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섬유수출 증가세 6개월째 지속, 전년 동월 대비 24.4%↑
원부자재가격 상승, 환율변동 등 대내·외 변수, 채산성 저하요인 상존
한국섬유개발연구원(원장 이춘식)은 지난 5월, 지역 섬유기업 1백30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한국무역협회, 지식경제부, 통계청, 한국은행,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으로부터 입수·가공한 지역섬유산업경기에 대한 3·4월의 실적과 5·6월의 전망을 발표했다.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역 섬유산업경기에 대한 체감지수(BSI)로 보는 3·4월의 실적은 종합지수 118.3으로 비교적 양호했으며, 수출 증가세도 6개월째 유지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대내·외적으로 경기불안정 요소가 다소 존재했었지만 재고소진, 계절적 성수기,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심리 등의 요인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또 계절적 성수기인 5·6월의 전망은 종합지수(BSI) 114.4로 지난 3·4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개될 것임을 전망했다.
판매부문의 내수에 있어서는 3·4월 실적은 지수(BSI) 119.3로 양호했으며, 5·6월의 전망 또한 지수 119.6로서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4월의 대구경북섬유류 수출 실적은 2억6천5백만 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24.4% 증가했으며, 전국섬유류수출 실적은 13.5% 증가한 12억8천5백만 달러를 기록, 지수(BSI)상으로도 3·4월 실적은 지수 124.8과 5·6월 전망은 지수 120.8로 밝게 전망됐다.
<월 평균 수출(섬유류) 현황> 단위 : 백만$, %
구분 |
2006 |
2007 |
2008 |
2009. 1~2 |
3~4 |
5~6 |
7~8 |
9~10 |
11 |
12 |
2010. 1 |
2 |
3 |
4 |
전국 |
1,103 |
1,121 |
1,110 |
735 |
1,025 |
958 |
989 |
1,041 |
1,000 |
1,138 |
923 |
880 |
1,130 |
1,285 |
대구경북 |
183 |
204 |
230 |
152 |
198 |
197 |
198 |
210 |
207 |
228 |
196 |
195 |
239 |
265 |
비중 |
16.6 |
18.2 |
20.7 |
20.7 |
19.3 |
20.5 |
20.0 |
20.2 |
20.7 |
20.0 |
21.2 |
22.2 |
21.2 |
20.6 |
생산과 관련한 3·4월 생산실적 및 가동지수는 134.3, 119.3로 활발한 생산활동을 나타냈으며, 5·6월 전망 또한 지수(BSI) 124.8, 119.6로 활발한 생산 활동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됐다.
재고소진에서는 순조로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오더 및 가동률 증가로 인해 설비부족 및 인력수급에서 어려움이 예상되며, 채산성에서도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원부자재가격 상승, 환율변동 등으로 밝은 전망만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또 유럽발 재정위기, 미국과 중국의 경제정책방향, 환율 및 유가 변동 등의 변수에 따른 채산성저하의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보고서는 ‘어려운 대내외적 여건 속에서도 수출회복과 수출단가의 점진적 상승에는 그동안 섬유기업들의 기업부설연구소 운영과 R&D과제 참여 활성화를 통한 차별화 상품개발 등에 충실하였던 결과’로 분석하고 ‘앞으로도 다변화하는 환경변화에 업계가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상품개발과 설비운영 등으로 가속화 되어야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진일 기자>
제26차 섬유CEO포럼’ - 영남대 이효수 총장 초청강연 (0) | 2010.06.02 |
---|---|
지역 섬유산업 관장 공직 1세대, 경상북도 김무한 사무관 지난 31일 명예퇴 (0) | 2010.06.02 |
대구․경북 섬유수출 증가세 6개월째 지속, 전년 동월 대비 24.4%↑ (0) | 2010.06.02 |
大邱市 - 대구·경북 중소섬유 기업들의 미래 준비에 ‘긍정적’ 평가 내려 (0) | 2010.05.05 |
‘지역섬유 혁신주체기관 네트웍 강화 워크숍’ 개최 (0) | 201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