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대구국제패션페어’-조직·시스템 근본 변화 예상
‘협회-PID, DGIFF-패션전문 기관·단체 주관’에 주목
올 해로 3회째를 맞는 ‘2008 대구국제패션페어(DGIFF)'가 고민에 빠졌다.
매년 국비 4억 원과 지방비 4억 원 및 민자 1억5천만 원 등 총 9억 5천만 원을 투입해 안경, 패션, 주얼리 등 ‘국제토탈패션페어’를 지향해왔지만 사업 추진에 적잖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1,2회 행사를 주관해온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는 직·간접으로 3회 행사부터 행사 주관기관 및 이에 따른 사업추진에 대해 타 기관·단체로의 이관을 피력해왔다.
행사 추진 첫 해의 경우 주관기관 선정에 따른 미묘한 문제로, 2회 행사에서는 행사전반을 총괄 대행하는 ‘PCO(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의 선정 문제 등으로 원활한 행사 추진에 적잖은 악영향을 끼침은 물론 이에 따른 결과 또한 기대 이하의 수준에 머물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는데 있다.
물론 2회 행사의 경우 1회 대비 전시 규모면에서 변화된 모습을 보여줬지만 당초 안경, 주얼리, 패션을 아우르는 ‘토탈 패션 전시회 구반 구축’과는 거리가 멀었다.
또 국내·외 바이어 및 참관객 부족이라는 아쉬움과 함께 전시 운영 및 전시 컨텐츠의 부족이 1회에 이어 지속적으로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는데 대한 심적 부담감이 적잖다는 것.
특히 총괄대행사(PCO) 중심의 업무 추진 및 주관 기관인 협회가 행정지원을 수행하게 돼 있지만 패션전시회에 대한 전문성과 지리적 한계 및 초기 행사개최에 따른 인지도 부족 등 복합적인 문제 요인이 협회를 압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협회는 PCO의 활용과 컨소시엄 형태의 총괄 대행사 운영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한편 별도의 운영 시스템 구축 필요성을 피력하고 있다.
국내 여타 유사 전시행사가 변화·혁신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DGIFF 또한 특화 비즈니스 전시로의 변화를 꾀해야한다는 것.
한미 FTA협상 타결,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호기를 맞아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섬유패션산업으로의 재도약의 계기가 마련된 만큼 봄에는 소재중심의 PID, 가을에는 제품과 토탈패션 중심의 DGIFF를 추진해 상호 선순환 관계로 발전시켜나가는 한편 내실 중심의 별도 전략 수립과 안경, 주얼리, 패션 등 토탈패션 업계가 기획단계에서부터 준비, 운영단계에 까지 적극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해야한다는 생각이다.
이를 위해 소재중심 전시회의 내실화 및 비즈니스 성과 극대화와 연중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PID는 협회가 담당하고 DGIFF는 패션전문 기관 및 단체가 주관이 돼야 함을 지적하는 한편 협회가 두 전시회를 모두 추진할 경우 PID 전시회마저 부실화 될 우려가 있다는 입장이다.
협회는 사실상 PID와 DGIFF 모두 동급 규모의 행사로 꾸려 왔지만, PID사무국 조직 및 편재를 그대로 DGIFF가 공동 수행해왔다.
이에 따라 행정 전반에 걸친 업무 과다와 비효율성 문제는 물론 매년 PCO를 공개입찰을 통해 선정함에 따라 매 해 다른 PCO 선정에 따른 사업의 승계 및 업그레이드에 대한 난맥상에 대해 고민해왔다.
특히 행사 추진 전반에 따른 수정·보완사항이 피드백을 통한 개선이 아닌 단절과 악순환의 반복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최근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는 DGIFF 운영위원회 개최를 통해 이 같은 협회의 입장을 공식 표명하는 한편 2008DGIFF행사 개최 및 향후 사업추진 방안에 대해 1·2월 중으로 가닥잡기로 했다.
우선 DGIFF행사의 경우 3년 기한의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만큼 2008년 이후 행사개최 여부 및 이에 따른 사업비 확보 대응 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 주관기관 변경의 경우 협회는 당장 올해부터 패션기관·단체로의 이관을 희망하는 상황이지만 대구광역시는 ‘주관기관이 누구냐에 대한 문제 보다는 시스템적인 변화가 우선돼야하며, 업계의 참여율과 민자 예산의 확대가 뒤따라야하는 만큼 산업자원부와의 협의를 통해 결정해야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올 ‘2008 DGIFF’ 개최가 10월 9일부터 3일간 개최키로 잠정 결론 내려진 가운데 최소 6개월여 전부터 행사개최에 따른 조직과 시스템을 풀가동해야 하는 만큼 산업자원부와 대구시, 협회 및 관련 업계의 빠른 대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대구 - 김진일 기자>
‘대구경북패션협회’ -‘2008 대구 패션인 신년교례회’개최 (0) | 2008.01.31 |
---|---|
자족형 복합신도시 ‘이시아폴리스(Esiapolis)’ - 오는 23일 착공식 (0) | 2008.01.31 |
한국봉제기술연구소 - ‘봉제기술 DB화를 통한 기술력향상사업’ (0) | 2008.01.21 |
한국패션센터(FCK) - 기초기술개발 5개 사업 본격 추진 (0) | 2008.01.21 |
커리어 캐릭터 캐주얼 ‘지주(ZIZOU)'- 공격경영 (0) | 2007.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