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월 무역기술장벽(TBT) 598건, 전년 대비 33% 증가 식의약품, 화학·세라믹, 전기·전자 순, 기술규제 많아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5. 2. 10. 22:11

본문

1월 무역기술장벽(TBT) 598, 전년 대비 33% 증가

식의약품, 화학·세라믹, 전기·전자 순, 기술규제 많아

 

2025년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통보한 기술규제는 1598건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해 동기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연초부터 기술규제가 쏟아지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무역기술장벽(TBT) 협정에 따라 무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 규정, 표준, 적합성 평가 절차 등 기술규제를 제·개정할 경우 WTO에 통보 의무가 있다.

 

국가별로는 규제 선도국인 미국이 가장 상위를 차지했으며, 르완다와 케냐 등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 르완다,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부룬디 5개국 소속)를 비롯한 개도국이 식품 관련 규제 등을 통보하며 그 뒤를 이었다.

 

분야별로는 식의약품 분야(35.6%), 화학 세라믹 분야(15.9%), 전기 전자 분야(9.0%) 순으로 많은 기술규제가 통보됐다.

 

식의약품 분야에서는 식품 시험법 재개정, 라벨링과 의료기기 등에 대한 규제가 늘어 작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전기 전자 분야도 증가했는데, 미국을 중심으로 냉장고 등 가전기기에 대한 에너지 효율 규제가 늘어난 데서 기인했다.

 

우리나라 수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10대 수출국(미국, 대만, 일본, 유럽연합(EU), 베트남, 중국, 멕시코, 호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5대 신흥국(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칠레, 인도, 러시아)을 일컫는 15대 중점국은 132(22.0%)을 통보했다.

 

미국은 여전히 1위를 유지했는데, 친환경 차량 관련 규제 등 78건을 통보해 작년 동기(42)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 3위를 차지한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식의약품 관련 규제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는 무역기술장벽 증가세가 더욱 가파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관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구축해서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년 무역기술장벽 통보 현황

1월 무역기술장벽 통보 추이 (단위: )

연도 2025 2024 2023 2022 2021
1 598 448 389 374 346

무역기술장벽 통보 상위 10개국 (단위: )

국가 미국 르완다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부룬디 이집트 한국 말라위 브라질
1 78 68 51 48 44 43 37 21 17 13

 

15대 중점국 무역기술장벽 통보 현황 (단위: )

10
수출국
미국 대만 일본 유럽연합
(EU)
베트남 중국 멕시코 호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1 78 8 7 6 4 3 1 0 0 0
5
신흥국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칠레 인도 러시아
1 11 9 5 0 0

미국 무역기술장벽 통보 추이 (단위: )

연도 2025 2024 2023 2022 2021
1 78 42 37 38 49

 

5 산업별 무역기술장벽 통보 비중

20241(448) 20251(598)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wr_id=5890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