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섬유 관련 단체·기관 - ‘힘들다 힘들어’
사업평가 및 결과물 제시, 사업계획 및 예산확보,
지역 시민단체 고발 및 지자체 회계감사 대응
대구경북섬유 관련 기관, 단체가 당면한 현안이 갈수록 태산을 이루고 있다.
내년부터 본격 추진될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청사진의 방향이 아직까지 뚜렷한 제시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예산 계획 또한 섬유업계가 요청분과 정부예산의 격차가 적잖은 등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 관계 부처 및 기관에서 바라보는 섬유산업 진흥사업 추진에 따른 실효성 및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에서 하나같이 비관적인 입장과 의견제시가 주류를 이루는 등으로 해당 섬유관련 기관, 단체는 크게 당혹해하는 모습 일색이다.
업계는 이를 위해 전략위원회를 구성해 분과위 등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인력 툴을 활용한 대응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선 그 누구도 긍정적인 입장을 피력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섬유업계는 또 최근 2차년도에 걸쳐 추진되고 있는 밀라노프로젝트사업 수행에 따른 결과물과 사업수행 평가 정도를 포함시킨 섬유사업 진흥사업 수행 자체 평가 성적표를 작성하기로 하고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했다.
2차년도에 걸쳐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수행 능력과 결과물을 자체적으로 최대한 객관적 입장에서 분석·접근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자체로부터 제대로 평가받겠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사업추진 자체 평가안 마련과 사업추진 계획 및 예산확보만 해도 과부하가 걸릴 상태이지만 섬유관련 기관, 단체 대상의 ‘보조금 편취의혹’이라는 또 다른 복병의 출현으로 ‘설상가상’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지역시민단체에서 제기된 기관·단체의 검찰 고발과 지자체 감사 실시 등으로 어수선하기 짝이 없는 모습이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패션조합과 한국패션센터 노조의 내부제보로 시작된 ‘정부 보조금 편취의혹 사건’으로 말미암아 대구패션조합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으며, 한국패션센터 또한 최대의 위기상황에 몰려있다.
정부보조금의 전·유용과 관련 대구지법에 항소했던 한국패션센터 전 이사장에 대한 선고 공판 또한 섬유패션업계의 상황을 더욱 난처하게하고 있다.
대구지법 재판부는 ‘ 보조금의 신청횟수나 규모 및 방법 등을 감안했을 때 단순 횡령이 아닌 사기 및 편취혐의가 인정된다’는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단지 무보수 명예직 이사장으로 패션업계에 공헌한 점을 감안,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의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이 선고 됐지만, 해당 전 이사장은 지난달 부도라는 최악의 결과를 맞고 말았다.
한마디로 대구경북지역 섬유업계는 더 이상 한 곳에 ‘올-인’할 수 없는 난맥상에 놓여있는 모습이다.
섬유업계의 한목소리와 역량결집이 그 어느때 보다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긴 하지만 그것도 힘든 상황이다.
한국패션센터 전 이사장의 선고 판결에 따라 당장 내년이면 대규모의 임기만료로 단체장 교체가 이뤄져야할 시점이지만 어느 누가 자발적으로 단체장 수행을 하려하겠냐는 시각이다.
<대구 - 김진일 기자>
‘폴리프로필렌(PP)' 소재 - 아이템 접목 다각화·차별화 시도해 (0) | 2007.08.29 |
---|---|
섬유업계 - 섬유산업 관련 ‘사후약방문’씩 대응논리 한계 (0) | 2007.08.20 |
섬유제직기업 - 설비투자 움직임 속속 포착돼 (0) | 2007.08.13 |
산업자원부가 제시한 ‘섬유산업 성과평가 및 조정권고(안)’의 의미 (0) | 2007.08.06 |
대구시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준비업무 본격 추진 (0) | 2007.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