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섬유마케팅센터(KTC)가 전하는 美·中 Market Report
█ 미국섬유시장 동향
미국 섬유시장에 대한 전망은 여러 가지로 혼란스러운 모습.
경기 저점 통과라는 여러 보도가 있긴 하지만 시장 상황은 아주 혼조세.
지표상의 경제와 소비자들의 실물경제와의 갭을 감안하더라도 아직 속단하지 말라고 시장은 말하고 있다.
미국 발 금융경제 위기 이후 1년이 지난 지금 백화점들은 그 동안 적잖은 변화·대응 과정을 거치면서 나름의 자리를 잡은 느낌이지만 아직도 Sales에서 만큼은 불안한 장세.
특이사항은 그 동안 수직 낙하하던 매출이 조금 둔화 됐고 아직까지 떨어지고 있는 곳과 첨차 개선되고 있는 곳으로 정리가 되기 시작했다.
▶ H & M
7월 세일이 기대한 것 보다 낮은 3% 수준.
이는 Same Store Sales 기준으로 기대수준은 0.5% 하락이었으며, 이보다 많이 내려갔다. 전체적으로는 새로 오픈한 매장 덕으로 7%성장해 그나마 많이 나쁘지 않았다.
▶ Kohl’s Corp
Kohl’s는 비교적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Sale은 2.2% 상승하고 Profit은 3.3% 다운해 선전한 편.
이는 주춤하는 경쟁자들보다 과감하게 추가 점포를 오픈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을 밀고 나갔기 때문.
9월 Mervyns의 위치에 37 Stores Open 할 예정이고, 10월말까지는 지난 3년간 Remodeled된 Chain들의 수가 전체 매장의 1/3에 이를 전망이다.
내년에도 20에서 25개 정도의 새로운 Stores가 Open될 예정.
더욱이 Kohl’s는 Dana Buchman의 Relaunch와 Hang Ten을 Exclusive로 들여와서 Merchandising Front도 많이 확장했는데, 이것은 지난해 6,913개의 Retail 매장과 올해 4,600개의 Stores들이 문을 닫는 Global 추세에 반하는 전략으로 최근 kohl’s와 거래하는 사람들이 그나마 물량을 받는 이유 중에 하나.
▶ Wal-Mart
Wal-Mart는 Sales가 1.4% 내려간 대신 오히려 Net income은 $3.45 Billion로 늘어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재고를 5.4%나 줄이고 나름의 성과를 내는 것에는 Miley and Max같은 신규 Brand의 Launching이 도움을 주고 있기 때문.
BCBG와 손을 잡고 진행하는 Junior Brand인 Miley and Max는 Hanna Monata 로 유명한 Teen Idol인 Miley Syrus와 BCBG의 Maxazaria를 연결한 것으로 최근 어 일주일 동안 한 Item이 2백만 장 이상 팔리는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Knit 관련 Vendor들에게는 답답함을 풀어주는 신규 Biz Line 이다.
결국 잘되는 것은 그나마 Junior란 이야기가 있을 정도.
▶ JC Penney
Manhattan 매장을 오픈해 Macy’s 와 붙어보자는 대응의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7월 실적은 12.3%나 실적이 빠지는 등 별로 좋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JC Penney도 Forever 21과 같은 저가의 Junior Line을 강화하는 전략도 구사하려 하고 있으나 아동복 등의 실적이 저조하다.
대신 가격인하 판매를 줄여 그나마 이익은 줄지 않고 버티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으며, 여러 Exclusive Brand에 기대를 갖게하고 있다.
많은 Brand들에게 있어 이들의 성격을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 것이 백화점과 거래의 중요한 Point .
▶ Gap
7월 Sales도 8% 내려가 있다.
Brand 별로 보면 Banana Republic 7% Old Navy 8%, Gap 9% 감소 했다.
Gap이 나름의 방향을 잡기 시작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인 것으로 보이지만 이곳도 역시 Sale 폭을 줄임으로써 이익의 감소는 최소화 하는 상황.
▶ Abercrombie
28% 판매 감소가 있었다.
하지만 가격이 더 올라가고 나름의 고가정책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충성도 높은 고객으로 승부하겠다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Style 역시 매우 Basic 하다.
Denim, Knit Top 등 팔 원단이 별로 없는상황이다.
▶ Macy’s
10.2% 실적 감소를 보였다.
Macy’s 역시 별로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자체 Brand들이 힘을 발휘 못해 Macy’s를 전개하는 Vendor들이 무척 힘들어 하는 상황. Woven Item이 이번 Summer에도 강하지 못해 Line Program도 크지 않고 Cotton Pants도 별로 많지 않았다.
▶ Target
6% 정도 Sale이 빠졌으나 오히려 전망치 보다는 적다고 평가해 주가가 올라가는 일이 있었다.
Food나 건강식품 등 원단과 상관없는 것에서 매출이 있는 반면 스포츠 상품과 더불어 의류는 아주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조금의 Quality에 문제가 있으면 Return 하는 일도 벌어진다.
Fall Item들의 경우 Wet Crocking 등 민감한 부분의 원단 Test들이 문제가 돼 원단 제조업체에 책임 전가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으로 주의가 요망된다.
▶ Limited
Victoria Secret의 매출이 많이 빠져 전체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다.
아무래도 야한 속옷은 경기에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른 Brand는 나름 선전을 하고 있다.
그나마 Limited는 한국산 원단을 많이 사용했으나 최근에 저렴한 중국산 원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원단 상황
S/S 용 Order를 받아야 하는 시기.
Order가 진행되고 있지만 수량이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이 Market의 반응이다.
그나마 ITY Single Printed Jersey는 많이 팔리지만 Printed되어 $2.30/Y 선을 넘지 못하는 관계로 마진은 별로 없다.
수량이 돌아가는 몇 안 되는 Item 인지라 Dress Market에 많이 Working 한다.
F/W엔 Leather Looking이 나는 Faux Suede를 많이 찾고 있다.
Moleskin류와 해도사를 사용한 Micro Fiber가 의미 있다.
T/R류도 Brush를 해서 Wool의 느낌이 나는 것들이 많이 보인다
Plaid는 줄어들고 Plain한 표면의 옷감이 많이 보인다.
Wool의 경우 가격 때문에 Recycle된 것을 많이 찾고 있다.
Color는 Green 계열과 Dusty한 Red가 보이지만 전체적인 Color는 Grey이다.
Sample을 만들 때 Color을 Grey나 Green Tone으로 하는 것이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Jacquard는 그리 많지 않고 Knit의 강세는 여전하다.
Skirt의 경우 Pencil Skirt 등이 많아 Stretch가 들어간 것이 중요하고 Down Jacket의 약세로 Nylon 계열은 좀 저조할 전망이다.
Brushed된 Fabric에 대한 반응이 있을 전망.
█ 중국의 섬유산업 현황
▶ 1월 ~ 5월 중국 화학섬유 업계 경제운영 분석 ‘운영의 묘미’ 개선
2009년 1월 ~ 5월까지, 중국 화학섬유 업계 이윤총액은 25.4억 위안.
전년도 동기 대비 34.69% 감소했지만 하락폭이 작아진 게 뚜렷하다.
적자 기업의 결손금은 23.31억 위안이며, 전년도 동기 대비 32.46% 상승했지만 상승하는 속도가 늦춰졌다.
총 생산량은 1,041만 톤으로 전년도 동기 대비 7.83% 증가했으며, 증가하는 속도는 0.43% 상승했다.
생산과 소비 비율은 100.27%로 전년도 동기 대비 2.08% 향상됐다.
수입은 33만 톤으로 전년도 동기 대비 12.88% 감소했다.
하락폭이 매월마다 축소되는 경향.
한편 수출은 52.7만 톤으로 전년도 동기 대비 29.99% 감소했다.
2009년 상반기, 중국 화학섬유 업계 경제운영 상황이 전년도 하반기보다 좋아지면서 일부분의 지표는 전년도 동기의 수준으로 회복했다.
기업 가동률이 춘절 이후에 점차 회복했으며, 대부분 제품의 가격은 3월 중순 후에 올라갔다.
업계 경제적인 효과와 수익, 그리고 운영의 질은 전년도 동기 대비 계속 떨어졌지만 하락폭은 1월 ~ 2월보다 빠르게 줄었고 3~5월 전 업계의 이윤은 26.7억 위안이었다. (중국 화학섬유공업협회)
▶ 중국 - 대만 양안 방직업계 상호합작 안정 추진 ‘양안 투자 교류 심포지엄’ 개최
최근 중국 대외경무대학교와 대만 중화경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양안 투자 교류 심포지엄’이 타이페이 원산호텔에서 개최됐다.
본 회의에서 중국 방직공업협회 부회장이 방직업계 주제 발표한데 이어 대륙의 방직공업 대표단체와 대만 방직산업종합연구소는 ‘양안 방직산업 투자 교류회의’를 열고 양안 산업 발전현황, 합작상황, 미래의 합작 건의에 대해서 깊게 토론했다.
중국 방직공업협회 대표단과 대만 방직산업 종합연구소 회장 및 연구소장은 80여명의 양안 방직업계 업자들과의 교류회를 통해 ‘양안 방직산업 투자교류회의 결론’을 도출하고 산업기술과 제품개발 등에 대해 협력을 강화시키기로 합의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중국방직공업협회와 대만 방직산업종합연구소는 양안 방직산업 기술합작과 제품 공동개발에 노력하며, 기능성 방직품, 산업용 방직품, 환경보호제품, 에너지절약 온실가스 배출감소, 그리고 인재훈련 등의 부분에서 상호 협력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산업정보교류 루트와 교류 공간을 마련한다.
- 양안 방직산업의 해외시장 판매합작을 강화시키고 양국 유명 브랜드를 통해 국제 시장을 공동 개척하면서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상호 전시회에 공동 참가하고 디자인교류 등 활동을 강화시킨다.
- 양안 방직산업 투자합작과 협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특히 산업 가치사슬을 통합해 공동 시장을 개척하는 데에 힘써서 양측 모두 이익을 얻도록 한다.
▶ 심천시 임금 가이드라인 10년 만에 낮춰
심천시가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가이드라인을 10년 만에 처음으로 낮췄다.
심천시 노동사회보장국은 7월 22일 20개 업종 1,400개 주요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이전보다 3.8% 낮은 월 2,750위안의 임금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했다.
임금 가이드라인은 최저임금과는 다른 것으로 근로자들의 적정 평균임금을 말한다.
이에 따라 국영기업과 민간기업 간 급여차이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국영기업의 월평균 급여는 현재 3,503위안이다.
중국 남방일보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심천시의 경우 글로벌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아 상대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와 같은 조치가 취해진 것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이 신문은 가공수출이 주요사업인 한 심천진출 홍콩기업의 경우 이미 월평균 급여를 정부가 제시한 임금 가이드라인보다 낮은 2,400위안으로 떨어뜨렸다고 전했다.
또 작년 까지만 해도 심천시에서 근로자를 구하기 어려워 기업들이 구인난에 허덕였지만 지금은 근로자들이 구직난을 겪고 있어 임금이 추가로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심천시 홍콩기업가협회는 임금 가이드라인이 20% 이상 더 낮은 월 2,200위안 선으로 내려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중국에서 제일 돈 벌기 쉬운 도시는 광주, 심천
중국의 광주와 심천이 중국에서 가장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많은 도시로 꼽혔다.
광주일보가 지난 7월15일 관련기관과 공동으로 실시한 합동 조사를 통해 중국에서 돈을 벌 기회가 가장 많은 도시로 광주와 심천을 비롯한 동부, 동남 연안도시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해 중국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도시로는 항주, 영파, 곤명, 천진, 불산(광동성), 소흥, 장춘, 무석, 장사 등으로 나타났다.
▶ 방직, 의류산업 회복세로 돌아서기 시작
최근의 몇 가지 수치들을 보면 방직복장산업이 2/4분기 이후 회복국면에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방직협회에 의하면 내수판매량의 증가가 해외시장의 불경기를 상쇄해주고 있다는 것. 즉 내수수요의 증가가 업계회복을 주도하고 있는 것.
최근의 세관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의 방직복장 총 수출액은 140억불로 작년보다 10%가 줄었다.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의 총 수출액도 728억불로 11%가 줄었다.
정부는 그 동안 2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수출세 환급률을 지금의 16%까지 끌어올렸으며, 이러한 조치가 어느 정도 수출을 늘리는데 기여했다.
그리고 금년 초 미국시장의 쿼타제도 종식도 수출에 숨통을 틔워주긴 했다.
비록 상반기 중 수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지만 해외시장에서의 마켓 쉐어는 늘고 있다.
1월-5월의 미국시장 쉐어가 3.75% 증가했는데 해외시장에서의 중국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한편 내수시장을 보면 1월-5월까지의 총 매출액이 1조530억 위안에 달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9.4%가 증가했다.
앞으로 다가올 성수기 시즌을 감안하면 투자를 포함한 많은 부분에서 많은 품목이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 확실해 보인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지금이 성장으로 돌아서는 아주 중요한 시점에 있기는 하나 업계 자체의 업 그레이딩 작업노력도 아주 중요하다고 말한다.
기술개발과 기술 혁신에 대한 투자 그리고 해외 시장 쉐어의 끊임없는 신장, 내수시장의 확대 등이 모두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 면방업계, 생산 안정유지, 투자 회복세
중국의 면방 업계는 생산은 그런대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고 투자 면에서 약간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 통계자료에 의하면 1월-5월 5개월간 생산 면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동 기간 중 원사생산량은 879만 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9.02%가 증가했으나 원단생산량은 206억 미터로 0.86% 감소했다.
한편 동 기간 중 누적 고정자산 투자액은 248억 위안으로 4.13% 증가했다.
면직물 원단과 면직물 의류제품의 총 수출은 5개월간 237억불로 전년비 12.51%가 감소했다. 의
류제품이 168억불로 10.3% 감소한 반면 원단은 감소폭이 더 커 69억불로 17.3%가 감소했다.
중국의 면직의류 수출은 2008년 6월 이후 지속적인 마이너스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면사 수출도 1월-5월 누계 20만 2천 톤으로 21.2%나 감소했다.
▶ 톱 4대 수출시장이 모두 감소세
- EU: 쿼타폐지로 한 때 면직물류 수출이 급격히 늘었으나 글로벌 경제위기 탓으로 작년 9월 이후 수출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 미국: 마찬가지로 미국 발 경제 위기로 인한 소비침체로 지속적인 수출 감소를 보이고 있음
- 일본: 작년까지는 그런대로 낮은 성장수준을 이어 왔으나 금년 들어 네거티브 성장으로 돌아섰음
- 아세안: 다른 시장과는 달리 아세안 시장에서는 호조를 보이고 있고 금년 4월 수출에서 가장 큰 피크를 이루었음
- 홍콩: 1월 - 5월 누적 면사수출액이 15억7천만 불에 그쳐 25.6%나 감소했음.
<요약 발췌 김진일기자>
아화텍스타일 - 천연감물염색 양산체제 구축 (0) | 2009.10.14 |
---|---|
충남 유구 자카드 섬유마케팅센터 오픈 (0) | 2009.09.27 |
한국폴리텍섬유패션대학, 이시아폴리스 內 건립 기공식 (0) | 2009.09.27 |
KTC, 유럽시장 공략 위해 Texworld 공동관 참가해 (0) | 2009.09.27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고객우선 평가업무 서비스’ (0) | 2009.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