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의류용(산업용)섬유분야 기업 활성화 대책 ‘잰걸음 요망’
산업용산업 기반조사 철저, 데이터 확보에 머물러선 안돼
산자부 관계 부처의 법적·제도적장치 마련 최우선 마련돼야
대구·경북지역에서 한바탕 소란이 일기도 했던 ‘산업용섬유·‘비의류용섬유로의 전환 및 육성’.
의류용 섬유기반을 도외시한 채 인프라 기반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무슨 산업용섬유냐는 것이 주요 골자였다.
하지만 산업용 섬유와 비의류용 섬유분야가 불현듯·느닷없이 출현한 것이 아니라 그 동안 이들 분야에 대한 접촉과 관심이 없었던 것이었다.
다시 말해 섬유산업을 의류용 소재에만 국한시켜 접근하고 해석하고 받아들여왔던 이유다.
하지만 세계적인 섬유산업의 흐름과 섬유산업 고유의 카테고리가 확대·재생산되고 있는 상황하에서 이를 거부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고 대응하지 않는다면 이 또한 의류용 섬유분야에서 걸어왔던 전철을 되밟을 수 밖에 없다.
2012년 까지 산업용 섬유를 전체 섬유산업의 55%를 목표치로 설정·발표한 산업자원부.
이에 덩달아 그렇게 하겠노라고 따랐던 섬유업계.
대구섬유산업전략산업진흥사업(RIRM)의 청사진을 그리던 중 산업용 섬유의 목표치 설정을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한 순간에 정부·섬유업계는 동시에 그 목표치를 대폭 낮추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 산업용섬유 및 비의류용섬유기업 대상의 전수조사가 이뤄진지 단 한번도 없었지만 그 어떠한 근거와 데이터를 담보하지도 않은 채 발표된 산업용섬유의 목표치 설정.
일부 대학교수와 정부기관, 섬유단체 관계자의 어림짐작으로 이뤄졌음이 뒤늦게 알려졌지만 한마디로 어처구니 없는 대응이 아닐 수 없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다행스럽게도 지역의 연구기관이 산업용섬유기업 대상의 실태조사를 진행한데 이어 국내 섬유산업을 대표하는 섬유산업연합회에서 전수조사를 실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어찌됐건 산업용·비의류용 섬유 대상의 발 빠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더 이상 좌충우돌하는 모습을 보여서는 될 일이 아니다.
90년대 중반부터 섬유조합과 단체를 통해 산업용섬유 활성화를 전제로 국내·외 마켓조사와 현황 등에 대한 용역을 의뢰해 수차례 조사·발표한 바 있었지만, 그 때 뿐이었다.
때문에 이번 추진될 전수조사 시행 이후 업계의 대응이 그 어느때 보다 다른 시각에서 분석·접근하고 대응책을 제시해야한다.
산업용 섬유기업들은 섬유단체 및 연구기관에서 제시하는 산업용섬유의 활성화 대책이 어떻게 구상되고 추진될 지에 대해 적잖은 관심을 갖고 있다.
물론 긍정적 입장 보다는 부정적 입장과 의견피력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유는 섬유단체·기관이 대응해왔던 모습에 대한 신뢰성이 형성돼 있지 못하며, 세미나,간담회, 보고서 발표 등에 머물렀을 뿐 아니라 업계가 직면한 당면현안과는 적잖은 거리감이 있었다는데 있다.
산업용섬유 육성책 관련 세미나 또는 간담회 등이 최근들어 지속적으로 마련되고 있지만 수박 겉�기식의 원론적인 내용에서 맴돌기만 한다는 지적이다.
산업용 섬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하는 교육사업과 산업용섬유 제품관련 전문가 양성 및 인력양성, 마케팅 전문가 양성, 업계 R&D지원 및 이를 위한 부설연구소 설립 지원 등 산업용 섬유기업들이 풀어나가야할 요소가 첩첩산중이다.
대구섬유전략산업진흥사업에 산업용섬유분야 관련 2천억원의 필요 예산을 정부에 요청해놓은 상태이지만 대구시의 의류 및 하이테크(산업용) 관련 전체 배정 예산은 태부족분인 765억원 뿐이다.
부족한 재원의 조달은 업계가 알아서 풀어나가야하는 입장이다.
불행중 다행(?)으로 업계에선 대선을 적극 활용해 업계 요구예산분을 확보해낸다는 모습.
한마디로 섬유업계의 미래비전제시를 위한 업계의 목마른 갈증과 외침이 메아리로 되돌아 올 수 있을지는 그 때 돼봐야 안다.
정부는 얀포워드(Yarn Forword) 기반의 한·미 FTA협상에서 섬유산업이 최대의 특혜산업으로 부각됨은 물론 산업용섬유의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정책적인 지원 및 섬유산업 육성책의 흐름으로 봐서는 정면 배치되는 모습이다.
산업용 섬유산업을 위해서는 산업용섬유 전문연구센터를 설립해야함은 물론 업계 기술지원과 연구·개발을 위한 파이럿 설비구축이 필수적이지만 인프라구축에는 자금지원을 전면 배제시킨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논우븐(부직포) 분야의 경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설로 센터가 설립돼 있지만 우븐(제직) 및 편직분야를 주력 지원·개발할 수 있는 센터 설립은 필수적이다.
특히 국내 산업용섬유산업의 활성화 기반을 공고히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의 ‘법적·제도적 장치의 뒷받침’이 그 무엇보다 선결돼야할 부분이지만 이 또한 관계부처에서는 손을 놓고 있다.
‘섬유산업은 절대 사양산업이 아니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는 산업자원부.
섬유산업을 제대로 활성화시켜 의류용 섬유분야가 걸었던 전철을 되밟지 않게 할 수 있는 산업용섬유산업 진흥책의 명쾌한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대구 - 김진일 기자>
한국섬유마케팅센터(KTC) - 해외거점 마케팅 사업 성과 두각 (0) | 2007.07.13 |
---|---|
한국합섬·HK, 새한 - 새 둥지 틀수 있을까? (0) | 2007.07.13 |
산·학·연 연계 섬유패션고급인력양성사업 -4차년도 사업추진 (0) | 2007.07.09 |
내셔널 B/D MD/디자이너 15명, 대구·경북 섬유현장방문가져 (0) | 2007.07.09 |
KTDI-밀라노프로젝트 R&D(신소재․신제품) 성과물 전시 (0) | 200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