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구·경북 화섬직물산지 - 노후 제직설비, 절반 이상 추정

뉴스 섹션/핫 뉴스 포커싱

by 텍스뉴스 Texnews 2013. 10. 27. 13:41

본문

대구·경북 화섬직물산지 - 노후 제직설비, 절반 이상 추정

전체 설비 52% 수준인 8천여대 워터제트룸 직기 개체 대상

 

 

대구·경북 화섬직물산지가 보유하고 있는 전체 제직 시설은 지난 2007년말 조사(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서 30,066대로 파악된 이후 2011년에는 제직기업 882개사가 32,637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수조사된 바 있다.

제직 설비 가운데는 워터제트룸(WJL)이 17,156대로 52% 가량을 차지한데 이어 레피어룸(RPL)이 5,979대로 18%, 에어제트룸(AJL)이 5,740대로 17% 수준을 나타냈었다.

이 같은 대구·경북지역의 제직설비 보유현황은 전수조사 이후 설비개체 및 증설을 반복하고 있는 가운데 설비대수의 경우 소폭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워터제트룸 중심의 노후설비 개체 및 증설 움직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에어제트룸과 레피어룸의 경우에서도 혁신직기 도입이 중·소규모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화섬직물산지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전체 설비 가운데 유독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제직설비 분야로 ‘워터제트룸’이 지목되고 있어 향후 관련기업들의 설비개체 대응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워터제트룸 제직설비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지역 제직기업들 가운데 90년대 초·중반에 도입한 설비의 경우 6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잠정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설비 가운데 대부분이 17년 이상 20년 수준의 노후도를 나타내고 있어 생산효율성과 품질안정성, 경제성 등에서 크게 뒤떨어지고 있다. 최신 첨단·혁신설비로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워터제트룸 제직기업 중심의 설비노후화가 심각한 이유로는 물량중심의 정번 아이템 일변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임직기업들의 보수적인 설비투자 대응으로 분석되고 있다.

필드의 제직아이템이 갈수록 고난위도화 흐름을 맞고 있지만 노후설비를 통한 품질안정성과 생산효율성은 갈수록 뒤떨어져 설비 가동률이 크게 낮아지고 있으며, 첨단설비로 교체 대응하고 있는 기업들과의 대외경쟁력은 갈수록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동종업계 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빈익빈 부익부’현상 확대 흐름은 이를 반증하고 있기도 하다.

최근 노후설비 개체를 단행한 업계 관계자는 “마켓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하이퀄리 아이템 생산과 함께 품질관리 안정화 및 생산관리의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생존하기 어렵다. 첨단·혁신설비 투자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미국·유럽·터키에 이은 중국과의 FTA가 발효될 경우 노후설비를 기반으로 그들과 경쟁한다는 자체가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요컨데, 산지 제직기업들이 설비투자의 기로에서 어떠한 판단과 대응력을 구사할 지 주목되고 있다.

구 분

2007년

2011년

혁신직기

 

WJL

대구

100

114

14.0%

경북

188

202

7.4%

288

316

9.7%

AJL

대구

70

84

20.0%

경북

68

67

-1.5%

138

151

9.4%

RPL

대구

169

170

0.6%

경북

100

112

12.0%

269

282

4.8%

소계

대구

339

368

8.6%

경북

356

381

7.0%

695

749

7.8%

북직기

대구

119

81

-31.9%

경북

49

52

6.1%

168

133

-20.8%

대구

458

449

-2.0%

경북

405

433

6.9%

863

882

2.2%

(단위 : 업체수, %)

구 분

’97년

99년

01년

05년

07년

11년

혁신직기

 

WJL

대구

17,189

14,216

12,453

7,481

4,962

6,260

26.2%

경북

22,863

18,856

18,652

9,835

10,219

10,896

6.6%

40,052

33,072

31,105

17,316

15,181

17,156

13.0%

AJL

대구

1,459

2,579

3,487

3,113

2,443

2,868

17.4%

경북

1,811

2,546

3,406

3,058

3,169

2,872

-9.4%

3,270

5,125

6,893

6,171

5,612

5,740

2.3%

RPL

대구

7,270

6,355

4,036

4,179

3,035

3,075

1.3%

경북

4,713

5,720

5,080

2,432

2,662

2,904

9.1%

11,983

12,075

9,116

6,611

5,697

5,979

4.9%

소계

대구

25,918

23,150

19,976

14,773

10,440

12,203

16.9%

경북

29,387

27,122

27,138

15,325

16,050

16,672

3.9%

55,305

50,272

47,114

30,098

26,490

28,875

9.0%

북직기

대구

23,874

12,317

3,094

2,281

2,430

2,196

-9.6%

경북

10,244

5,821

4,005

1,340

1,146

1,566

36.6%

34,118

18,138

7,099

3,621

3,576

3,762

5.2%

대구

49,792

35,467

23,070

17,054

12,870

14,399

11.9%

경북

39,631

32,943

31,143

16,665

17,196

18,238

6.1%

89,423

68,410

54,213

33,719

30,066

32,637

8.6%

(단위 : 대수, %)

<김진일 기자>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