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KTDI, DYETEC - ‘10년도 슈퍼소재융합제품 산업화 사업’ 설명회 개최

통계 및 공지/테크니컬텍스타일-Technical Textile

by 텍스뉴스 Texnews 2010. 2. 22. 21:37

본문

KTDI, DYETEC - ‘10년도 슈퍼소재융합제품 산업화 사업’ 설명회 개최

슈퍼섬유 소재기술개발 3개 과제, 슈퍼소재융합제품화기술개발 8개 과제

 

 

 

 

 

 

 

 

 

 

 

 

‘슈퍼소재융합제품 산업화 사업’이 올 해부터 본격 추진됨에 따라 관련 사업 주요 추진기관인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연이어 참여기업 대상의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한국염색기술연구소는 지난 11일, 연구소 회의실에서 업계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지난 19일엔 양대 기관 공동으로 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서 관련 업계 관계자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0년도 슈퍼소재 융합제품 산업화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섬유산업의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슈퍼섬유소재 융합제품 산업화 사업’은 일반 섬유가 갖는 경량성, 유연성, 내구성 기능에 고강도, 고탄성, 고내열성 등 새로운 기능을 부여한 고성능 신섬유 개발에 포커싱돼 있다.

특히 유관 타 산업의 첨단기술과 연계를 통한 슈퍼섬유 융합제품 연구개발과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통한 해외 시장 공략이 집중 추진된다.

연구기반 구축 사업에는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융합가공 연구기간 구축을 위한 ‘가공연구센터’를 구축하며,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융합소재 연구기반 구축을 위해 ‘소재연구센터’를 구축·참여하게 된다.

또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슈퍼섬유 소재개발사업(소재기술), 슈퍼소재 융합화 기반기술개발사업(기반기술), 슈퍼소재 융합제품화 기술개발사업(융합제품기술) 등이 추진되며, 슈퍼소재 개발은 대기업, 슈퍼소재 융합제품 개발은 중소기업이 주도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 융합화 기반기술은 지역 연구기관과 대학 연구소, 중소기업 등이 주도한다.

특히 전·후반산업 공동발전을 사업추진 배경으로 ‘부품소재사업’ 및 ‘수입소재 대체사업’으로의 성격을 대폭 강화시킨 가운데 단일 중소기업 차원에서 추진이 어려운 만큼 연구기관 및 관련 인프라 등과의 긴밀한 스트림 연계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특히 중소기업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슈퍼소재 융합제품화 기술개발사업(8개 과제)’ 추진에 역점 두고 진행됐으며, 8개 분야로 진행된 융합제품화 분야를 지역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슈퍼소재 융합 제품 산업화 사업”에는 5년 동안 1천404억원이 투입된다.

이 가운데 ▷슈퍼섬유 소재개발(300억원) ▷슈퍼소재 융합화 기술개발(166억원) ▷슈퍼소재 융합제품화 기술개발(366억원) 등 R&D(연구개발)에 832억원이 투입된다.

또 인프라 구축 사업의 경우 ▷융합소재연구기반구축(315억원) ▷융합가공연구기반구축(257억원) 조성 등에 572억원이 투입되며, 올해엔 총 202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56.8억원, 민자 45.2억원)의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올해 추진될 사업과제의 주요 과제명은 다음과 같다.

▶ 슈퍼섬유소재기술개발(3개 과제): ▷ 아라미드 단섬유 개발, ▷ Paper용 아라미드 섬유개발, ▷ UHMWPE 세섬화 기술개발

▶ 슈퍼소재융합제품화기술개발(8개 과제) : ▷자동차용 고내열·고흡음성 경량 복합섬유제품개발(엔진후드, 헤드라이너), ▷고성능 MRG 용 Hybrid cord제품개발(tvjtjadb 융합 타이어용 싱글 엔드 코드 및 아라미드 섬유 강화 내압 호스 재료), ▷경량 특수복용 편·직물개발(아라미드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경주용 보호복 , 군복 및 특수 기능성 근무복), ▷토목지반개량용 다기능 융합제품개발(지반안정 및 경사면 보호용 지오그리드, 지오우븐 슈퍼섬유 융합제품), ▷Sailing Cloth 낙하산 및 패러글라이더용 원단 개발(고성능 레저용 원단), ▷고내열·고내구성 Tubular 형 복합섬유제품개발(부직포 항장체용 스크림 직물 및 심리스형 부직포 벨트 최적화 기술개발), ▷수처리용 슈퍼섬유 복합여과체 개발(대용량의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안정적인 수질과 저렴한 유지관리비로 운영할수 있는 직물형 분리막 필터개발, 수처리용 다공성 필터 및 모듈개발), ▷슈퍼섬유 복합방적사 개발(태섬도 파라계 아라미드 단섬유를 이용한 세 번수 방적사 및 기능성 화섬소재와 혼방사 개발).

<김진일 기자>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