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부 국표원 –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 개최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 장애인 대상 인체치수 조사 결과 발표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5. 4. 18. 20:08

본문

산업부 국표원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개최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 장애인 대상 인체치수 조사 결과 발표

사진.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 이하 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417, 서울 광진구 장애인 복지관(정립회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성과발표회에서는 사회적 활동이 가장 활발한 성인 시기에 사고 등 후천적 사유로 장애 발생률이 높은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2024년도에 실시한 인체치수 조사 사업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인체치수 조사는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된 시설과 제품이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장애인의 인체 특성을 정밀히 파악하고자, 20~60세 이상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 장애인 338(246, 92)을 대상으로 앉은키, ·하체 둘레, 몸무게, 근력 등 총 29개 항목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척수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비장애인에 비해 남자는 8.4 cm, 여자는 9.4 cm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고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만도는 비장애인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장애인의 단독외출 가능 여부에 따라 근력과 신체 치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조사는 장애인을 위한 제품·공간·서비스 설계에 직접 활용 가능한 기초데이터를 확보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면서, “장애인의 접근권 개선을 위해 확보된 인체데이터가 휠체어, 보조기기뿐만 아니라 승강기, 버스정류장 등 더 다양한 제품과 시설에 적용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향후 실시될 9차 인체치수 조사 사업에서는 장애 유형을 더 다양화하고, 조사 대상을 늘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진일 기자>

 

‘24년 장애인 대상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 결과(요약)

 

조사개요

 

(대상) 국내 성인 연령(20~60세 이상)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 장애인 338(남자 246, 여자 92)

 

* 척수손상 장애인의 연령·지역별 인구분포, 경제활동 여부를 고려한 표본 설계로 데이터 활용성과 대표성 확보

 

(방법) 직접측정(29개 항목) 및 심층설문조사(45개 문항)를 통한 인체치수 및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실태 등 관련 데이터 수집분석

 

(의의) 장애인 신체 특성을 반영한 제품서비스 개발, 접근권 개선을 위한 공간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세부적이고 실효적인 기초데이터 확보

조사결과

 

장애인의 인체치수 특성

 

ㅇ 척수손상 장애인은 비장애인(8차 인체치수 조사) 대비 높이와 하체 둘레가 작고, 상체 둘레는 큼

 

* (높이 항목) 앉은키, 앉은눈높이, 앉은팔꿈치높이(팔굽힌)

 

(하체 둘레 항목) 앉은넙다리중간둘레, 앉은장딴지둘레

 

(상체 둘레 항목)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목둘레

 

<한국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인체치수>

 

항목 남자 여자
장애인 비장애인 차이 장애인 비장애인 차이
앉은키 83.6 92.0 8.4 76.5 85.9 9.4
앉은눈높이 72.3 79.7 7.4 65.5 74.7 9.2
앉은팔꿈치높이(팔굽힌) 19.5 26.0 6.5 17.1 24.2 7.1
앉은장딴지둘레 30.9 37.9 7.0 30.1 35.0 4.9
앉은넙다리중간둘레 44.3 50.4 6.1 45.6 47.7 2.1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100.5 90.5 +10.0 93.2 85.9 +7.3
목둘레 42.7 38.6 +4.1 38.0 32.8 +5.2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장애인의 비만도 특성

 

ㅇ 남성 평균 BMI23.5 kg/m2로 비장애인 대비 1.6 kg/m2 낮음

 

ㅇ 여성 평균 BMI22.9 kg/m2로 비장애인 대비 0.6 kg/m2 낮음

연령대 남자 여자
장애인 비장애인 차이 장애인 비장애인 차이
30대이하 23.0 24.6 1.6 21.3 21.6 0.3
40 23.7 25.6 1.9 20.9 22.5 1.6
50 23.5 25.1 1.6 23.6 24.1 0.5
60대이상 23.5 24.8 1.3 23.6 24.1 0.5
전체 23.5 25.1 1.6 22.9 23.5 0.6

 

ㅇ 척수손상 장애인은 비장애인 대비 저체중 비율 높음

 

* 저체중인 척수손상 장애인 남성의 비율은 6.4%로 비장애인 대비 6.2% 높음, 여성의 비율은 14.4%로 비장애인 대비 10.7% 높음

<비장애인 대비 비만도(BMI) 비교>

장애인의 신체 특성에 맞는 건강관리 및 운동 설계에 활용 가능

 

장애인의 인체치수 항목 간 상관관계

 

ㅇ 앉은키를 기준으로 한 높이, 길이 치수의 예측 가능

* 앉은키 기준 상관계수: 앉은눈높이 0.96, 앉은어깨높이 0.90

 

ㅇ 몸무게를 기준으로 한 둘레, 너비 치수의 예측 가능

 

* 몸무게 기준 상관계수: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0.83, 목둘레 0.76

<장애인 인체치수의 앉은키 기준 상관관계() 및 몸무게 기준 상관관계()>

일부 측정값으로 타 치수를 예측하여 승강기 등의 조작부 위치, 좌석 공간 등의 설계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단독외출 가능 여부에 따른 장애인 인체 특성 차이

 

단독외출이 가능한 장애인이 단독외출 불가 장애인 대비 근력이 높고, 길이·너비 관련 인체치수가 큼

 

* (근력 차이) 쥐기근력(17.5 kg, 7.9 kg), 측면집기근력(4.0 kg, 1.9 kg)

 

(길이 차이) 전방으로뻗은주먹길이(2.4 cm, 2.3 cm), 가쪽으로뻗은주먹길이(2.3 cm, 1.9 cm)

 

(너비 차이) 위팔사이너비(2.3 cm, 2.3 cm), 어깨사이너비(1.9 cm, 1.4 cm)

 

<한국인 장애인 단독외출 가능 여부에 따른 평균 근력 및 인체치수 차이>

(단위: cm)

항목 남자 여자
단독외출가능 단독외출불가 차이 단독외출가능 단독외출불가 차이
쥐기근력(kg) 37.1 19.6 +17.5 24.0 16.1 +7.9
측면집기근력(kg) 10.3 6.3 +4.0 7.1 5.2 +1.9
전방으로뻗은
주먹길이
71.3 68.9 +2.4 66.0 63.7 +2.3
가쪽으로뻗은
주먹길이
75.7 73.4 +2.3 69.9 68.0 +1.9
위팔사이너비 46.6 44.3 +2.3 43.0 40.7 +2.3
어깨사이너비 39.1 37.2 +1.9 35.4 34.0 +1.4

<단독외출 가능여부에 따른 평균 근력 차이>

<단독외출 가능 여부에 따른 평균 인체치수 차이>

외출 가능 여부에 따른 신체 특성 차이를 고려해 보조기기 손잡이 및 조작부 등 제품·시설의 위치와 강도 설계, 맞춤형 건강관리로 활용 가능

 

 

휠체어 사용 의견 조사

 

ㅇ 심층설문조사의 휠체어 사용 관련 응답(응답자 317)을 통해 사용 현황과 만족도, 불편사항 등을 조사

 

- 사용 휠체어 종류는 수동휠체어가 86.1%(27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전동휠체어 35.3%(112)로 나타남(중복응답)

 

- 수동휠체어 사용자 중 79.1%(216), 전동휠체어 사용자 중 70.5% (79)은 사용 휠체어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임

 

- 휠체어 사이즈와 관련한 불편 사항으로는 좌판 너비 21.1%(67), 등받이 높이 16.4%(52), 발판 높이 12.9%(41) 등 순으로 응답이 많음

 

- 휠체어 사용으로 인해 불편을 느끼는 신체부위는 엉덩이 31.9%(101), 어깨 19.6% (62), 14.5%(46), 허리 10.7%(34) 등 순으로 나타남

<휠체어 유형별 사용 만족도>

 

<장애인 휠체어 사이즈 관련 불편 부분() 및 사용에 따른 불편한 신체부위()>

휠체어 사이즈 관련 불편 부분 휠체어 사용에 따른 불편한 신체부위


(중복응답)

(중복응답)

장애인 인체데이터는 휠체어 및 보조기기의 정밀한 사이즈 설계에 활용되어 사용 편의성과 만족도 향상에 기여 예상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보급 사업(사이즈코리아) 개요

(사업목적) 한국인 인체치수·형상 데이터의 수집 및 보급을 통해 국민의 편리 증대 및 기업의 제품·서비스 경쟁력 강화

 

ㅇ 국가표준기본법 제16(참조표준의 제정 및 보급) 및 통계법 제17(지정통계의 지정)에 따라 5년 주기로 공표하는 국가승인 통계(‘05년 최초승인)

 

(주요내용) ‘79년 이래 약 5년 주기의 한국인 인체치수·형상 데이터 확보로 우리 국민의 신체변화에 따른 제품·공간설계 등에 기여

 

웨어러블로봇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좌석 의료용 부목

(인체치수측정) 국가통계작성과 산업계의 데이터 수요 대응

 

- 한국인 인체치수·형상 정보조사하고 데이터화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연에 보급하기 위한 DB 구축

 

* `79년 국민체위조사(공업진흥청)를 시작으로 `03한국인 인체치수 조사(국표원)’로 명칭변경, 5년 주기 정기 및 수요 분야 인체치수 측정 실시(직접측정 및 3D측정)

 

** (추진경과) (‘20~21) 성인 (22) 고령자 (23) 아동·청소년 (24) 장애인

 

(인체정보보급) ··연의 서비스·제품 개발 경쟁력 향상

 

- 사이즈코리아센터*를 통한 기업 컨설팅 지원, 홍보 및 교육, 측정 장비 무상대여 등 민간의 데이터 보급·활용 지원(·오프라인)

 

* (센터 위치) 서울 동대문구 왕산로 51, 2/ (홈페이지) sizekorea.kr

 

(휴먼빅데이터) 신산업 수요 대응을 위한 휴먼빅데이터 기반 구축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체정보 활용도 증가에 대비하여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제공을 위한 휴먼빅데이터 기반 구축

 

 

사이즈코리아 데이터 활용 사례

󰋮 엔젤로보틱스 보행보조로봇 (‘22)



엔젤로보틱스는 웨어러블 로봇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의 상용화와 시장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성인 신체 데이터가 아닌 장애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이즈 정립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하지마비 장애인의 제품 착용 부위 인체 치수에 대한 컨설팅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WALKONSUIT SUIT K10 제품의 설계 치수가 정립되었다. 컨설팅을 통해 장애인 착용감 증진에 기여하는 제품 설계 기준이 마련되었으며, 이는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 리폼하우스- 장애인 의류 제작 및 리폼 (‘23)
리폼하우스는 장애인 맞춤 의복을 제작 및 리폼하는 예비 사회적기업이다. 장애인 인체 사이즈 및 데이터 활용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사이즈코리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사이즈코리아 장애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휠체어 장애인의 체형 특성 및 의복 착용 시 문제점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의복 개발을 위한 기준 치수 선정 및 사이즈 체계에 대한 자문이 제공되었다. 컨설팅을 통해 실제로 휠체 장애인의 앉은 자세와 체형을 고려한 재킷 패턴이 설계되었고, 장애인 의복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마마품 기능성 휠체어 테이블



마마품은 장애인, 시니어, 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을 위한 국산화 위생용품,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사회적기업이다. 전동식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기능성 테이블 설계에 있어 사용자 인체치수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여 사이즈코리아 컨설팅을 통해 인체치수 정량화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제품 품질성능강화 방안과 휠체어 테이블 고정 벨크로의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으며,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제품시장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앤드박스 각도조절 책상


앤드박스는 사용자의 취향과 환경에 맞춰 설계되는 모듈형 가구 브랜드로,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사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책상 개발을 위해 사이즈코리아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컨설팅을 통해 연령대별 인체 치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책상 높이 및 각도 조절 단계 정의하고, 독서대 각도를 조정하는 설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 효율성을 확보한 국산 제품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공공기관 및 민간 시장 확장과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오이에이치앤드파트너스 산업용 마스크





오이에이치앤드파트너스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기반 연구개발기업으로, 한국인 얼굴에 잘 맞는 산업용 마스크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나, 성별 및 연령대 얼굴 변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다. 이에 사이즈코리아 컨설팅을 통해 마스크 설계에 필요한 얼굴 치수 항목 선정 및 한국인의 얼굴 유형을 분석하였고, 98% 이상의 한국인 근로자 얼굴을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마스크 설계 사이즈도 제안하였다. 본 결과는 보건마스크, 수술마스크 등 다양한 제품의 사이즈 개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저커넥트 농업용 편이 장비의 사용성 평가 분석 솔루션


유저커넥트는 제품 및 사용자군을 고려한 사용성 평가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로, 농업용 편이 장비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이즈코리아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컨설팅을 통해 고령자 농업인의 신체 특성을 반영한 설계 기준을 마련하였고, 인체 치수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의 사이즈 결정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결과는 인간공학적 농업용 편이 장비 설계에 활용되어 안전성과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케이투코리아 모자 제품군 인두(헤드폼)




케이투코리아는 아웃도어 제품 브랜드로, 자사 모자 제품군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이즈코리아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기존 헤드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K2 사내 피팅모델의 두상과 사이즈코리아 3D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3D 헤드폼이 개발되었다. 정밀한 3D 모델링 헤드폼 개발을 통해 모자의 맞음새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케이투코리아 모자 제품군의 품질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 스피나코퍼레이션 - 경추베개
피나코퍼레이션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위한 기능성 침구(경추베개) 브랜드로, 경추베개 설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컨설팅을 의뢰하였다. 성별연령별 맞춤형 기능성 경추베개 개발을 목표로 인체치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컨설팅을 통해 베게 설계 요소에 기반한 설계 치수가 산출되었고, 메모리폼 소재 특성을 고려한 사이즈 조정 및 경추 지지 효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인체공학적인 제품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향후 기능성 침구 라인업 확장과 시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wr_id=5962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HOT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ECO융합섬유硏, 활성... ECO융합섬유硏, 활성탄소섬유 기반 유해가스 흡착제 개...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