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수출 실적 발표

통계 및 공지

by 텍스뉴스 Texnews 2022. 7. 22. 20:23

본문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수출 실적 발표

6월 섬유수출, 전년동월 대비 7.0% 감소한 242.3백만달러

원가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 당분간 이어질 것 전망

대구경북 월별 섬유수출 추이

대구경북 월별 섬유수출 추이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는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산업 수출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발표했다.

 

대구·경북지역의 6월 섬유 수출은 직물 수출의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등에 따른 섬유류 제품 수요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7.0% 감소한 242.3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2년 상반기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1,582.3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섬유직물은 130.4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2.6% 증가한 반면, 섬유원료 42.0백만 달러, 섬유사는 53.2백만 달러, 섬유제품 16.7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각각 16.5%, 17.8%, 9.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폴리에스터 직물과 니트는 전년동월 대비 각각 16.6%, 9.2% 증가한 45.3백만 달러, 23.5백만 달러를 수출했으며,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6월과 비교하면 폴리에스터 직물은 5.1% 감소한 반면, 니트는 11.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국별 섬유 수출을 살펴보면 전년 동월 대비 미국(0.3%), 튀르키예(10.6%), 아랍에미리트(28.8%) 등에서 증가한 반면 중국(14.9%), 베트남(5.1%) 등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지역 섬유업체의 수출은 올해 들어 코로나19가 안정화되면서 섬유류 관련 제품의 수요증가에 힘입어 회복세를 이어 왔으나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 불안으로 6월 섬유 수출은 감소세로 돌아섰다. 또한, 원가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로 업체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김진일 기자>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섬유패션산업 AI융합 인재양성 나서 > WEEKLY NEWS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섬유패션산업 AI융합 인재양성 나서 > WEEKLY NEWS | 한국섬유경제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섬유패션산업 AI융합 인재양성 나서 ‘패션 제품 판매데이터를 활용한 판매예측(기초)’ 교육생 모집 2022-07-22 20:17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섬유패션산업 AI융합 인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