태’를 강요하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
섬유업계의 연구·개발지원이 본연의 모습이지만 ‘자립화’를 성실히(?) 수행하기 위한 방편은 그리 많지 않아보이며,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황이다.
연구기관 운영 시스템 전반을 비즈니스 체제로 전환·대응하는 것.
연구기관 설립 당시만해도 업계 미보유설비 중심의 첨단 모델로 레이아웃됐지만 지금은 업계와 동등 수준 내지 오히려 마켓 대응이 뒤떨어지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인프라 구축에 있어 ‘업-그레이드’가 아닌 ‘다운-그레이드’로 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립화’ 대응은 곧장 마켓 필드 기업과의 경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기관’과 ‘업계’의 이 같은 ‘경쟁구도 형성’에 따른 ‘불협화음’으로 말미암아 업계로부터 인정받아야 할 연구기관의 체면은 그야말로 땅바닥에 내동댕이쳐지는 모양새.
스트림별 특화 아이템의 전문화를 기조로 설립된 섬유관련 연구기관들의 정체성 확립을 더욱 흐리게하고 있는 요소는 또 있다.
‘연구·개발과제 경쟁을 통한 기관 운영비 확보’.
매년 감축 반영되고 있는 국비 부족분 충당을 위해 연구기관 고유의 전문화 및 특화 환경을 고려치 않는 과제 쟁탈전을 치러야한다는 점이다.
섬유산업의 특성상 스트림 분야별 특화·전문화된 연구·지원분야의 경계선이 허물어진 지 오래다.
연구기관 간 ‘공조’,‘협력’,‘상생’의 구도가 아닌 ‘적자생존’바탕의 ‘적’이자 ‘경쟁자’ 그 이상·이하도 아닌 상황이다.
연구기관별 특화 기반의 대 업계지원에 대한 불명확성과 정체불명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있다.
정보지원사업, 연구개발사업, 국내·외 마케팅사업, 인력양성 및 교육사업 등 현재 국내 섬유관련 기관·단체에서 추진되고 있는 업계지원사업이 대혼란에 빠져있는 모습이다.
‘스트림간 연계’의 중요성을 내세우며, 연구기관·단체는 저마다 개별적으로 ‘원-스톱’개념의 사업을 전개하는 모습으로 더 이상의 특화전문기관은 필요치 않다는 모습이다.
각자 연구기관 스스로 정체성과 특화 포지션을 포기하는 한편 서로 각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포지션을 인정하려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와 ‘요소’들은 결국 귀로 듣지도, 입에 담지도 말아야 할 ‘섬유관련 연구기관 통합’이란 부끄럽기 짝이 없는 ‘화두’로 거듭나고 있다.
‘연구기관 통합’은 특화분야와 기능 수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과 연구기관 별 상호 협력·공조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일정부분 설득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지만 근본 원인은 ‘섬유산업의 성장환경’과 ‘연구기관의 설립 취지’가 제대로 정책에 반영되지 않았으며, 반영시키지 못했다는데 있다.
요컨대 섬유관련 전문연구기관들의 ‘정체성 혼란’의 원인과 책임에서만큼은 정부정책 입안자, 관련 연구기관 등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
정부는 ‘인-풋’ 대비 ‘아웃-풋’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연구기관 대상의 새로운 정책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기관 특화 컨셉 확립’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정부예산 삭감 바탕의 자립화’를 고집하기보다는 ‘시너지효과’ 확산을 유도해야 한다.
‘스트림연계’와 ‘마케팅’이 섬유산업의 변화 모멘텀을 마련해 줄 최후의 대안으로 집중 포커싱되고 있지만, 업계를 특화 지원해야하는 전문연구기관 각자가 ‘멀티플레이’를 고집함에 따라 ‘전문성’이 급격하게 뒤떨어진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R&D’사업의 추진에 있어서도 산업별 유연한 대응안 마련이 요구된다.
‘융합’을 통한 섬유산업의 영역확장과 입지 확대를 통한 변신을 외치기 이전에 선결돼야할 사항이다.
국내 섬유관련 연구기관 간 공조·연계를 강제 유도키 위한 별도의 사업추진 및 옵션요소의 부과가 그것.
당장 현 연구·개발사업 시스템으론 더 이상 ‘섬유관련 연구기관 간 협력’을 기대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이다.
전국 섬유관련 연구기관 대상의 ‘섬유연구 기관 코-웍 프로젝트’의 마련이다.
섬유산지의 특성 및 주력 아이템별 설립·운용되고 있는 기관의 차별화 아이덴티티 구축은 물론 섬유산업 내부의 연계·공조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IT, NT, BT 등 타 산업과의 융합을 시도한다는 자체가 설득력을 잃고 있을 뿐만아니라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해서도 그 시너지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섬유 연구기관 간 코-웍 체제가 제대로 수행될 경우 ‘전문연구기관 정체상 상실’이라는 지적은 물론 ‘유사 사업의 중복 추진’이라는 오명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며, ‘투자 대비 결과의 확대’는 자연스럽게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진일 기자>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FM Studio’, 실무형 인재양성 요람 (0) | 2009.02.03 |
---|---|
‘하이테크 섬유개발 인력양성’ - ‘3단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중점 (0) | 2008.12.16 |
영진텍스켐, 친환경 섬유코팅제 ‘수분산폴리우레탄(PUD)’ 마켓서 ‘관심 (0) | 2008.11.24 |
전북도, 11월 12일부터 14일, ‘탄소포럼, 부품소재 전시회’ 개최 (0) | 2008.11.11 |
중소기업 원사메이커들의 ‘특화소재’ - 마켓에서 ‘외손뼉’신세 (0) | 2008.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