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기계메이커 - 섬유산업 정책·마켓 트렌드 적극 반영해야
섬유산업군에 대한 광범위한 카테고리 영역에 새 도전장 내야
국내 섬유산업이 변화의 모멘텀 마련을 위해서는 섬유기계산업의 잰걸음이 그 어느 때 보다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특히 섬유기계 메이커의 경우, 섬유산업 관련 정부의 정책과 마켓 트렌드를 한 발 앞서 반영함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마켓 니즈를 시기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연구·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동종 기계메이커 간 주력기종과 모델이 공동화됨에 따라 차별화 아이템 제시는 이미 종지부를 찍은 상태이며, 단일 기종으로 롱-런 하던 시대를 기대할 수 없음을 간파해야한다.
염색가공기업들의 경우 설비 대상의 투자가 있더라도 중고 염색기계 도입이 대부분이다.
기계 메이커의 입장에서는 “염색업체들이 중고설비만을 찾고 있는데 신규 공급이 있겠냐”는 입장을 견지할 수도 있겠지만, 염색업체들은 “중고 또는 구형 모델과 차별화 내지 성력화 된 설비가 출시될 경우 충분히 신규 도입도 가능하다”는 상반된 입장이다.
‘닭’과 ‘닭 알’ 논쟁이지만 섬유산업은 다분히 생산라인이 중심이 되는 동시에 차별화제품 제시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고기능성·첨단 의류용 소재에서 인테리어분야를 비롯한 비의류용과 산업용 섬유 소재분야에 이르기 까지 향후 한국섬유산업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먹거리 창출 대상은 이미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이들 분야 대상의 생산설비 도입 기종을 찾기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기껏해야 의류용 생산설비를 바탕으로 한 비의류용분야 접목이 대부분이다.
섬유기계메이커들이 인지하고 있는 고기능성·첨단 의류소재분야 및 비의류용·산업용섬유에 대한 지식의 폭을 하루빨리 확대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현재 국내 섬유기계 메이커들이 개발·제시해온 기종들은 전체 섬유산업에서 극히 일부분의 카테고리에서만 승부해왔다는 점이다.
기계메이커 저마다 주력하고 있는 섬유기업과 대상이 섬유의 전체인 양 오해하고 있다.
이제 섬유산업의 카테고리를 한 단계 확대·접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산업용섬유 타깃의 하이테크 섬유제품의 활성화를 목표로 설정한 상태이지만 그 생산기반은 취약하기 그지 없다.
작금의 상황이라면 이들 분야 대상의 소재 생산은 모두 수입해야할 상황이다.
지역 뿐만 아니라 국내 섬유산업 육성관련 정부의 정책방향과 마켓의 흐름까지 반영·리드할 수 있는 기계 메이커의 자발적인 신 모델 개발 노력이 가시화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마켓 트렌드 정보와 특화분야별 글로벌 기술정보 대응이 필요하다.
개별기업이 수행할 수 없는 부분은 학계·연구기관과 공조하는 등으로 최소한 지금까지 섬유기계 메이커들이 인지해왔던 섬유산업이 전부가 아닌 하나의 군에 지나지 않았음을 파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 - 김진일 기자>
플라스틱 헬드 - 국내·외 기업들 출혈경쟁 (0) | 2007.05.07 |
---|---|
중고섬유기계의 폐해-섬유산업 발전 가로막아 (0) | 2007.05.07 |
‘산업용섬유 육성 간담회’ 개최 (0) | 2007.05.02 |
섬유기계산업, 2006년 전년대비 6.5% 무역수지 흑자 (0) | 2007.04.25 |
섬유기계-섬유산업 전 스트림과의 동반발전 기반 (0) | 2007.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