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패션 ’- ‘한국봉제기술연구소’가 ‘스마트 의류’로 앞당긴다
IT 융합된 다양한 ‘스마트 의류’ 기술 선도, 실용화 박차 가해
편집자 주>
스마트 웨어(Smart Wear).
IT, BT, NT, ET 등 4대 주요 영역의 신기술을 결합시킨 미래형 의류.
고기능성 섬유 의류에 디지털 기술을 결합, 각종 센서와 초소형 통신기기 및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한 MP3 등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
기존 ‘스마트 의류’의 개념은 이러한 다양한 기기들을 의복에 내장시켜 편의성을 증대시킨 의류로 통용됐지만 점차 진보된 개념으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때와 장소에 따라 형태가 자동으로 변하는 옷,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주치의에게 알려주는 옷, 착용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옷 등 인텔리전트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자랑하는 '똑똑한 옷'들이 주목받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스마트의류에 대한 관심과 대응은 정부 및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폭넓게 이뤄지고 있으며, 실용화 및 상품화 전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스마트 G 프로젝트’를 통해 스마트 의류의 실용화 접목·개발을 발 빠르게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연구기관이다.
이에 본지는 한국봉제산업, 한국패션산업의 ‘미래먹거리 창출’을 목표로 한국봉제기술연구소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G프로젝트’ 사업 추진 성과를 지상을 통해 소개하는 한편 관련 업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____________________
한국봉제기술연구소(이사장 김시영, 소장 류종우, www.sewtec.re.kr) 는 지난 2005년 부터 ‘스마트 G 프로젝트 ’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섬유에 IT 기술을 융합시킨 첨단 스마트 의류를 연구개발하는 사업으로 봉제연구소가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전략사업이자 대표사업이다.
연구소는 초기 ‘제일모직’과 공동으로 MP3가 내장된 재킷 개발을 시작으로 U-healthwear, wearable computer 등 현재까지 다양한 용도의 IT융합 스마트 의류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산․학․연․관의 정보공유와 공동개발로 지역 섬유산업의 특화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대구시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새로운 용도의 스마트 의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구소는 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실용성있는 스마트의류 개발라인 구성’을 근간으로 한다.
마켓 소비자층과 밀착돼 있는 제일모직(주)을 중심으로, 한국봉제기술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의 융합기술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실용적인 IT기반기술 스마트의류’ 탄생을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제품개발을 위한 네트워크기반도 이미 구축돼 있는 상황으로 조만간 소비자가 원하는 패셔너블한 스마트의류가 시장에 선보일 전망이다.
연구소는 의류 고유의 감성적 속성을 유지하면서 IT기술의 융합을 통한 첨단 디지털 기능이 부가된 신개념 패션 스마트 의류 개발을 타깃으로 라이프스타일(life-style)과 편의성 및 다양한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성향을 고려해 언제․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초기 스마트 의류의 경우에는 착용자의 심박수와 체온 등의 건강상태 확인을 위한 용도로써 연구가 되어 왔으나, 현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기능(MP3, PMP 등)이 복합된 패션 캐주얼의류에서 아동 보호를 위한 위치추적 의류 및 실시간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U-healthwear 까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소는 기존의 패션의류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IT기술이 접목된 패션 스마트 의류 개발에 선두주자로써 멀티미디어 기능 패션의류, 웨어러블 컴퓨터 및 U-healthwear 등의 다양한 기능성의 패션 스마트의류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스마트 의류제품의 상품화를 통한 상용화를 위해 제일모직과의 MOU를 체결, MP3 내장형 자켓 및 웨어러블 컴퓨터기술이 기반이 된 의복형 무선네트워크 기술 개발로 웨어러블 컴퓨터의 상용화에 첫걸음을 내딛고 있다.
■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스마트 의류 연구방향
한국봉제기술연구소는 스마트 의류의 주요 품목을 스포츠․레저 섬유제품, 메디컬․헬스케어 섬유제품, 환경용 섬유제품, 디지털 섬유제품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섬유산업과 IT기술의 융합으로 미래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처리 및 건강보조기능 등이 부여된 의류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최고의 스마트 의류 제품 개발의 연구소로써의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연구소는 스마트 의류 연구·개발을 추진하면서 ‘멀티미디어 기능의 패션 자켓 개발 (2005)’, ‘고감도 생체신호 감지 센서 개발 (2006)’, ‘인간공학적 의류 설계 U-healthwear 개발 (2006 ~ 2007)’, ‘미아방지를 위한 아동용 RFID 안테나 및 안전 유니폼 개발 (2007 ~ 현재)’, ‘웨어러블 컴퓨터 개발을 위한 MMI(Man Machine Interface) 개발 (2007 ~ 현재)’, ‘산업안전용 스마트의류 개발 (2008 ~ 현재)’ 등의 기술을 확보해놓고 있으며, 기타 무선 네트워킹 의류 등 다양한 기능과 용도에 맞는 전개를 위한 연구개발 진행 중에 있다.
한국봉제기술연구소 는 향후 개발 의류의 상용화 지원 및 다양한 분야로의 연구개발 확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다가오는 미래 패션의 중심이 될 스마트 의류는 현재 세계적으로 개발 초기 단계로써 누가 더 앞선 기술력
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큰 차이가 없는 상황.
이에 따라 연구소 설립 이후 지금까지 스마트 의류의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업계와의 긴밀한 관
계 형성과 개발 의류의 상용화 지원 확대로 작게는 기업의 이윤창출, 크게는 국내 기술력의 확보로 스마트
의류 세계시장의 선도 주자가 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진행 한다는 방침이다.
■ 제일모직의 향후 계획
제일모직은 ‘상품성있는 스마트의류 개발’에 중점 포커싱 둘 계획이다.
한국봉제기술연구소와 MOU를 체결한 제일모직(주)는 현재 개발·제조된 전도성섬유를 기반으로 구축된
섬유소재 제조기술과 ETRI에서 개발된 IT기기 및 기술을 이용한 패셔너블한 스마트의류를 상업화할 예정
이다.
스마트의류는 기능성의류로서 소비자에게 다가가지만 패션을 가미한 제품가치가 보장되지 않으면 소비자로
부터 외면당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상품 출시 전에 면밀한 소비자조사를 통해 가치있는 첨단의류제품이 구성될 수 있도록 상품기획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며, 향후 스마트의류 중 일상복부분(일명 , Digital garment)은 mp3, Mobile 등의 단순기능을
뛰어 넘어 웨어러블 사무환경까지도 커버 가능한 통합형 e- Biz Suits까지 접목할 계획이다.
또 U-Health기술을 이용한 특수복으로 건강신호 및 개인운동량 체크뿐만 아니라 착용시 쾌적성까지도 고
려한 제품을 접목시킬 계획이며, 소비자에게는 아름다움과 가치를 보장해주며, 흥미를 유발하는 제품, 꼭
구매하고 싶은 의류로 기억되는 제품이지만, 제품 내부에는 역동적인 첨단 IT기술이 살아있는 상품을 기획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봉제기술연구소가 제시하고 있는 ‘스마트의류’ 개발 아이템
▶ 인간공학적 의류 설계 U-healthwear
심박수, 호흡, 운동량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텍스타일 센서가 의류에 내장되어
있는 유비쿼터스 생활건강 의류.
심박 모니터링 여성용 스포츠웨어.
제직 단계에서 전도사를 삽입한 의복 일체형 패브릭 센싱 스포츠웨어.
심박 및 온도센터 모니터링 스포츠웨어.
운동시 패브릭 센서를 통해 심박수와 체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스포
츠웨어.
▶ 멀티미디어 기능의 스마트 의류
MP3, 체온모니터링을 장착한 복합기능의 스마트 의류.
스포츠와 음악을 동시에 즐기며, 체온 측정이 가능한 다기능 스포츠웨어.
MP4 연결 스마트웨어.
음원 및 영상 전송이 가능한 아웃도어 웨어, 박막형 스피커를 이용한 편리한 음원전송.
▶ 복합 기능성 산업복
온측정 기능/ 심박측정기능/ 무전기 컨트롤기능/ RFID를 통한 작업 관리 기능.
▶ 웨어러블 컴퓨터 기능의 스마트 의류
웨어러블 컴퓨터 기능의 아웃도어 웨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무선 마우스.
<대구 - 김진일 기자>
‘3단계 대구지역섬유산업 진흥사업 최종안 발표’ (0) | 2008.09.02 |
---|---|
‘미래 패션 ’- ‘한국봉제기술연구소’가 ‘스마트 의류’로 앞당긴다 (0) | 2008.08.19 |
‘무역위원회’ 대만·중국산 폴리에스터 장섬유 ‘반덤핑 예비판정’ (1) | 2008.08.04 |
대구·경북 5·6월 섬유경기 - 증가율 23.8% (0) | 2008.07.21 |
지역섬유소재 기업- 중국 내수브랜드와의 소싱 추진 (0) | 2008.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