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대구섬유산업전략산업진흥사업’ -4개분야 9개사업 추진 계획
기반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서비스, 인력양성 등에 1,006억원 소요
<편집자 주>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추진돼 온 일명 ‘밀라노프로젝트’ 1·2단계사업이 사실상 올해 종료된다.
대구지역 섬유산업은 ‘바이오’,‘나노’,‘메카트로닉스’사업 등과 지역의 대표 전략산업으로 선정된 가운데 내년부터 3단계 대구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을 본격 추진하게 된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추진될 3단계 사업의 추진 방향과 사업예산 책정 및 확보.
섬유업계의 최대 화두로 거론되고 있는 부분이다.
지역 업계에서는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를 사업추진주체로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세부사업 추진주체로 나선다.
국비 459억원, 지방비 306억원, 민자241억2천만원 등 총 사업비 1천6억2천만원의 예산 투입을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인프라, 기술개발, 기업지원서비스, 인력양성 등 중요 4개 카테고리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17일, 산업자원부와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는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 3단계 사업 추진계획에 따른 의견을 조율하는 자리에서 ‘섬유분야 3단계 대구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계획(안)’을 내놓았다.
업계가 요구·관철하려는 ‘파이’의 내용물, 크기 등과 중앙,지방정부 및 관련 기관 등이 제시하는 것과는 적잖은 갭이 포착되고 있다.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부 예산집행 부처의 통폐합에 따른 예산배정규모와 사업추진체계, 사업내용, 사업기간 등 전분야에 걸친 적잖은 변화도 예견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3단계 사업 관련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유연하고도 즉각 대응이 가능한 마스터플랜 기반의 시나리오를 짜내야할 형편이다.
당장 지역섬유산업 3단계 추진을 위해 공조 및 협력을 이끌어내야 할 대상인 ‘대구전략산업기획단’.
기획단 관계자는 3단계 사업의 추진에 앞서 ‘설득력 지닌 사안의 구성’과 ‘지역 공감대 형성’,‘ 실효성과 가능성 있는 사업의 구성’으로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예산 배정의 원칙을 기본으로 타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민간의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 산업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선 섬유산업은 IT,NT,BT 등 타 산업과의 융합과 교류, 공조를 통해 지금까지 가져온 한정된 섬유산업에 대한 시각과 카테고리를 벗어나는 동시에 섬유산업의 접목분야를 광역화할 수 있는 대응노력이 요구된다.
3단계 사업 추진 예산으로 제시된 1천6억원의 예산.
섬유업계는 턱없이 모자라는 예산이라는 지적이지만 정부, 기관, 단체 등에서는 타산업과의 융합을 바탕으로 산업자원부라는 한정된 예산확보 정부부처에서 전방위의 정부부처 대응이 요구된다는 입장이다.
3단계 지역섬유산업진흥사업이 지역섬유산업의 대외경쟁력 강화와 함께 미래 먹거리 창출의 원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기위해선 정부,기관·단체,업계 등 역량의 결집이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지는 3단계 사업 관련 4개 분야 9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통해 관련 업계에 이해를 돕고자 한다.
█ 사업계획 수립배경 및 목적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추진의 지원성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한 지역 섬유산업의 중장기 발전비전 수립 및 단계별 추진목표와 세부전략 등을 구체화
- 의류소재분야의 고기능화․차별화 전략수립 및 고부가가치화 : 기능성 직․편물에 대한 연구개발 기반 강화 및 선도기업군 발굴․육성지원
- 비의류용(산업용 포함)섬유 기반 강화 : 2006 9.2% →2012 20% →2017 30%
▶섬유산업의 주변 여건변화에 대응하고 신성장 잠재력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 한미 FTA 체결로 조성된 국제 교역환경의 변화 및 수출 여건의 개선 상황에 대응한 섬유산업 재도약의 기회로 적극 활용
-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대구유치를 계기로 스포츠 비즈니스 대응 지역섬유산업의 강점을 세계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글로벌 브랜드를 육성추진
- 고부가가치 생산 스트림 연계와 연관기술 개발을 통한 효율화와 수출 경쟁력 강화
█ 대구경북섬유산업 발전전략
대구경북섬유산업의 발전비젼
대구경북섬유산업의 단계별 발전 시나리오
█ 3단계 지역전략산업(섬유분야) 진흥사업 추진개요
사업과제 총괄표
- 사업과제수 : 9개
- 사업비규모 : 1,006.2억원(국비 459, 지방비 306, 민자 241.2)
사업 구분 |
세부사업 프로그램 |
사 업 명 |
사 업 비 (억원) | |||
국 비 |
지방비 |
민 간 |
총사업비 | |||
인프라 (기반 구축) |
전략산업육성 기반정비사업 |
섬유산업 경쟁력 |
22.72 |
70.44 |
31.24 |
124.40 |
지역특화센터신설 |
- |
- |
- |
- |
- | |
랜드마크형 인프라구축사업 |
Extreme Textile Hub 구축사업 |
14.00 |
43.40 |
19.20 |
76.60 | |
기술 개발 (R&D) |
지역전략산업 |
Extreme Clean |
32.00 |
32.00 |
21.40 |
85.40 |
지역전략기획 기술개발사업 |
Eco--Care 및 인체친화성 섬유제품 |
48.00 |
48.00 |
32.00 |
128.00 | |
혁신자원연계형 기술개발사업 |
섬유혁신자원 연계 기술개발 |
143.20 |
- |
48.00 |
191.20 | |
단기상품형 기술개발사업 |
시장주도 수요대응 기술개발사업 |
64.00 |
- |
21.60 |
85.60 | |
기업 지원 서비스 |
기술지원 |
- |
- |
- |
- |
- |
하이테크 섬유제품 마케팅 |
글로벌 마케팅 강화 사업 |
43.94 |
37.06 |
27.00 |
108.00 | |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사업 |
섬유연관 지식 서비스 산업 육성 |
53.9 |
45.1 |
33.00 |
132.00 | |
인력 양성 |
하이테크섬유개발 인력양성사업 |
산학연 컨소시움 개발인력양성 |
37.24 |
30.00 |
7.76 |
75.00 |
총사업비 |
459 (45.6%) |
306 (30.4%) |
241.2 (24.0%) |
1,006.2 |
█ 세부사업별 추진계획
Ⅰ.섬유산업 경쟁력 강화 기반정비사업
○ 사업목표
기 구축 연구개발 인프라의 유지, 보완, 개체 및 upgrade를 통해 신제품 개발, 시제품생산 지원, 연구개발 지원 등, 지속적으로 섬유업계를 지원하고 기 투자된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섬유산업의 신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을 완성하고자 함.
○ 사업의 필요성
- 섬유기업의 체질 개선 및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 구축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한 시제품 생산 지원과 산학연관 연계 클러스터구축에 의한 연구개발지원이 필수적임.
- 한미 FTA체결로 섬유산업의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반이 마련되고,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및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유치로 인하여 out-door 의류 및 고감성 고기능성 섬유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지역섬유업체들에 대한 핵심기술 지도, 제품개발에 대한 맞춤형 생산지원 등의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함.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세부 추진주체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 추진체계
|
산업자원부 |
| ||||||||
|
|
|
|
|
| |||||
|
대구광역시 |
| ||||||||
|
|
|
|
|
|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 ||||||||||
|
|
|
| |||||||
|
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
|
한국염색기술연구소 | |||||||
§ 방사, 제직분야 인프라 검토 | ||||||||||
§ 염색, 가공분야 인프라 검토 |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사업내용 : 지역섬유산업 경쟁력강화 기반정비 사업
- 1~2단계 조성된 인프라기반의 유지, 보완 및 융․복합 Fusion제품생산지원을 위한 설비 Up-grade
- 기 구축 연구개발 인프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신상품개발 지원
- High-tech 섬유 생산지원 체제 확충에 필요한 설비보완 및 개체
- 고부가가치 신상품 개발 지원을 위한 기 구축 설비의 기능 개선
- 연구개발 클러스터 구축 및 운영 : 신수요 창출형 섬유소재 연구개발 지원
- Human-tech 기반의 미래형 생산공장 표준 system의 개발
□ 사업기대효과
○ 섬유산업과 타산업과의 융․복합화에 의한 섬유 경쟁력 강화 및 시장 다변화 달성
- Hybrid형 첨단기술 및 killer application 개발 창출로 업체의 신제품 개발 및 핵심 기술확보 지원.
- Ubiquitous에 기반한 생산설비의 자동화, 첨단화 및 유지보수 system 개발
- IT와 융합한 염색 가공공정의 차세대 기술 개발
○ 기 구축 인프라의 업계 활용도 제고, 섬유업체의 신상품 개발 확대로 화섬산지의 체질 강화
○ 섬유공정별 스트림간 네트워크 강화 및 기 구축된 특화센터 간 협업을 통한 섬유기업의 경쟁력 강화
○ 청정생산공정지도진단을 통하여 염색산업의 친환경적 생산체제 구축 유도
Ⅱ.랜드마크형 인프라구축사업 (Extreme Textile Hub 구축)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Extreme Textile hub 구축을 통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초일류 기능성 제품 생산 지원
- 기구축한 상품화 기반기술과 스트림간 공정 연계 및 ET, BT, IT, ET 등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high-tech 섬유 소재부품화 영역 확대로 대외 경쟁기반 확보
- 섬유산업의 신성장 잠재력 극대화와 산업구조의 Innovation(Stream간 공동인증제 도입)
- 한․미 FTA 등 섬유산업 환경변화 부응한 섬유산지 Interface Industry로서의 신뢰성 강화
- Extreme textile로 특화된 첨단소재의 응용 및 적용 기술 신뢰성 확보 및 보급(異업종 교류강화)
○ 신성장 섬유산업을 위한 high-tech 고기능 섬유소재 및 관련제품 생산기술 기반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아이템 전환 및 전문기술인력 공급 필요
○ 지역 섬유산업의 1, 2단계 진흥 사업을 통하여 구축한 기존 주력 부문(직물, 염색가공 분야)의 고부가가치화와 고성장 분야(운송․수송용, 가정용, 스포츠․레져)로의 신규 진입을 확대하고, 감성 및 기능성 섬유 중심의 단계적인 연구개발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상품화 연구개발을 중점 추진
○ 선진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생산 및 임하청 기지화가 급속도로 전개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기술주도형 고성능 섬유소재부품의 국산화 필요
- 미국(유한킴벌리 : 군수용 wipers), 독일․EU(Rieter : 제조설비), 일본(Seiren : 반도체용 소재)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세부 추진주체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한국봉제기술연구소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사업내용 : ET, BT, IT, ET 등 타산업 경계영역을 공유하는 high-tech 산업용 소재부품화를 위한
Extreme textile 첨단소재의 신뢰성지원 Hub 구축
사업구분 |
사업내용 |
Extreme Tex-Hub구축 |
▫ 공간확보(필요시 부지매입 및 건물 신축), 특수장비구축 ▫ 고부가가치 제품(특수․산업용, 첨단 스마트 등) 연구개발 장비 ▫ 기능성 시제품 제작 및 기업 공동시설 지원을 위한 장비 도입 |
융합소재 및 의류제품 기술개발 |
▫ 자동차, 수송용 섬유소재 제품 개발 ▫ 전자, IT융합 산업용 섬유소재 부품 개발 ▫ 환경, Clean 제품 및 자가제어 정화용 섬유소재 제품 개발 ▫ 스포츠, 방재, 방호 섬유소재 제품 개발 ▫ 건강 및 의료 관련 차세대 신소재 제품 개발 |
신뢰성 지원 Hub 구축 |
▫ 제품의 성능평가 및 표준화, TBT 대응 인증평가 시스템 구축 ▫ 성능평가연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자재 도입 ▫ 최종 용도전개 영역과의 연계 인프라와 신뢰성지원 Hub 구축사업 - 협력 네트워크 간 시험분석 기반조성과 표준화 시스템 구축 - 하이테크 섬유제품의 품질 인증평가 시스템 구축 - 산업용섬유 소재부품의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
□ 사업기대효과
○ 지역섬유산업이 1, 2단계 사업을 통하여 구축한 합섬섬유의 상품화 기반기술과 ET, BT 및 IT와의 연계를 통한 high-tech 고기능 섬유소재 및 제품으로의 상품화 영역 확대로 세계적 경쟁기반 확보
○ 섬유산업 국가적 신성장 모멘텀으로서 일정한 역할 기여 및 지역 전략산업의 체질 강화
○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요소로서 high-tech extreme textile 소재의 생산기술 기반구축
□ 추진전략과 방법
가) Extreme textile 기술 인프라 구축
○ 특수․산업용, 첨단 스마트 등 고부가가치 제품 연구개발 장비 구축
- 기능성 소재화(1차 섬유집합체화) 연구개발 장비(Friction 정방기 등 3종)
- 첨단 기능성 소재의 소재부품화 연구개발 장비(Moquette, Donier직기 등 11종)
○ 첨단 장비의 운영기반 마련 및 장비활용의 고부가가치 부품화 연구개발
나) 신뢰성 평가 인프라 구축
○ 최종 용도(end-uses)별 내구성, 내환경성, cycle성 등 성능평가장비 구축
- 4영역 용도 제품군 : 운송․수송용, 환경․에너지용, 의료․위생용, 스포츠․보호용 제품군의
내산화환경 시험기 등 총 15종의 성능평가장비 구축
○ 제품 용도별 기본물성 D/B화, , Field적용 시험, 신뢰성 평가 model 수립
- 단일 부품소재의 물성평가, 현장적용과의 연관물성 분석, 제품별 신뢰성 평가 model개발
ⅰ) 운송․수송용 제품군
중분류 |
소분류 |
인프라구축․요소기술 |
장비 | |
외장용 |
기계적 제품보호용 기타(캐빈필터) |
기본성능 평가 |
내구성평가 가속시험설계 고장해석 |
내한성, 내열성 tester 등 다수 |
내장용 |
시트용 트림용, 안전용 |
ⅱ) 환경․에너지용 제품군
중분류 |
소분류 |
인프라구축․요소기술 |
장비 | |
환경정화용 |
대기정화․수질정화용 해양오염방지용 |
기본성능 평가 |
내구성평가 가속시험설계 고장메카니즘 해석 |
분진크기, 기공크기 tester 등 다수 |
에너지관리용 |
에너지저장․절감용 에너지변환용 |
ⅲ) 의료․위생용 제품군
중분류 |
소분류 |
인프라구축․요소기술 |
장비 | |
의료용 |
수술용, 혈액정화용 상처치료용 |
기본성능 평가 |
내구성평가 가속시험설계 고장메카니즘 해석 |
병원균, 초정밀여과능 tester 등 다수 |
위생용 |
위생용 헬스케어용 |
ⅳ) 스포츠․보호용 제품군
중분류 |
소분류 |
인프라구축․요소기술 |
장비 | |
스포츠 /레져용 |
스포츠용 레져용 |
기본성능 평가 |
내구성평가 가속시험설계 고장메카니즘 해석 |
화학물질 투과능, 침투성능 tester 등 다수 |
보호용 |
방호용 방진용 |
□ 추진일정
구분 |
사업추진내용 |
추 진 일 정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랜드마크형 인프라구축사업 |
Hi-tech Extreme 소재기술을 위한 인프라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재분야 국산화 지원 및 상품 소재 DB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정 설계 및 응용 기술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산설비 및 국산화 기술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재 기획 및 디자인 개발 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준화 및 인증평가 (신뢰성 Hub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Ⅲ.지역전략 선도기술개발사업 (Extreme Clean Textile 개발)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산학연 공동개발 시스템의 강화 : 적절한 기술개발과제의 도출, 치밀한 연구기획, 전문 생산기술연구소를 통한 간접 지원 등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함.
○ 선도적 기술우위를 점하기 위한 장기적 지속적인 R&D 사업의 효과 제고를 위해서는 대구 섬유기업의 기술능력의 획기적 개선이 필요함. 또한 섬유산업 내 선도기업 주도로 연관기업과 스트림(업종)간의 연계‧협력의 활성화는 지역 섬유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업임.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공동기술개발기관 : 전문생산기술연구소와 지역특화센터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사업내용 : Extreme clean textile 소재 및 제품 개발
사업 내용 |
사업 범위 |
나노입자 담지 기능성 클린섬유 제조 및 상품화 기술개발 |
○ 최적 나노입자 혼합율 및 Compound 조건 결정 ○ 단면형성용 Pack 및 spinneret결정 ○ Morphology제어기술개발확립 ○ 용도적합성 원사Recipe결정 ○ 나노입자 담지의 폴리머 개질을 통한 품질 확보 ○ Texturing, 제직공정조건의 제어를 통한 최적조건 확립 ○ 최적 금속나노입자 광증착 조건 확립 ○ 용도별 맞춤형 상품화 기술개발 |
섬유 및 의류 Recycle 섬유 제조 및 상품화 기술개발 |
○ Bottle to Fiber Recycle 기술 개발 - Polyester 제품의 회수 및 선별 시스템 구축 - Cleaning 기술 및 polymer 분자량별 분리기술 - 최적 압출, 고화, 권취를 통한 용융방사 기술 ○ Fiber to Fiber Recycle 기술 개발 - Cleaning 기술 및 Polymer 이종 폴리머, 첨가제, 착색제, 무기물의 분리, 제거 기술 - 고순도 폴리에스테르 원료 회수 기술 - 폴리에스테르용 최적 점도 달성 중합기술 - 최적 압출, 고화, 권취를 통한 용융방사 기술 ○ Recycle Polyester 제품인증 system 구축 - Recycle Network 기술 및 상품화전개 기술 - Eco Label 제품인증 기술 |
인체 및 환경친화적 자기응답형 LOHAS 신섬유제조 기술개발 |
○ Medical care 섬유소재 제조기술 개발 - Skin care, 항아토피, 인체친화형 천연항균소재, 천연염재 나노화 소재 ○ 환경응답 지능형 섬유소재 제조기술 개발 - IR/Thermal 가피소재, 스텔스 기능소재, 전자파차폐소재 - VP, SSP 등 Super soft 형상기억 천연섬유 소재 - 화생방 방호 소재 ○ 환경보존정화 Geotextile 제조용 경편시스템 개발 |
□ 사업기대효과
○ 친환경 기능성 섬유제조기술 확보 및 고부가가치제품으로의 생산기술 확립
○ 국제경쟁력 향상을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Ⅳ.전략기획기술개발사업 (Eco-Care 및 인체 친화성 섬유제품 개발)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전략적으로 중장기적 지구 환경부하의 저감을 위한 생분해성 원천소재의 연구개발 활성화의 필요
○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섬유산업에 첨단기술을 결합한 인체친화성 LOHAS 제품 개발 요구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사업내용 : Eco-Care 및 인체친화성 섬유제품 제조와 상품화기술 개발
- Eco-Care형 섬유제품 제조 및 상품화기술 개발
- 인체친화성 섬유제품 제조 및 상품화기술 개발
(비의류용(산업용섬유) 시스템 공정기술 개발, IT Textile 및 의류기술 개발)
사업 |
중점추진사업 |
제 1 과제 : Eco-Care 생분해성 섬유제품 (Eco-Care형 생분해 섬유 제조 및 상품화 기술 개발) |
○ Cellulose계 고분자 소재 제조기술 - 유전자 기술을 이용한 Cellulose 고분자원 연구 - Cellulose 유도체 설계 및 고효율 합성법 - 분자 모델링을 통한 Cellulose 용융 특성 - 나노기술을 이용한 복합화 기술 - 폐 자원으로부터 Cellulose 추출 기술 ○ Cellulose계 고분자 실용화 기술연구 - 생분해성 Polymer 열적거동 연구 - Polymer 용융방사 제조기술 개발을 위한 Rheology 연구 - 방사 가능형 용용방사 제조기술 개발 - 방사 안정성 제어기술 개발 ○ 의류 및 홈인테리어용 상품화 기술개발 - Cellulose Polymer 특성에 맞는 제직준비, 제직 요소화 기술 개발 - 용도별 최적 공정 기술개발 - 홈인테리어 및 비의류 용도별 상품화 전개 ○ 친환경 저에너지 가공 기술 및 혁신 공정 기술 - 고기능성 방염/방오/항균 환경친화형 염색가공기술 개발 -친환경공정을 통한 차별화 기술개발, 고차 가공기술 개발 |
제 2 과제 : LOHAS 인체친화성 섬유 제품 |
○ 쾌적한 Life Style 감성소재 - Temperature dependable Fabric, 온도 및 습도 등 환경 적응 소재, 인체 체온 조절용 PET 신소재 개발 - 고투습, 고방수, 고발수 및 수분조절 기능성 제품 - 환경 친화적인 탄성섬유, 온도조절 기능성 제품 ○ Easy Care 및 청결 기능성 섬유 제품 - 새로운 청결기능 원천소재 제품 - 새로운 Easy Care 소재 및 기능의 복합화 제품 |
사업 |
중점추진사업 |
제 2 과제 : LOHAS 인체친화성 섬유 제품 |
- 환경, Clean 제품 및 자가 제어 정화용 섬유소재 제품 개발 - 환경친화형 bio-polishing 섬유제품 개발 - 평가 및 신뢰성 확보기술 및 제품 ○ 건강과 인체 친화 첨단기술 접목한 감성 섬유제품 개발 - 천연소재 유래 인체 친화성 섬유제품 : 대나무,콩,키토산,우유,알긴산, PLA 등 - 자외선 차단, 전자파 차폐, 항균 방취, 축열보온, 리사이클링 원천 섬유 소재 - Bio(효소 등)기술과 연계한 환경 및 인체친화형 고감성 부여 섬유제품 - 환경 친화형 쾌적 가공기술 개발 ■ 비의류용(산업용섬유) 시스템 공정기술개발 - 산업용 방사설비 개발 - 고기능 인체친화형 염색가공기 개발 - 고속 다기능 IT 기술이 접목된 인공지능형 편성시스템 개발 ■ IT Textile 및 의류 기술 개발 - 텍스타일 기반의 위치기반감지센서 개발 - IT-wear 제․편직 공정기술 및 기계기술 개발 - 의류 인터페이싱기술 개발 - IT-wear 성능평가 및 표준화 |
□ 사업기대효과
○ Eco-Care 및 LOHAS 섬유 산업 스트림간 협력체제구축을 통한 섬유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의 전환하여 차기 지역전략산업 진흥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로 섬유산업을 미래 성장주도 산업 재육성
○ 의류용 섬유기술 기반인 미래형 Lifestyle 소재 분야는 수요견인 사업(market pull)을 발굴하고, Eco-Care 및 LOHAS 섬유 소재는 기술개발 중심의 사업 발굴
○ 향후 21세기 하이테크섬유의 개발과 제조공업의 다양화에 따른 고기능 및 고성능 Eco-Care 및 LOHAS 섬유생산에 기여함.
○ 고유 기술 창출로 일본 및 유럽업체와의 시장경쟁력 우위를 점함
Ⅴ.혁신자원연계형 기술개발 (섬유혁신자원연계 기술개발)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지역 섬유산업의 혁신 역량강화 및 산학연 연계를 통한 핵심역량 보유 기업 중심의 단기 기술개발 사업 지원이 요구됨.
○ 지역 핵심기술 보유 기업의 애로기술, 신기술 사업화, 핵심요소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단기간에 글로벌 경쟁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은 제품개발을 유도하고자 함.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사업내용 : 혁신자원 활용 신기술 개발과 글로벌 경쟁우위 기술개발
- 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관련 업체들과 산학연 클러스트를 형성하여 혁신(6T 기술) 연계를 통한 기술개발 수행
- 수출주도형 사업의 전환과 하이테크 의류 및 하이테크 산자용 섬유로의 발전을 위한 스트림연계 사업 수행
사업 |
중점추진사업 |
차별화 섬유 및 신기능성 제품 개발 |
▫ 신기술 융합 스마트 섬유소재(제품)개발 : IT, BT, NT 기술 융합 감응성, 신호 전달 신기능이 있는 소재 ▫ 로하스(LOHAS) 쾌적감성 제품 개발 - 건강과 환경 친화를 기반기술로 채택한 첨단기술 접목 감성 섬유제품 개발 - 인체 및 환경친화형의 자외선 차단제, 전자파 차폐제, 항균 방취제, 축열보온제, 리사이클링 가공제 개발 - Bio(효소 외)기술과 연계한 환경 및 인체친화형 고감성 부여 섬유제품 개발 ▫ 고기능성 제품개발을 위한 첨단화, 고차 가공기술 개발 ▫ 산업용 섬유 설비 공정기술 개발 ▫ 신기능성 차별화 홈인테리어 섬유소재 및 제품 개발 |
차세대 신산업 핵심섬유소재제품 개발 |
▫ Easy Care, Eco-Clean 제품 ▫ IT, ET 융합 신소재 제품개발 ▫ 자동차, 수송용 섬유 제품개발 ▫ 세섬도 Nylon 66 섬유 제조기술 개발 ▫ Polyester계 탄성사 제조기술 개발 ▫ 쾌적한 Life 감성소재 : Temperature dependable Fabric, 온도 및 습도 등 환경 적응 소재, 실버산업의 확대에 따른 인체 체온조절용 PET 신소재 개발 ▫ 슈퍼섬유 고성능 복합소재 : 방화용, 난연용, 산업/공업용, 방호차페용 ▫ 나노섬유소재 : 나노입자 유무기물 활용 특수기능 |
용도별 신기능섬유 제품 응용기술 개발 |
▫ 용도 적응형 스포츠웨어 소재(섬유제품) 개발 : 용도에 적절히 대응하는 고차구조의 Hybrid 소재(섬유제품) 개발 ▫ 내광/내열성 부여한 자동차, 수송용 및 스포츠 레저용 고품질 섬유제품 개발 ▫ 고기능 복합가공성 부여한 환경친화형 내장재 및 인테리어용 섬유제품 개발 ▫ Health-care 가공기술 개발 :피부질환 억제 작용 기능성 섬유제품개발 ▫ 전자재료용 적합성 필름개발 ▫ 나노섬유소재 : 융합섬유, 리사이클 섬유소재 ▫ 친환경 저에너지 가공 기술 및 혁신 공정 기술 ▫ 염색가공공정 애로기술 해소 지원 |
고부가가치 신기능섬유 첨단 신제품 개발 |
▫ 전자분야 부품 대체 기술 개발 ▫ 천연소재를 이용한 인체친화적 기능성 섬유 개발 |
□ 사업기대효과
○ 개발된 제품 및 기술을 활용한 지역 중소기업의 새로운 판로 개척
○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향상 및 기업 부설연구소와의 이업종 기술 교류가 예상됨.
○ 지역 섬유산업의 생산증대 및 고용창출 등의 파급효과
○ 고유 기술 창출로 일본 및 유럽업체와의 시장경쟁력 우위를 점함
Ⅵ.섬유제품 단기상품형 기술개발사업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시장주도 기술의 즉시 대응과 신규시장 창출 기술의 개발을 통한 수출 가능성 및 파급효과가 큰 기술을 단기간 내 집중 지원하여 상품화 및 사업화
○ 개발도상국의 저가제품에 경쟁하고 선진국의 시장진입장벽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장 트렌드에 맞추어 단기에 차별화된 고기능 신제품 개발이 필요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사업내용 : 시장주도 신기술과 수요 트랜드 대응 기술 개발
- 시장주도 기업을 주 대상으로 한 단기간의 상품개발형 기술개발과제 지원
- 수요 트렌드에 맞추어 단기에 차별화된 고기능 신제품 기술개발과제 지원
-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수혜실적이 없는 전략산업분야 기업을 주 대상으로 한 단기간의 상품개발형 기술개발과제 지원
- 사업기간은 최대 1년, 사업비는 1억 이내로 하여 단기간에 상품화가 가능하도록 집중 지원
사업 |
중점추진사업 |
고부가가치 Hightech 신제품 개발 (2009년:22개과제,지원기업80개) |
▫ 감성 신기능섬유 소재의 Hightech 신제품 ▫ 기능성 신기능섬유 소재의 Hightech 신제품 ▫ 고성능 신기능섬유 소재의 Hightech 신제품 ▫ 전자분야 부품 대체 기술 개발 ▫ 천연소재를 이용한 인체친화적 기능성 섬유 개발 |
용도별 신기능섬유 제품 응용기술 개발 (2010년:22개과제,지원기업80개) |
▫ 차세대 스마트형 스포츠 ․ 레저 소재(섬유제품) 개발 ▫ Temperature dependable Fabric 개발 ▫ 용도 적응형 스포츠웨어 소재(섬유제품) 개발 ▫ 고기능성 및 고감성을 부여한 스포츠․ 레저소재(섬유제품) 개발 ▫ 내광/내열성 부여한 자동차, 수송용 및 스포츠용 고품질 섬유제품 개발 ▫ 고기능 복합가공성 부여한 환경친화형 내장재 및 인테리어용 제품 개발 ▫ Health-care 제품 개발 ▫ 기능성 조제 코팅 의료소재 개발 ▫ 전자재료용 적합성 필름개발 |
차별화 신기능 섬유제품 개발 (2011년:22개과제,지원기업80개) |
▫ 로하스(LOHAS) 쾌적감성(섬유제품) 개발 ▫ 환경친화형 고기능성 섬유제품 개발 ▫ 고흡수성 High-multi 극세사를 응용한 고성능 클리너 개발 ▫ 신기능성 차별화 침장용 섬유소재 및 제품 개발 ▫ 차상성능(遮象性能)과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한 Curtain용 경량박지소재를 이용한 제품 개발 ▫ Design 조직을 응용한 Home Interior 직편물 개발 ▫ PET 모노데니어 이중기능성 코팅사 제조 및 블라인드직물 개발 |
차세대 신산업 핵심섬유소재제품 개발 (2012년:22개과제,지원기업80개) |
▫ Easy Care, Eco-Clean 제품 ▫ 지능형 인테리어 제품 ▫ 자동차, 수송용 섬유 제품개발 ▫난연, 방오 내장재용 섬유제품 개발 ▫ 방호 차단 차폐 제품개발 ▫ 산업용 섬유기계 및 제품 개발 ▫ 고성능 하이브리드 제품개발 및 융합섬유, 리사이클 섬유소재 ▫ 세섬도 Nylon 66 섬유 제조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 ▫ Polyester계 탄성사 제조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 ▫ 생분해성섬유 제조기술 이용한 제품 개발 ▫ Polyester Recycle 섬유제조기술 이용한 제품 개발 ▫ 나노섬유소재를 이용한 제품 개발 : 나노입자 유무기물 활용 특수기능 |
□ 사업기대효과
○ 단기상품형 기술개발체계를 구축하여 기업의 기술력 보유
○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기업 경쟁력 강화 및 매출 증대
○ 단기 기술개발로 인해 기술개발 순환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의 혁신 역량강화를 위한 기반마련 및 기술자생력 배양
Ⅶ.하이테크 고부가가치 섬유제품 마케팅 강화 사업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사업목표
- 기확보된 마케팅 거점 기반 활용 및 선진시장 신규 거점확보를 통해, 고부가가치시장 진출 및 판로 개척. 기 기축 거점기반 및 신규 거점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결과물인 하이테크 섬유제품
의 수출제고 및 매출 증대.
- 브랜드 공략형 기획소재 글로비즈(Glo-Biz)
목표 |
내용 |
STREAM간 통합마케팅 지원시스템 확보 |
MIDDLE STREAM․DOWN STREAM을 포괄하는 통합 마케팅 지원시스템 확보 |
글로벌 NETWORK 완성 |
현지 거점 중심의 판로 개척 및 지속적인 신규 Buyer 개발 및 오더 수주지원 활동 |
참여업체 수출 제고 |
대형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을 통한 Buyer 확보 및 수주 지원 활동 |
○ 필요성 : 하이테크 섬유제품의 개발력을 갖추고 있으나, 해외 마케팅 능력 부재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체 수출지원책이 필요함.
- 내부 환경 요인의 변동 :
종합상사 및 섬유 대기업의 해외지사 철수 및 섬유관련 부서 폐쇄로 인해 지역 섬유업계의
해외 Marketing 기반 상실과 Offer商 및 Broker 난립으로 인한 유통질서 파괴
→ 제조업체의 수익성 악화 및 경영 위기
- 외부시장 환경의 변동 : 기존 생산자 중심의 Product Out 시장에서 소비자 중심의 Market In시장으로의 구조 변화 / 제품 수명 주기 단축 및 소비자 욕구 다양화로 인한 Global Sourcing 환경 대두
- 봉제 산업의 공동화 및 해외 이전으로 인한 수출의존 구조 심화 (섬유산업 총 수출액 153억불)
- 중소기업 중심의 제직업체의 산업 내 비중이 가장 크나, 타 업종에 비해 기획력, Marketing 능력이 미비
- 해외브랜드시장을 공략할수 있는 기획소재 글로벌 마케팅
- 업계의 해외 마케팅 지원에 대한 요청 : 지역섬유업계는 '기술 및 연구개발지원(46.6%), 인력양성지원(25.0%)과 함께, 마케팅 관련분야 지원(18.9%)을 요구하고 있음.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세부 추진주체 : 한국섬유마케팅센터,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한국패션센터, 한국봉제기술연구소, 한국섬유기계연구소, 대구경북 섬유관련 대학
○ 사업기간 : 2009년 1월 ~ 2012년 12월
○ 사업내용 : 글로벌 마케팅 강화
분류 |
주요 추진 사업 |
마케팅 기반 구축 사업 |
▫ 기구축 거점 운영 사업 (상해 거점 포함 7개 지역) ▫ 참여기업 해외거점 구축 지원 사업 ▫ 신규 거점 구축사업 (선진국시장-EU,미국, 유통시장-홍콩, 동유럽 신흥시장-폴란드) ▫ 국내마케팅 지원사업을 위한 수도권 거점 구축 사업 |
시장 및 판로 개척 사업 |
▫ ITEM DB 구축사업 ▫ BUYER NETWORK 구축 사업 ▫ 국내마케팅 지원사업 ▫ 수주지원 사업 ▫ 의류 제품 분야별 특화 마케팅 사업 ▫ R&D 기반 상품기획 및 마케팅 사업 ▫ 산업용 섬유 생산설비 분야 해외 신규시장 개척 사업 ▫ 고부가가치 상품 기획 / 개발 지원 ▫ 중소기업 on-LINE 마케팅 지원 |
전시회 및 시장 개척 사업 |
▫ 섬유 전문 전시회 참가 사업 ▫ 시장개척단 사업 |
특화 정보 제공 사업 |
▫ 현지 시장 정보 제공 사업 ▫ 현지 트렌드 정보 제공 사업 |
○ 사업 추진 체계
|
|
|
산업자원부 / 대구광역시 |
|
|
| |||||||||||||||||||||||||||
|
|
|
|
|
|
|
| ||||||||||||||||||||||||||
|
|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 한국섬유마케팅센터 외 |
|
| ||||||||||||||||||||||||||||
|
|
|
|
|
|
|
| ||||||||||||||||||||||||||
|
|
|
주관기관장 |
|
전담기관 | ||||||||||||||||||||||||||||
|
|
|
| ||||||||||||||||||||||||||||||
|
|
|
|
|
|
|
| ||||||||||||||||||||||||||
|
|
|
총괄책임자 |
|
운영위원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업기획팀 |
|
|
마케팅팀 |
|
상품기획실 |
|
11개 해외거점 |
□ 사업기대효과
○ 해외마케팅 기반구축과 시장동향, 상품정보, 주요Buyer 동향 등 특화 정보 실시간 제공
○ 현지거점을 통한 수출상담 및 사후관리로 對Buyer 신뢰성이 증대되고 수출마케팅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체의 수출애로사항 해소로 신제품의 수출 확대
○ 지역 섬유업계의 기획 개발 및 마케팅 능력 배양을 통해 시장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제 확보
○ 지역업계의 해외 직접 진출 지원을 통해, 유통 비용 축소와 수익성 향상을 도모
○ 밀라노 프로젝트의 R&D 성과물의 상품화 및 향후 개발 방향 설정
Ⅷ. 섬유 지식서비스산업육성 사업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지식 및 서비스 자원을 확보하여 기업의 시장선점,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및 지식서비스 중심의 고부가가치 섬유연관 산업 육성
○ 1, 2단계 지역산업 추진을 통해 확보한 다양한 연구시설 및 전문인력 등을 적극활용하여 다양한 기술지원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지역기업의 경쟁력 제고
○ 지식서비스 기업의 기술우위경쟁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마케팅 경쟁력 제고 및 기술중심의 섬유산업 경쟁력 확보를 통한 섬유제품의 고부가가치화
○ 컨설팅, R&D 등과 같이 직접 혁신과 관련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통신․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같이 지식공유의 기반을 제고
○ 다양한 지식서비스 사업을 수행․지원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실현 및 혁신주체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 필요성 :
- 취약한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혁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전문화․과학화 필요
- 선진 기업들은 본사에 연구개발조직을 별도로 두고 적극적인 서비스 R&D를 통해 노하우 축적과 전문 서비스 기업화를 추진중이며, 독일, 핀란드, 노르웨이 등은 정부에서 서비스 R&D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지원
- 국내 기업은 규모가 영세하여 자체 연구개발 투자에 한계가 있으나 국가 연구개발사업은 제조업 부문에 집중되어 그동안 서비스산업의 R&D에 대한 지원은 부족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세부 추진주체 : 한국섬유마케팅센터,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한국패션센터, 한국봉제기술연구소, 한국섬유기계연구소, 대구경북 섬유관련 대학
○ 사업기간 : 2009년 1월 ~ 2012년 12월
○ 사업내용
사업 |
중점추진사업 |
섬유지식서비스육성 |
▫ 단위사업의 성과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총괄사업) |
R&D 지식서비스 |
▫ 원사에서부터 직물에 이르는 연구개발 및 기업지원 인프라(소재, 사가공, 제직준비, 제직, 전처리, 염색, 가공, 상품개발, 마케팅)를 구축하여 섬유공정에 대한 대업계 기술지원체제 구축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Star R&D 전문기업 발굴, 육성 ▫ R&D 아웃소싱 유도를 통한 수요창출 ▫ 연구개발 전문기업 R&D 역량 제고▫ 연구개발 기술 on-Line 활용기반 구축 ▫ 지역회원업체 애로기술용역사업 ▫ 지적재산권 업계활용 제공 |
패키징 |
▫ 업계 수요, 연구개발 시제품의 one-stop형 신속 생산지원(기획설계 - 시험생산 - 물성 분석 및 재현성 검증 - 결과물 산출) 패키징 ▫ 시장수요 중심의 아이디어 상품 시험생산 역량의 점진적 보강(기반구축) ▫ 패키징 클러스터 패키징 구축 |
시험분석정보 |
▫ 시제품생산 서비스지원을 통한 Data 관리 등 물성분석정보의 효율적 지원 ▫ 공인시험 인증으로 데이터의 소급성(재현성, 정확도) 증진과 결과활용으로 인한 신제품 개발 표준 지원 ▫ 기술지도, 시험․분석 등 one-stop Service 인프라 패키징 구축 ▫ 지역 의류생산업체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비교분석 정보제공사업 ▫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제품 시험분석 정보제공사업 ▫ 글로벌 시대의 한국기업 세계화 전략수립을 위한 제품 특성분석사업 |
이러닝 |
▫ 지식정보자원 관련 사업추진에 따른 섬유 정보의 거점화 및 집적화 ▫ 섬유 관련 다양한 정보의 분석, 조사를 통한 DB 구축 및 업계 제공 ▫ 섬유업체의 니즈에 부합하는 세부 기능 개선 ▫ 섬유산업 경기동향 분석 및 선도기업군 분석을 통한 정보네트워크 구축 ▫ 의류제품 제조방법 UCC 라이브러리 사업 |
컨설팅 |
▫ 기업경영(금융,보험,무역) 컨설팅 ▫ 온라인 거래기반 비즈니스 모델 사업 ▫ e- color business 지원 사업 ▫ 지역의류생산업체의 시장대응력 향상을 위한 경영 기술 컨설턴트사업 ▫ 신규브랜드 런칭을 위한 맞춤형 섬유업체 정보 및 시장분석사업 ▫ 지역 의류생산업체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생산공정 지도진단사업 |
에너지 절약 |
▫ 염색산업 에너지 절약형 EMS개발보급 사업 ▫ 환경에너지분석 Open Lab. 서비스 활성화 사업 ▫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화석연료 대체형 친환경 유틸리티 솔루션 사업 |
디자인/패션 |
▫ 차별화 제품개발을 위한 정보지원 ▫ 업계 기술지원 서비스(상품기획 기술 강화 ▫ 세부 마켓별 환경 개선에 따른 기획 기술 시스템 지원[환경친화 상품개발] ▫ 마켓&트렌드 정보제공과 고부가가치의복제조 생산정보 지원 ▫ 3D 형상이미지를 활용한 소재 및 실루엣디자인 등 기획정보지원 |
유통/프랜차이즈 |
▫ 지역업체 생산 기능복 전자카다로그 제작 지원 ▫ 지역우수제품와 해외 클라이언트 연계지원사업 ▫ 의류제품 유통향상을 위한 RFID/재고관리 시스템(생산관리) ▫ FMS시스템 (유연생산시스템), MTM형(맞춤주문생산시스템:Made-to -Measure) 업계도입지원 |
□ 사업기대효과
○ 각 공정간 기술연계를 통한 기술중심의 상품개발 유도
○ 가격 경쟁력 향상을 통한 생산기업의 Leading Company로의 위상 전환
○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및 지식서비스 중심의 고부가가치 섬유연관 산업 육성
Ⅸ. 하이테크 섬유 개발인력양성사업(요약)
□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사업의 목적
▶ 산학연 연구교육 컨소시움에 의한 하이테크 기술인력 확보
- 섬유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의류용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신기술 개발과, 스포츠 의류, 스마트 섬유를 비롯한 하이테크 섬유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산학연 컨소시움에 의한 R&D 기반구축과 기술지원과 함께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고급 핵심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패러다임 전환의 성공 열쇠라고 할 수 있음.
▶ 2단계 인력사업 성과 확산을 위한 R&D 기반구축인력 확보
- MP 1단계는 시급한 생산인력 공급교육이라면, 2단계는 R&D 주도형 선도기업군 선발하고 교육과 연구개발 연계하는 사업이며, 3단계는 하이테크 섬유소재개발을 위한 인력양성에 주력하고, 섬유산업의 발전방향에 맞춰 비의류용 섬유의 핵심기술인력 양성에도 집중할 것임
▶ 비의류용 섬유소재 산업의 육성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 비의류용 섬유소재 산업은 자동차, 전자, 방재, 환경 에너지, 건강 등 5개 용도전개 타 산업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핵심 첨단 기능성 신소재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산업과 산업 간을 연결시키는 연관 융합기술 인력이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Hightech 산업용 섬유소재 산업분야는 지역의 급속한 산업기술변화와 혁신적 인력수요를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음
○ 필요성 : 섬유산업의 주변 환경은 한미, 한아세안 등 FTA체결의 확대, WTO체제 복귀에 따른 섬유쿼터폐지, 모든 품목에서 중국의 추격, ASEAN의 급속한 신장 등 급변하고 있음. 정보의 신속성과 여가활용 증대로 인한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인건비 상승, 인력부족의 심화로 국제경쟁 환경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아시아 각국이 생산 능력과 소비시장의 주체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고급인력 양성을 통한 R&D 활성화와 고부가가치화 노력이 매우 시급함.
○ 섬유산업은 장기간의 침체와 대외적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며, 패러다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R&D 사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 등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음.
○ 섬유산업의 부가가치율은 2006년 현재 20.7%로 제조업의 부가가치율(2006년) 22.1%보다 낮고, 선진국 수준(30~4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며, 대부분 저부가가치‧범용제품 위주로 고착화되어 후발개도국 수출품과 중복이 심화되어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
- 인력양성사업은 기업의 R&D 수요에 대한 시스템적 지원을 통해 유능하고 우수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롭게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적응할 수 있는 R&D 연계형 고급 인력양성에 역점을 두고 있음.
□ 사업개요
○ 추진주체 :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섬유신성장전략사업단)
○ 사업기간 : 2009. 1. ~ 20012. 12.(4개년)
○ 주관기관에서는 산학연 컨소시움 인력양성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와 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두고 있고, 필요에 따라 교재개발위원회, 전문가위원회 등을 구성하여 운영함.
|
하이테크 섬유 개발 인력양성 산학연 컨소시움 센터 |
| ||||||||||||||||||||
주관기관(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 ||||||||||||||||||||||
【인력양성사업 담당】 - 사업기획조정 - 계획수립 및 평가관리 - 운영, 홍보 - 사후관리 | ||||||||||||||||||||||
|
|
|
| |||||||||||||||||||
|
|
자문위원회 | ||||||||||||||||||||
|
| |||||||||||||||||||||
|
| |||||||||||||||||||||
|
|
|
|
|
|
| ||||||||||||||||
섬유개발연구원 |
|
염색기술연구소 |
|
봉제기술연구소 (패션센터) |
|
계명대학교 (FISEP) |
|
영남대학교 | ||||||||||||||
‧CEO 기술경영 ‧원사/사가공/ 준비/제직 분야 인력양성 |
‧현장적용 전개분야 인력양성 |
‧패션/의류제조기술개발분야 인력양성 |
‧섬유마케팅 |
‧용도전개분야 인력양성 | ||||||||||||||||||
|
|
|
|
|
|
|
| |||||||||||||||
|
|
|
|
|
|
| ||||||||||||||||
|
지원대상기업 |
|
|
협력기관 |
| |||||||||||||||||
‧원사, 제직, 기계 업체 .방적, 방사, 사가공 업체 ‧염색가공 업체 ‧편성 업체 ‧부직포 등 업체
|
․섬유기계연구소 ․한국패션센터 ․섬유패션대학(폴리텍대학) ‧경북대학교기계연구소 ‧나노부품실용화센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역대학(9개 대학) |
○ 사업내용 : 산학연 연구교육 컨소시움 인력양성 사업
사업 |
중점추진사업 | |
하이테크 섬유의 R&D/기술인력양성 |
미래수요 대응형 섬유전문 인력양성 |
(1) 스마트 섬유소재 기술교육 (2) 슈퍼 섬유소재 기술교육 (3) 나노 섬유소재 기술교육 (4) 로하스 섬유소재 기술교육 (5) IT 지능화 이론 및 적용 교육 |
하이테크 섬유개발을 위한 고급인력 양성
|
(1) 스포츠 레져 섬유 관련 교육 (2) 건강 섬유 관련 기술교육 (3) 하이패션의류소재 제조 기술교육 (4) 섬유소재 핵심 융합화 기술 개발/생산 교육 | |
하이테크 섬유의 R&D/기술인력양성 |
R&D 인력확보를 위한 고급화 과정 |
(1) 연구기획전문가 과정 (2) 신제품기획 생산전문가 과정 (3) 차별화 염색소재 기획과정 (4) 섬유패션 상품기획과정 (5) R&D 과제수행 실무자 Cluster 과정 |
혁신역량 교육 |
(1) 차세대 섬유리더 과정 (2) 섬유 CEO 혁신역량 과정 (3) 중견간부혁신역량 교육 | |
비의류용 섬유기술 인력양성 |
산업용 섬유소재의 용도 전개별 소재/공정/설비 교육 |
(1) 자동차, 수송용 섬유소재 관련 교육 (2) 전자, IT 융합 섬유소재 관련 교육 (3) 환경, 리사이클 융합 제품 관련 교육 (4) 방재, 방호 섬유소재 관련 교육 |
Workings Innovation Tracks (현장 혁신형 교육) |
현장 혁신형 섬유 생산 전문가과정 |
(1) 기업애로기술교육 (2) 맞춤형 현장기술자 교육 (3) 정보화․인증․경영컨설팅 등 (4) 지역현안교육-외국인노동자, 세터민 교육 |
전문가 초청 고급 기술 강좌 |
(1) 최신 기술 동향 분석 (2) 해외 마케팅 전략 | |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반 구축 |
- 신규 교재 20종 개발 - 산업계, 자체, 대학 등 강사 150명 확보 - 전파교육을 통한 상호 협력 시스템 구축 |
□ 사업기대효과
○ 산업 현장 적응력이 뛰어난 창의적 전문 기술인력 양성
○ 신기술 교육과 신제품 개발의 연계를 통한 R&D 기반 확충
○ 기술 향상 교육을 통한 근로자의 능력 극대화 효과 및 생산성 증대 효과
○ 국제규격 교육을 통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국제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함으로 인하여 기술 경쟁력을 갖출 뿐만 아니라 표준화를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산학연 협동 교육을 통한 교육의 시너지 효과 및 취업률 향상
5년 시한의 변화무상한 ‘한국섬유산업 발전전략’ 새 틀 짜야 (0) | 2008.02.19 |
---|---|
5년 시한의 변화무상한 ‘한국섬유산업 발전전략’ 새 틀 짜야 (0) | 2008.01.31 |
섬유업계, 3단계사업-4년간, 1천6억2천만원 투입 로드맵 제시 (0) | 2008.01.31 |
지역 기능성섬유기업들 ‘준비된 기업’ 만드는데 총력전 (0) | 2007.12.22 |
부산 섬유·패션단체 -대형유통기업 ‘아울렛’ 진출 반대 표명 (0) | 200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