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표원, 에어로젤 블랭킷 차세대 단열재 국가표준 제정안 예고 고시 2016년 ISO에 국제표준안 제안, 이르면 내년 초 국제표준 제정, 선도

통계 및 공지/테크니컬텍스타일-Technical Textile

by 텍스뉴스 Texnews 2020. 7. 6. 19:41

본문

국표원, 에어로젤 블랭킷 차세대 단열재 국가표준 제정안 예고 고시

2016ISO에 국제표준안 제안, 이르면 내년 초 국제표준 제정, 선도

조선, 자동차, 국방, 소방/안전, 고기능성 단열기능 수요시장 확대 견인

 

정부가 LNG선 화물창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을 대체할 차세대 단열재인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의 국가표준(KS)을 제정하고 국제표준도 선점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지난 617,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 국가표준(KS) 제정안을 810()까지 관보에 예고 고시한다고 밝혔다.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는 실리카, 탄소, 알루미나 등이 액상에서 젤로 변환되면서 생성되는 나노 기공구조와 높은 기공률로 초단열, 초발수, 초경량의 특성을 지닌 블랭킷(담요) 형태의 단열재를 지칭한다.

이 표준안은 업계 공청회(8~9)와 기술심의회 등의 과정을 거쳐 오는 10월께 국가표준(KS)으로 제정된다.

정부는 이에 앞서 20169월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의 국제표준안을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했으며, 국제표준안(DIS) 투표와 최종국제표준안(FDIS) 절차를 거쳐 이르면 내년 초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예정이다.

 

* 국제표준 제정절차 : 신규작업제안서(NP) 작업반초안(WD) 위원회안(CD) 국제표준안(DIS) 최종국제표준안(FDIS) 국제표준(IS) 제정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는 기존 단열재의 1/2 두께만으로 종전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단열 성능을 구현할 뿐 아니라, 화재에도 강해 활용성이 높은 차세대 단열소재이다.

영하 160이하의 초저온 물질을 저장하는 LNG선 화물창에서 고온의 열을 차단해야 하는 발전소 배관에 이르기까지 넓은 온도 범위(영하 280~ 650)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에 강해 흡수성, 흡습성 등 내후성이 우수하며, 유연한 소재 특성으로 현장 시공이 용이해 사출성형기, 정유·석유화학, 철강산업, 건축 분야까지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LNG선 분야에서도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가 요긴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제정하는 국가표준(KS)ISO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주도한 것으로, 열전도도, 흡수성, 흡습성, 유연성 등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는 표준이다.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의 국가 및 국제표준화로 국내 생산 기업의 안정적인 품질 확보는 물론, 세계 시장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 국내 시장은 약 300억원 규모(‘20년 기준)로 기존에는 대부분 수입 제품이 유통돼 왔지만, 최근 국산화 제품이 양산되고 있어 표준화를 통해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저감 노력과 에너지 저감정책에 힘입어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이 분야 국제표준화를 주도하고 있어 향후 국내 기업의 지속적인 시장 확대도 기대된다.

한편, 에어로젤 블랭킷 가공과 관련 진공포장 및 다중충진과 라미네이션, 수지도포 표면처리 기술 등 독보적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국방분야(신발, 방한화, 장갑, 침낭, 텐트 등), 소방안전분야(소방 방화내피, 신발 등)를 비롯 아웃도어, 스포츠 등 피복의류 마켓을 공략하고 있는 관련 기업은 이번 정부발표에 대해 크게 고무된 모습이다.

특히, 이번 정부 발표에 앞서 국방분야(육군)의 경우, 혹한용 방한화 내피용 토우소재에 대해 열차단 기능의 에어로젤이 삽입된 보온재채택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는 등 에어로젤 소재의 산업 확장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LNG선 화물창 등 초저온 및 초고온 단열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제표준이 없는 상황이었다면서, “이에 우리나라가 ‘16년부터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의 국제표준 선점을 추진하는 한편, 국내 기업의 품질 확보를 위해 국가표준도 제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 원장은 이 분야 세계 시장은 국내 시장보다 20배 이상 크다면서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앞당길 수 있도록 남아있는 국제표준 제정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진일 기자>

 

 

 

www.ktenews.co.kr  

 

한국섬유경제

대구섬유박물관, ‘3D... 대구섬유박물관, ‘3D펜으로 섬유 알아보기’ 프로그램 ...

www.ktenews.co.kr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