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 –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 시스템 개발, 마켓셰어 확대 전망 차별화된 생산기술 및 인프라 확보로 신시장 진출 및 수입대체 기대
㈜백일 –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 시스템 개발, 마켓셰어 확대 전망
차별화된 생산기술 및 인프라 확보로 신시장 진출 및 수입대체 기대
▶㈜백일의 나수영 회장(가운데)과 나용원 대표(오른쪽), 이종우 연구소장(왼쪽)이 개발에 성공한 다중빔형 원형직기(Circular Loom) 앞에서 세계적인 대형 특럭 및 중장비 메이커인 V사에 공급되고 있는 터보차저용 호스 완제품을 들어 보이고 있다.
▶㈜백일이 개발에 성공한 원둘레 3,000mm급 원형직물을 생산할 수 있는 다중빔형 원형직기(Circular Loom) 및 이를 통해 생산된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은 기존 대비 독창적과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중빔형 원형직기(Circular Loom) 기반의 터보차저 호스용 아라미드사 제직 시스템과 공정 개념도
아라미드 섬유를 비롯한 슈퍼소재 기반의 융·복합 섬유소재부품 전문기업인 ㈜백일(대표 나용원, www.baekil.com)이 ‘원둘레 3,000mm급 대형차량 실리콘 호스용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 시스템 개발’에 성공해 주목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혁신형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 6월부터 2년에 걸쳐 5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사업에 성공한 것이다.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은 대형 상용버스, 중장비, 군수용 대형 내연기관 등의 고만곡형 터보차저 호스 제품에 채택되는 특화된 고부가가치 보강섬유소재부품으로 세계시장의 약 70%를 유럽 제조기업에서 선점하고 있다.
고성능 호스 전문 제조 업체인 독일의 콘티넨탈(Continental Co.)社는 아라미드 원형직물 보강재를 45° 사선형으로 절개한 고무 시트 제조 및 성형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중·대형용 터보차저 호스 제품에 적용해 독점하고 있다.
하지만, 콘티넨탈에서 사용하고 있는 원형직물은 북(셔틀)직기에서 제직한 형태로 양쪽 변부의 변사 돌출로 인해 재단 작업공정 중 변부가 두꺼워져 성형 시 생산성 저하 및 불량 발생의 문제점이 대두됐다.
국내에서도 호스용 아라미드 원형직물은 북직기를 이용해 제직하고 있으며, 변사부위의 불량 및 고가의 아라미드 재료 낭비가 높은 단점으로 셔틀의 高집적화, 위사 공급방식, 경사의 장력 균일화를 위한 다중 빔의 도입을 포함한 원형 직기의 개발이 절실했다.
또한, 원형직물을 활용하기 위해 45°각도로 사선 절개하는 재단기 및 원형직물의 설계 및 직물과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접착제 처리기술 등의 공정 기술개발이 뒤따라야 했다.
이에 따라 ㈜백일은 2017년, 독일 콘티넨탈와 기술미팅을 통해 셔틀 랙을 이용한 다중빔형 원형 직기를 제안하는 한편, 콘티의 제조공정에서 나오는 문제점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해 성공에 이르게 됐다.
㈜백일이 개발에 성공한 다중빔형 원형직기(Circular Loom) 및 이를 통해 생산된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은 기존 대비 독창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다.
원형(Circular Loom)직기를 통해 생산된 직물은 360°원형 셔틀트랙을 순환하면서 위사가 위입됨에 따라 변부가 없으며, 4way 장력이 균일한 형태의 직물 생산이 가능하다.
또, 원형직기와 함께 개발된 원형직물 자동재단기는 원형직물을 45° 대각선으로 절개할 시 사선 방향으로 최대의 신율을 확보할 수 있어 고성능 만곡형 터보차저의 보강직물로 최적의 성능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부가 없는 대형 원형직물의 제직은 물론 위사의 저장력 순환구조로 생산성 및 제품 물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직물의 열안전성과 실리콘 고무와의 접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백일은 아라미드 보강 원형직물 관련, 국내·외 수요시장 확대를 통한 대외경쟁력 강화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특히, 미국 군수산업 분야의 수요 및 대형 특장차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등으로 향후, 관련 제품개발을 통한 선진시장 진출에 있어서 유리한 고지 선점은 물론 국내 수입품 대체로 매출증대와 수익성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김진일 기자>
한국섬유경제
대구섬유박물관, ‘3D... 대구섬유박물관, ‘3D펜으로 섬유 알아보기’ 프로그램 ...
www.kt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