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3단계 대구지역섬유산업 진흥사업 최종안 발표’

뉴스 섹션/핫 뉴스 포커싱

by 텍스뉴스 Texnews 2008. 9. 2. 10:22

본문


   ‘3단계 대구지역섬유산업 진흥사업 최종안 발표’

   섬유산업, 내년부터 4년간, 국비포함 총 404.14억원

   섬유업종 단위사업 및 5개전략산업 공동추진사업 참여

 

<편집자 주>


‘2단계(2004~2008년) 대구지역섬유산업 진흥사업’이 올 해 마무리됨에 따른 3단계 사업이 내년부터 2012년까지 추진된다.

대구지역은 섬유산업, 메카트로닉스-전자구동 및 부품, 메카트로닉스-나노신소재, 전자정보기기산업, 생물산업 등 5대 주요 전략산업으로 추진될 예정인 가운데 이들 산업 관련 세부 사업 및 예산안이 최종 확정·발표됐다.

섬유산업은 ‘인프라(기반구축사업)’에 총 114.71억원(국비·지방비·민자 포함), '기술개발(R&D)'에 총 178.26억원, ‘기업지원서비스’에 74.00억원, ‘인력양성’에 37.16억원 등 총 4개분야에 국비 213.93억원, 지방비 92.94억원, 민자 97.27억원으로 총 404.14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한편 섬유산업은 지역 5대 전략산업별 별도 사업 참여와 함께 기술개발, 기술지원, 기업지원, 인력양성사업으로 구성된 ‘5개 전략산업 공동추진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섬유산업분야에서는 ‘섬유산업 육성 기반정비사업’,‘나일론 Thin fabric 상품화’,‘나노입자 담지 기능성소재개발’,‘인체 및 환경친화적 자기응답형소재개발’,‘융합소재 및 의류제품개발’,‘고부가가치 섬유제품 마케팅강화사업’,‘하이테크 섬유개발 인력양성사업’ 등의  주요 사업이 추진된다.

또한 ‘공동추진사업’을 통해 ‘대구 인력양성 공동지원 사업’,‘대구 마케팅 공동지원사업’,‘대구 지식서비스 공동지원사업’,‘화섬산지-기술지원 공동사업’,‘염색가공공정-기술지원 공동사업’,‘기반육성기술 공동사업’ 등에 참여하게 된다.

사업별 추진 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본지는 화섬직물산지인 대구지역 섬유산업 진흥사업 3단계 사업을 통해 추진·전개될 주요 사업을 지상소개하는 한편 관련 섬유기업들에게 이해를 돕고자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단위 : 억원)

구분

사업구분

세부사업

프로그램

구체적 사업명

국비

지방비

국비,

지방비합계

민자

총합계

인프라

(기반구축)

전략산업육성

기반정비사업

섬유산업 육성 기반정비사업

27.23

52.48

79.71

35.00

114.71

지역특화센터

신설

-

 

 

 

 

 

랜드마크형

인프라구축

사업

-

 

 

 

 

 

소계

27.23

52.48

79.71

35.00

114.71

기술개발

(R&D)

지역전략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

섬유산업 선도기술개발사업

7.30

 

7.30

2.43

9.73

지역전략기획

기술개발사업

섬유산업 지역전략기획

기술개발사업

52.00

 

52.00

17.33

69.33

혁신자원

연계형

기술개발사업

섬유 혁신자원연계형 기술개발사업

74.40

 

74.40

24.80

99.20

소계

133.70

 

133.70

44.56

178.26

기업지원서비스

마케팅

고부가가치 섬유제품 마케팅강화사업

30.00

32.50

62.50

11.50

74.00

소계

30.00

32.50

62.50

11.50

74.00

인력양성

인력양성사업

하이테크 섬유개발 인력양성사업

23.00

7.96

30.96

6.20

37.16

소계

23.00

7.96

30.96

6.20

37.16

합계

213.93

92.94

306.87

97.27

404.14


<3단계 대구지역진흥사업의 섬유분야 사업별 투입예산안>

(단위 : 억원)

구분

사업구분

세부사업

프로그램

구체적 사업명

국비

지방비

국비,

지방비합계

민자

총합계

공동추진사업

기술개발

(R&D)

기반육성기술 공동사업

0.00

40.00

40.00

13.30

53.30

소계

0.00

40.00

40.00

13.30

53.3.0

기술지원

기술지원 공동사업

77.50

58.96

136.46

0.00

136.46

소계

77.50

58.96

136.46

0.00

136.46

기업지원

대구 마케팅 공동지원 사업

4.00

9.00

13.00

0.00

13.00

대구 지식서비스 공동지원 사업

30.00

0.00

30.00

13.20

43.20

소계

34.00

9.00

43.00

13.20

56.20

인력양성

대구 인력양성 공동지원 사업

6.00

4.00

10.00

0.00

10.00

소계

6.00

4.00

10.00

0.00

10.00

합계

117.50

111.96

229.46

26.50

255.96

전략산업기획단 운영사업

36.00

24.00

60.00

0.80

60.80

총계(억원)

811.50

435.31

1246.81

218.67

1465.48

<3단계 지역진흥사업 -대구 5대전략산업 대상 공동추진사업 예산>



█ 섬유산업 - 단위사업 요약



▶ 섬유산업 육성 기반정비 사업


이 사업은 향후 한미FTA 체결 등으로 인한 기능성 섬유에 대한 수요증대에 대응하고 섬유기업의 글로벌 브랜드 창출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섬유소재의 차별화·고기능화를 통한 섬유산업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의 전환이 주요 골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대구광역시 (참여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봉제기술연구소, 한국패션센터, 한국섬유기계연구소) 등이 참여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추진되며, 고기능 첨단 소재 개발 장비의 구축 및 기업 지원을 사업 내용으로 한다.

산업용, 첨단 스마트 등 고부가가치 제품 연구개발을 위한 장비 도입과 IT,BT,NT 등 타산업 간 기술융합 섬유소재 및 제품을 개발하는데 집중 포커싱되며, 소재분야 및 염색, 환경분야 , 봉제 및 완제품평가분야 장비가 도입될 계획이며, 장비활용을 통한 융합소재와 기능성 의류 시제품 생산 지원을 추진하게 된다.

사업 추진을 통해 섬유산업과 첨단기술과의 융․복합화에 의한 새로운 섬유업종 창출(10건/년), 기 구축 설비의 성능향상 및 새로운 용도 개발을 위한 신규설비 도입 - 설비 개체 및 도입(15종/년), 니치마켓 개척(2종/년), 신소재 및 공법 개발(2종/년), 기 구축 인프라를 활용한 신상품개발 지원(100건/년), 시제품생산 지원(400건/년)의 기대 효과를 목표로 한다.



사업에서는 장비 도입비 38.9억원(국비 27.23억원, 지방비 11.67억원) 을 포함 국비·지방비·민자 등 3년간 총 114.71억원이 투입된다.

범용의 섬유기술과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형 Life Style에 대한 대응은 물론 하이테

크섬유산업으로의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로하는 사업이다.

생산 및 개발 지원 체제 확충과 함께 1, 2단계에서 추진되어 온 인프라를 미래형 섬유산업

에 적합하도록 유지보수, 보완 및 업그레이드가 핵심 키-워드.

향후 국내 섬유산업은 2010년 섬유수출 300억불(무역수지 200억불)을 달성해 세계 3위의

섬유수출 강국으로 성장하는 한편 그 중 하이테크 섬유의 생산비중을 현 단계에서 50%로

증가시킬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의 체질 개선 및 국제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며, 기 구축 연구개

발 인프라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차별화 제품 개발 및 시제품 생산 지원, 산학연간 연계 클

러스터구축에 의한 입체적 연구개발지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타산업간의 기술적인 융합을 지원할 수 있는 High Tech.섬유 기반이 구축될 경우 지

역을 대표하는 새로운 섬유산업 성장동력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사업 추진에서는 공정별 스트림 간 네트워크 및 기 구축되어 있는 특화센터간의 협업 강화,

패키지 및 컨소시엄 형태의 기업지원 등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완성을 도모하며,

동시에 섬유산업의 재도약을 추진하는 것으로, 1,2단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과는 차별화

시켰다.

섬유산업의 Digital화 및 융․복합화와 같은 세계적인 흐름에 대응키 위해 기 구축된 설비 운

영 및 Up-grade, 사업 확대를 위한 설비개체에 대한 예산 미확보의 부담이 적잖았지만 본 사업의 추진으로 해소가 가능하게 됐으며, 타 업종간의 협력에 의한 융복합형 hightech 섬유제품 개발 시 스트림 간 협력 및 이업종교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1, 2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을 통해 구축한 기존 주력 부문(직물, 염색가공 분야)의 고부가가치화와 고성장 분야(운송․수송용, 가정용, 스포츠․레저)로의 신규 진입 확대를 위한 ‘하이테크섬유 육성기반 정비사업 중장기 로드맵’의 완성이 중점 추진된다.


 <하이테크섬유 육성기반 정비사업 중장기 로드맵>

구  분

기반정비 단계

응용활성화 단계

확산안정화 단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기 구축 인프라 보완 및 버전업

기관별 장비 보완

장비 버전업 및 기관 간 장비 연계 시스템 구축

업계 장비 활용 및 지원

융합소재 및 의류기술개발

스포츠용 섬유제품

헬스케어 및 차세대섬유제품

글로벌 제품화

보호․방재용 섬유제품

차량̇․수송용 섬유제품

IT융합 산업용 섬유제품

환경․에너지용 섬유제품

제품실용화 지원

협업프로젝트 구축

상품화 

스타기업 실현


이 사업은 2009년부터 2011년 까지 3년동안 총 114.71억원(국비 27.23억원, 지방비 52.48억원, 민자 35억원)이 투입된다.

주요사업으로는 하이테크섬유 및 융합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정비사업을 통한  1~2단계 조성된 인프라기반의 유지, 보완  설비 Up-grade와 이를 바탕으로 한 융합소재 및 의류제품 기술 개발 지원, NT, BT, IT, ET 등 타 산업 경계영역을 공유하는 high-tech제품 개발 지원이다.


사업구분

사업내용

하이테크섬유 및 융합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정비사업

▫ 기 구축 인프라의 기반 정비(유지, 보완, 개체, Up-Grade)

  - 소재, 제직, 염색가공, 환경청정설비, 봉재, 섬유기계, 패션

고부가가치 제품(특수․산업용, 첨단 스마트 등) 연구개발 장비 도입

기능성 시제품 제작 및 기업 공동시설 지원을 위한 장비 보완/도입

▫ 하이테크 의류용 및 스포츠용 섬유소재/제품 개발

▫ 자동차, 수송용 및 전자, IT융합 섬유소재/제품 개발

▫ 환경, Clean 기술 및 건강/의료 관련 차세대 신소재/제품 개발

▫ 방재, 방호 섬유소재 및 완제품 개발


하이테크섬유 및 융합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정비사업을 통해 중합설비, MB제조기, 특수방사설비, 복합사제조기 등 소재분야 설비 버전업 및 도입,  염색기, 날염기, DTP, 코팅기, 니트, 환경설비 등 염색/환경분야 설비 버전업 및 도입, 인공지능연단기, 초음파 봉제기, 무봉제 재봉기 등 봉재분야 설비 버전업 및 도입 등이 추진된다.


<사업 추진체계>


 

 

지식경제부

 

 

 

 

 

 

 

 

 

대구광역시

 

 

 

   

 

 

 

 

 

 

 

 

 

대구경북 섬유산업협회

 

 

 

섬유신성장

전략사업단

 

 

 

 

 

 

 

             

 

 

      : 조정, 관리

           : 감독,심의,자문

 

 

 

 

한국염색기술연구소

: 주관기관

 

 

 

 

 

 

 

 

 

 

 

 

 

 

 

 

 

 

 

 

 

 

 

 

 

 

 

 

한국섬유개발

연구원

 

한국염색기술

연구소

 

한국봉제기술

연구소

 

한국패션센터

 

한국섬유기계

연구소

 

 

 

 

 

 

염색, 가공분야

인프라 검토

방사, 제직분야

인프라 검토

패션, 디자인분야

인프라 검토

섬유기계분야

인프라 검토

봉제, 완제품평가분야

인프라 검토


한편 이 사업의 추진이 완료될 경우 섬유산업과 타산업과의 융․복합화에 의한 섬유 신용도 창출 및 용도다변화를 통한 산업구조고도화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Hybrid형 첨단기술 및 Killer Application 개발 창출로 업체의 신제품개발 및 핵심기술 확보 지원하는 한편 Ubiquitous에 기반한 생산설비의 자동화, 첨단화 및 유지보수 System 개발 및 IT와 융합한 염색 가공공정의 차세대 기술 개발 등이 그것.

또 기 구축 인프라 활용도 제고 및 신상품개발 확대로 화섬산지의 체질강화에 기여하는 한편 섬유공정별 스트림 간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섬유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예상된다.


▶ 나일론 Thin fabric 상품화


세계 최고수준의 품질과 기능성을 겸비한 Down Proof용 Nylon Thin Fabric 및 상품화 기술개발을 통해, 세계 일류상품을 개발함과 동시에 그동안 생산기능중심의 경영구조인 화섬산지 나일론기업의 새로운 Business Model을 개발키 위해 추진되는 사업.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2년간, 국비 14.60억원, 민자 4.86억원 등 총 19.46억원이 투입된다.

사업 추진에서는 고강력 세섬도 나일론 원사 방사 및 가연공정기술개발과 High durable down proof 나일론 Thin fabric 제직요소기술개발, High durable down proof 나일론 Thin fabric 물성발현 염색 후가공기술개발, 트렌드 및 시장 접근적 봉제, 마케팅 기술개발이 추진된다.


▶ 나노입자 담지 기능성소재개발


이 사업은 산업용, 의류용 차별화소재의 신규 수요 창출 및 신섬유 소재의 개발과 용도 전

개와 수직적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Down Stream 업체들의 기술혁신 활성화, 제품의 질 향상, 원사의 용도창출 및 소비촉진 유도를 목표두고 있다.

2009년부터 2012년 까지 4년간, 국비 19.5억원과 민자 6.51억원 등 총 26.01억원이 투입

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최적 나노입자 혼합율 및 Compound 조건 결정, 단면형성용 Pack 및 Spinneret 결정, Morphology 제어기술 확립, 용도적합성 원사 Recipe 결정, Texturing, 제직공정 조건의 제어를 통한 최적조건 확립, 용도별 맞춤형 상품화기술 개발이다.


▶인체 및 환경친화적 자기응답형 소재개발


본 사업은 적절한 기술개발과제의 도출, 치밀한 연구기획, 전문생산기술연구소를 통한 간접 지원, 산학연 공동개발 시스템의 강화 등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제고와 함께 선도기업 주도의 연관기업과 스트림 간 연계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 섬유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추진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국비 19.50억원, 민자 6.49억원 등 총 25.99억원이 투입해 Medical Care 섬유소재 제조기술과 환경응답 지능형 섬유소재 제조기술, 자극대응기능성 섬유, 형상기억 온도조절섬유 제조기술, 유독물질 감지․제어섬유 제조기술 개발을 목표로하고 있다.







▶ 융합소재 및 의류제품개발


이 사업은 지역 섬유산업이 1, 2단계 사업을 통해 구축된 합섬 상품화 기반기술과 IT, BT

및 NT와의 연계를 통한 Hightech 고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으로의 상품화 영역을 확대키 위해 추진된다.

특히 Hightech 고기능섬유소재 및 관련제품 생산기반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아이템 전

환 및 고용증대를 목표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국비 19.50억원, 민자 6.50억원 등 총 26.00억원을 투입,  IT, BT, NT 등 이종 기술융합을 통한 전 산업 경계영역을 공유하는 Hightech 차세대 기능성소재를 개발하는 한편 섬유공정별 스트림 및 특화 센터간 연구개발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핵심기술 지원을 추진한다.

특히 익스트림 특수제품, 헬스케어 및 차세대 섬유제품, 전자․IT 융합 산업용 섬유소재 개발, 자동차, 수송용 섬유제품 개발, 환경, Clean 제품 및 자가제어 정화용 섬유제품 개발, 방재, 방호 섬유제품 개발, 건강, 리사이클 융합 신소재제품 개발을 목표두고 있다.


▶ 혁신자원 연계형 기술개발


본 사업은 지역 섬유산업의 혁신 역량강화 및 산학연 연계를 통한 핵심역량 보유기업 중심

의 단기 기술개발사업 지원을 위한 사업이다.

지역 핵심기술 보유기업의 애로기술, 신기술 사업화, 핵심요소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단기

간에 글로벌 경쟁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은 제품개발 유도를 목적으로 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국비 74.40억원, 민자 24.80억원 등 총 99.20억원을 투입, 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관련 업체들과 산학연 클러스트를 형성해 혁신(6T 기술) 연계를 통한 기술개발을 수행한다.

또 수출 주도형 사업의 전환과 하이테크 의류 및 하이테크 산자용 섬유로의 발전을 위한 스트림연계 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 고부가가치 섬유제품 마케팅강화사업


해외거점 구축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 및 마케팅지원 시스템 수립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1, 2단계 개발 성과물의 상품화 및 해외 수출 지원을 추진하고 고기능성 섬유제품의 개발력은 갖추고 있지만 해외마케팅 능력 부재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체 대상의 마케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국섬유마케팅센터, 대구광역시(참여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봉제기술연구소, 한국패션센터,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추진 주체가 돼 2009년부터 2012년 까지 4년간 국비 30억원, 지방비 32.5억원, 민자 11.5억원 등 총 74억원을 투입한다.

고부가가치 제품 선진시장 수출 확대 기반 구축 및 마케팅 지원이 목적이다.

기존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해외거점을 타깃으로 제직업계의 직물 중심의 마케팅을 지원해왔지만 고부가 제품 수출확대를 위해 EU, 미국 ,홍콩, 폴란드 등으로의 진출 지역 확대와 함께 염색가공, 어패럴 및 완제품 대상의 지원 범위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BRICs, 선진시장, 유통중심시장을 아우르는 글로벌 마케팅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한편 지역 특화상품 선정 및 개발부터 전시회 참가, 현지거점을 통한 수주지원 등 체계적인 통합 마케팅 지원사업을 400여개 중점기업 대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해외거점을 통한 시장동향, 상품정보, 주요 바이어 동향 등 특화정보를 1,000여개기업에 실시간 제공하는 등으로 중소기업의 해외 마케팅 지원 및 능력 배양을 통해 섬유제품 수출 증대 및 섬유 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시킨다.

이와 함께 해외거점 11개소 설립 및 운영을 통해 바이어 수요를 반영한 차별화 제품의 개발 지원과 마케팅 활로 개척으로 핵심 500개 대형 바이어 확보 및 5,000만불 수주지원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중국 등 후발 경쟁국과의 기술경쟁력 격차는 2.3년으로, 가전의 1.8년보다도 상대적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 및 수출물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HIGH TECH제품 개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질 구매력을 가진 바이어와의 거래 부진으로, 시장이 요구하는 상품을 생산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

마케팅 강화사업은 시장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획 개발과 마케팅 능력의 확보를 목표 두고 있다.

해외 직접진출을 통한 유통비용 축소와 이를 통한 수익성 향상, 밀라노프로젝트의 R&D 성과물의 상품화 및 향후 개발 방향의 설정, 통합 마케팅 지원기구의 필요성 증대 , 지역 업계의 지속적인 해외마케팅 지원 요청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사업의 전개가 주요 방향이다.

     


 





기존 1단계 해외마케팅사업과의 차별성을 위해 MIDDLE STREAM(소재)중심 지원 체계에서, DOWN STREAM(어패럴 완제품)을 포괄하는 통합 지원 시스템으로 확대하는 한편 선진시장 진입전략 수립, 고부가가치 HIGH TECH제품 수출 제고 및 업계 수익성 증가를 위한 신규 전략을 확보해나간다.

1단계 사업이 BRICs 지역 거점, 제직업계 소재산업, 생산 거점 진출을 통한 수주증대였다면 2단계 사업은 선진시장 및 유통거점 지역, 염색가공 및 완제품으로의 지원 범위 확대, 스트림간 융복합 지원 시스템 구축, 고부가가치, 하이테크 제품, 수출 증대를 통한 수익성 향상사업으로 차별화시켜나간다.

특히 ‘해외마케팅 사업’은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글로벌 마케팅 기반 구축 사업으로, 전 단계에서 구축된 거점 및 지원 인프라의 활용을 전제하여 입안된 사업인 만큼 1단계 사업에서 구축된, BRIC's 중심의 거점을 통한 수주 증대 노력과, 선진시장 신규 거점에서의 최종 바이어에 대한 공략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체계구축을 목표로 한다.

          











○ 연차별 목표

구분

연차별 중점목표

주요 사업내용

목 표

1차 년도

N.Y. 거점구축

▫기존 정보 AGENT를 정보 및 마케팅지원

▫AGENT로 강화

거점개소 

MIDDLE STREAM 지원체계 확보

▫기존 제직/염색가공 분야 인력 및 조직 충원

아이템 DB 추가 구성 및 지역별 업무 분장

MIDDLE STREAM팀구성, ITEM DB 구성

2차 년도

EU거점구축

▫PARIS에 EU지역 마케팅 거점을 구축

거점개소

DOWN STREAM 지원체계 확보

▫봉제 및 패션 완제품 지원 인력 확보

대표 아이템 DB 구축/업무지원 매뉴얼 구성

DOWN STREAM팀 구성, ITEM DB 구성, 지원메뉴얼

3차 년도

HONGKONG 거점구축

▫유통 거점으로서의 역할 및 광동지역 연계 성과를 고려한, 홍콩지역 거점 구축

거점개소

지역별 권역화 사업

▫상해, 광조우, 청두(신규개설)를 묶어, 중국지역 본부를 개설하고, 상해를 중심으로 권역별 지역 밀착형 마케팅 개시

거점(청두)개소, 상해조직개편 본부 승격

4차 년도

WARSAW 거점 구축

▫동구권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바르샤바 지역에 신규 거점 개설

거점개소

연속 

 

추진

 

업무 목 표

해외 수주

▫해외마케팅 사업 지원을 통한 참여 업체 해외 수주 결과

6,000만불/4년

Inquiry 지원

▫KTC에 의해 중계 및 처리된 구매 문의

3,000건/4년

해외전시회 참가

▫자체 참가 및 참가 지원

20회/4년

▫공동관 주관

20회/4년

▫자체 개최 전시회

6회/4년

시장개척단 파견

▫거점 미구축 지역 신규시장개척단 및

 거점 구축지역 대상의 수주개척단 운영

4회/4년

현지시장 정보제공

▫거점 현지의 산업 및 바이어 동향, 수출입 정책 변화 등 상품 기획 및 판매전략 수립에 지원되는 현지 정보.

600건/4년

현지 트렌드 정보제공

▫시즌별 트랜드 정보 및 시기별 해외 시장의 주요 트랜드 흐름을 소재 중심으로 분석 제공

100건/4년

주요사업으로는 ‘마케팅 기반 구축 사업’으로 기 구축 거점 운영 기반의 신규거점 구축이다.

기 구축 거점 운영사업과 참여기업 해외거점 구축지원사업의 확대, 신규거점 구축, 수도권

거점 구축 등이다.

특히 국내 마케팅 지원사업 수행을 위해 서울에 거점사무소를 설치하는 한편 국내 어패럴

브랜드, 컨버터 및 섬유패션 유통 업체와의 수주 업무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시장 및 판로 개척 사업’으로 아이템 DB구축사업, 바이어 네트웍 구축사업, 국내 마케팅 지원사업, 수주지원사업 등을 추진한다.

‘의류제품 분야별 특화 마케팅 사업’의 경우 1단계 마케팅 기초 기반 구축을 통해 2단계로 분야별 특화된 마케팅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3단계에서 스포츠의류, 패션의류, 특수의류 분야 등으로의 마케팅 기반을 완성한다.

이와 함께 ‘R&D기반 상품기획 및 마케팅 사업’과 ‘산업용 섬유 생산설비 분야 해외 신규시장 개척사업’,‘고부가가치 상품 기획·개발지원’,‘ 중소기업 온라인 마케팅 지원사업’ 등을 병행 추진한다.

‘전시회 및 시장개척 사업’으로 거점 지역 중심의 지역 특화 아이템 보유업체를 연 5회 이상 전문 전시회에 참가하는 사업과 ‘시장개척단 파견 사업’을 추진하며, ‘특화정보제공 사업’도 병행한다.

공동마케팅사업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2단계 Milano Project 추진기관 및 단체 대표들과 학계, 업계의 대표들로 구성하는 한편 산․학․연의 협력 및 연계모색한다.

< 사업추진 체계도 >


해외 공동마케팅 지원사업의 성과물인 해외시장정보 및 소비자 경향 정보를 각 기관, 단체

들과 공유하는 동시에 실무책임자 모임을 활성화해 상호 협력방안을 토의하고 함께 성장· 전문화할 수 있도록 공조체제를 구축한다.

또 사전, 기획 마케팅 : 현지 시장 정보 및 트렌드, 컬러 정보 : 해외마케팅 사업 시장의 요구에 대한 적극적 대응 구조를 구축 (QUICK RESPONSE)하는 한편 시제품 설계 및 시직 (해외 마케팅 사업의 주도에 의한 기획, 한국염색기술 연구소,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의 샘플 가공 및 후가공 처리 공정) 공정 시스템 간 지역 유관 기관에서 기 완료된 사업성과 및 INFRA 활용한다.



▶ 하이테크 섬유개발 인력양성사업



1단계는 시급한 현장생산인력, 2단계는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전문인력양성이었다면 3단계 인력양성사업은 R&D 주도형 선도기업군 선발을 통한 교육과 연구개발을 연계하는 하이테크 인력양성을 목표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국비 23.00억원, 지방비 7.96억원, 민자 6.20억원 등 총 37.16억원을 투입, 미래수요 대응형 섬유전문 인력양성과 하이테크 섬유개발을 위한 고급인력 양성, 산업용 섬유소재의 용도전개별 교육, 혁신형 뉴리더 교육, 현장혁신형 섬유생산전문가과정을 집중 추진한다.

3단계 사업은 하이테크 섬유소재개발을 위한 인력양성에 주력하고, 인력사업과 개발사업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고 섬유산업의 발전방향에 맞춰 미래수요에 대응하는 인력양성과 비의류용 섬유의 핵심기술인력을 양성함으로서 소재의 다양화를 통한 산지의 합섬구조의 재편을 꾀한다.

대구경북 섬유관련 기업 중 선도기업군으로 분류되는 100업체 대상의 집중적인 하이테크 섬유인력양성과 원사에서 봉제에 이르는 중소섬유기업 200업체 대상의 현상 혁신형 생산전문가 양성을 집중 추진하는 등 1,2단계 인력양성사업에 참여한 혁신·선도기업군 중심의 사업을 확대 전개한다.



구분

사업내용

하이테크 섬유의 R&D/기술

인력양성

미래수요 대응형 섬유전문 인력양성(A2)

 (1) 스마트 섬유소재 기술교육

 (2) 슈퍼 섬유소재 기술교육

 (3) 나노 섬유소재 기술교육

 (4) 로하스 섬유소재 기술교육

 (5) IT 지능화 이론 및 적용 교육

하이테크 섬유개발을 위한 고급인력 양성(A2)

 (1) 스포츠 레저 섬유 관련 교육

 (2) 건강 섬유 관련 기술교육

 (3) 하이패션의류소재 제조 기술교육

 (4) 섬유소재 핵심 융합화 기술 개발/생산 교육

R&D 연계형 고급화 과정(A6)

 (1) 나노 스마트 슈퍼 섬유 등에 대한 연구

(2) 스포츠 건강 의류, 노하스 섬유소재 등에 대한 연구

 (3) 자동차 수송요 등 산자용 소재에 대한 연구

 (4) 지역 혁신형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

혁신역량 교육(C5)

 (1) 차세대 섬유리더 과정

 (2) 섬유 CEO 혁신역량 과정

 (3) 중견간부혁신역량 교육

비의류용 섬유기술

인력양성

산업용 섬유소재의 용도전개별 소재/공정 교육(A2)

 (1) 자동차, 수송용 섬유소재 관련 교육

 (2) 전자, IT 융합 섬유소재 관련 교육

 (3) 환경, 리사이클 융합 제품 관련 교육

 (4) 방재, 방호 섬유소재 관련 교육

Workings Innovation Tracks

(현장 혁신형

교육)

현장혁신형 섬유생산전문가과정(A2)

 (1) 기업애로기술교육

 (2) 맞춤형 현장기술자 교육

 (3) 정보화․인증․경영컨설팅 등

 (4) 지역현안교육-외국인노동자, 세터민 교육

전문가 초청 고급 기술 강좌(C6)

 (1) 최신 기술 동향 분석

 (2) 해외 마케팅 전략

시제품 제작 교육(A1)

 (1) 중견 기술자를 중심으로 시제품 제작 교육

맞춤형 현장혁신과정(A1)

 (1) 업체의 요구에 따라 현장을 찾아가는 교육

맞춤식 교육

취업연계형(B1)/현장적응형 인력양성(B3)

 (1) 취업연형 인턴쉽 과정

 (2) 취업연계형 석박사 과정

 (3) 현장 적응형 학점인정과정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반 구축

 - 신규 교재 20종 개발

 - 산업계, 자체, 대학 등 강사 150명 확보

 - 전파교육을 통한 상호 협력 시스템 구축







□ 섬유 인력양성 추진주체

 

하이테크 섬유개발 인력양성센터

 

주관기관(KTDI)

【인력양성사업 담당】

    - 사업기획조정   

- 계획수립 및 평가관리

    - 운영, 홍보   

- 사후관리

 

 

 

 

자문위원회

 

 

 

 

 

 

 

 

 

 

 

섬유개발연구원

 

염색기술연구소

 

섬유기계연구소

봉제기술연구소

(패션센터)

 

계명대학교

(FISEP)

 

영남대학교

‧CEO 기술경영

‧원사/사가공/

 준비/제직 분야 인력양성

‧현장적용 전개분야

인력양성

‧섬유기계/공정분야

인력양성

‧패션/의류제조기술개발분야 인력양성

‧섬유마케팅

‧용도전개분야

인력양성

 

 

 

 

 

 

 

 

 

지원대상기업

 

 

협력기관

 

‧원사, 제직, 기계 업체

.방적,방사,사가공 업체

‧염색가공 업체

‧편성 업체

‧부직포 등 업체

․섬유패션대학(폴리텍대학)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경북대학교기계연구소

‧나노부품실용화센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역대학(9개대학)




█ 3단계 전략산업 공동추진사업


▶대구 인력양성 공동지원 사업


산업간 통합․연계하는 공동프로그램 운영으로 시너지효과 제고시키고 지역의 종합적이고 광역적인 인력양성체계의 기반 구축을 위해 추진된다.

(재)대구테크노파크 대구전략산업기획단(주관기관), 특화센터(참여기관), 민간위탁기관을 사업 추진주최로 2009년부터 4년간, 국비 6.00억원, 지방비 4.00억원 등 총 10.00억원을 투입해 인력양성사업 추진협의회의 운영과 CEO 포럼, 임원 및 관리자에 대한 변화관리 교육, 인력양성에 대한 공동 수요조사 및 성과평가 조사, e-HRD시스템 공동구축 및 운영 (산업별 전문인력 및 교재 DB 등) 등을 실시한다.

특히 이 사업은 중복사업의 통합을 통한 효율성 제고를 위해 추진되며, 기업 경쟁력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경영전반의 전문인력 양성 및 체계적인 양성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포커스 둔다.

과거와 같은 각 전략산업별 특화센터에서 독자적인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할 경우 일부 사업 중복에 따른 비효율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음에 따라 공동사업을 통한 낭비요인 제거가 목적이다.

또한 산업융합 및 복합 등을 통한 네트워크경제를 달성하고자 하는 3단계사업의 성과 향상을 위해 산업의 융복합화 추세를 반영, 산업간 통합 혹은 연계하는 인력양성방식이 도입된다.

산업간 프로그램 연계 활성화는 물론, 교육기관간 공동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개발노력을 강화시킨다.





<사업추진 체계도>




▶ 대구 마케팅 공동지원사업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기술개발 성과 극대화를 위해 산업간 공통적인 마케팅지원은 물론 전략산업별로 추진되고 있는 마케팅지원 체계를 통합· 운영해 지원의 전문성 강화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역차원의 산업간 통합된 마케팅 지원체계 구축 기반 확보를 위해 추진된다.

(재)대구테크노파크, 대구광역시 (참여 : 전략산업 전체 특화센터, 대구소재 민간 마케팅 전문 기관(추후선정))를 추진 주최로 2009년부터 4년간, 국비 4.00억원, 지방비 9.00억원 등 총 13.00억원을 투입해 섬유, 메카트로닉스, 나노, 모바일, 바이오, 한방 분야 마케팅 확대 전략 수립, 지역 전략산업 각 특화센터, KOTRA 등이 참여하는 마케팅추진협의회 구성, 국내외 판매촉진 사업 지원 (시장조사, 전시회 및 박람회 참가 지원 등)- 메카트로닉스, 바이오 산업 중심 지원  , 해외 유통업체 또는 판매 에이전트를 발굴하여 비즈니스 협상 지원- 메카트로닉스, 바이오 산업 중심 지원, 시장세분화, 목표시장 선정, 제품 포지셔닝, 제품수명주기 전략 수립 등 마케팅 실무 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40명/년 양성 사업을 전개한다.



 <마케팅 공동사업의 목표>



주요사업으로는 ‘기반강화 사업’(신규)으로 5개 전략산업 대상의 ‘마케팅 추진협의회 구성 사업’과 ‘마케팅 클리닉 사업’, ‘마케팅 전문인력 양성’ 등 3개 사업을 추진한다.




▶ 대구 지식서비스 공동지원사업



지식서비스 혁신 바우처제도 도입을 통한 제조업의 지식서비스 수요창출과 이를 위한 제도

및 지식서비스산업의 지역 발전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된다.

특히 이는 제조업 중심으로 구성된 전략산업을 보완하면서 지식서비스산업과 지역전략산업의 동반 발전을 모색하는데 포커싱돼있다.

(재)대구테크노파크 대구전략산업기획단(주관기관), 특화센터(참여기관), 민간위탁기관을 추진 주체로 2009년부터 2012년 까지, 국비 30.00억원, 민자 13.20억원 등 총 43.20억원이 투입되며, 서비스혁신 바우처 지급 시스템 구축, 지식서비스 공급역량을 감안한 광역경제권별 사업 추진,서비스혁신 바우처 제도 평가·관리, 지식서비스산업의 지역확산 기반조성사업을 실시한다.


▶화섬산지 - 기술지원 공동사업


지원대상기업의 기술우위 경쟁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마케팅 경쟁력 제고 및 기술중심의 섬유산업 경쟁력 확보를 통한 섬유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지역 섬유산업의 전략적 방향설정을 위한 지역 섬유업계의 우량기업군 분석 및 집중 육성을 위해 추진된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을 추진주체로 2009년부터 4년간, 국비 9.50억원, 지방비 6.40억원 등 총 15.90억원을 투입 , 연구개발 인프라 활용 기술지원, 시제품생산지원 : 기업애로사항 반영, R&D 기반 상품기획 및 마케팅 지원, 시험분석지원 : 시제품의 물성분석을 통한 Raw Data 확보, 제시, 기술․인력․시장 정보 등의 공급원을 연계하는 지역 기업간 정보네트워크사업을 추진한다.


▶ 염색가공공정- 기술지원 공동사업


섬유소재, 염색가공분야에 대한 시장대응형, 창조형 생산공급 체제 마련을 위해기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 기업에 보다 실질적인 기술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술개발 역량 보유업체의 신제품개발, 상품화지원 뿐만 아니라 산연 간 기업형 현장중심 지원제도 구축으로 중소기업육성 구심체로서의 역할강화를 위해 추진된다.

특히 기업에 대한 효율적 지원을 위해 기업지원회원사제도를 운영, 분석, 시제품 제작, 특허인증, 기술이전 등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지역전략산업 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한국염색기술연구소를 주관기관으로 2009년부터 4년간, 국비 9.50억원, 지방비 6.04억원 등 총 15.54억원이 투입, 기술개발 지원 : 차별화제품개발, R&D 능력강화, 신공정개발/공정혁신, 분석·제작지원 : 시험·분석, 시제품제작, 장비활용지원, 특허·인증지원 : 제품안정, 효능평가, 표준/규격 정보제공, 지적재산권 등 지원, 정보관리 지원 : 지역장비 정보제공, 경영컨설팅, 기술이전 지원 : 기술마케팅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 의류산업공정첨단화 - 기술지원 공동사업


이 사업은 섬유·봉제업체들의 경쟁력 향상 및 공정 첨단화를 위해 신제품 개발, 신기술 개발, 전문인력 양성 등에 대한 요구·부응형 사업으로 의류산업 공정첨단화기반구축사업(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으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 지역 봉제업체의 요구에 대응하는 한편 기반구축사업을 통한 구축된 의류공정혁신센터를 활성화해 지역 봉제업체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리딩 기업으로 육성키 위해 추진된다.

한국봉제기술연구소를 주관기관으로 2009년부터 4년간, 국비 9.50억원, 지방비 6.05억원 등 총 15.55억원이 투입돼며, 첨단 장비를 활용한 차별화 제품 개발 및 기술 지원 : 신제품 개발, 신기술공정 개발, 최신동향 제공, 봉제장비 활용위한 교육훈련 및 인력개발 : 신기술 인력 양성(단계별 신기술 활용능력 보급), 완제품 장비 활용한 업체지원 : 고부가가치 제품개발을 위한 시험 분석 활성화, 리딩 기업 육성 지원 : 잠재력 있는 기업 발굴 및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품질경영인증 획득 도모 등을 실시한다.


▶ 기반육성기술 공동사업


이 사업은 산업 간 단기프로그램 운영으로 시너지 효과 제고. 특히 지역의 중소규모 기업의 재도약을 위해 단기간에 걸친 기술개발 및 상품화를 지원하는 한편 최신기술의 변화를 고려하고 고부가가치화를 유도해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소규모 과제지원을 통한 기 양산품의 품질향상 및 성능개선을 위해 추진된다.

(재)대구테크노파크 대구전략산업기획단(주관기관), 각 특화센터(참여기관) 추진주체로 2009년부터 4년간 마련된다.

이 사업은 1년 이내를 지원기간으로 지방비 10억원/년, 민자 3.3억원 /년 등 총 13.3억원/년이 지원되며, 섬유분야의 경우 ‘하이테크 섬유소재’분야를 대상으로 비의류용 섬유소재(자동차·수송용섬유소재, 방호차단 차폐용 섬유제품, 산업용섬유 생산시설)와 ‘라이프스타일 섬유소재’(Easy Care IT텍스타일 제품, 스포츠 레져 제품, 로하스 섬유제품)를 대상으로 한다.





□ 지역 섬유기업 MP추진 전·후 규모 측면의 변화

구  분

MP추진전(A)

(1998)

1단계

(2003)

현재(B)

(2007)

증감

(B-A)

비  고

특  징

임가공, 대량생산

(제조중심)

다품종대량생산

(제조전문형 +마케팅중심)

전문화, 차별화

(상품기획+제조+마케팅)

-

 

 

기업체 수

3,216

3,377

2,917

△299

2005년 기준

2,917개사

종업원 수

30명 이하

38.8

43.1

48.0

9.2

대량고용

→단납기 생산 규모의 고용

51~100명

21.6

21.6

20.9

△0.7

101명 이상

23.3

14.8

9.2

△14.1

설비

규모

직기

(31~60대)

30.8

22.2

24.6

△6.2

규모의 경제→Main 적정규모

직기 61-100대

24.6%(↑6.7%)

직기

(61~100대)

17.9

24.1

24.6

6.7

직기

(100대이상)

20.6

24.0

18.0

△2.6

매출액

100억원 이상

31.4

26.1

23.1

△8.3

 

생산

품목

Polyester

50.6

33.0

25.6

△25.0

품목의 다양화

교직물

13.9

33.9

30.2

16.3

품목의 차별화, 다양화

니트(Knit)

3.8

5.5

9.3

5.5

폴리위주

→다양화

비의류

2.5

5.5

12.4

9.9

비의류 분야 증가

□ 지역 섬유기업, MP추진 전·후 경영 측면의 변화

구  분

MP추진전(A)

(1998)

1단계

(2003)

현재(B)

(2007)

증감

(B-A)

비  고

경쟁력

변화

1인당

매출

5백만원

이하

33.6

22.9

15.8

△17.8

채산성 악화→개선

3천~1천만원

34.7%

(↑7.1%)

1천~3천

만원

27.6

29.7

34.7

7.1

년간

R&D

금액

5천만원

이하

27.6

9.4

7.6

△20.0

과감한 R&D투자 증가

1~3억원

34.5

43.8

54.3

19.8

R&D 인력

1~3명

20.0

25.3

53.9

9.6

07년 “1~3명”보유

53.3%

연구

과제

수주

1과제

8.2

28.0

63.0

60.2

R&D분위 조성 과제수주 경쟁치열

2과제

이상

2.9

32.0

65.0

62.1

직접

수출

직수출

51%이상

19.9

21.1

25.3

5.4

임가공

→직접판매

간접수출

51%이상

53.6

47.3

44.5

△9.1

수출단가주)

2.0$ 이하

50.9

44.9

36.5

△14.4

중,저가품

→차별화

고부가제품 급증

3.1~4.0$

1.6

8.2

14.7

13.0

주) 수출단가(yd당)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직물기준





<대구 - 김진일 기자>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