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5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전년동월 대비 9.4% 증가한 274.4백만달러 기록
오더 감소 및 원가상승 부담 등으로 어려움 가중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는 6월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섬유 경기동향 설문조사 결과와 5월 지역 섬유산업 수출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발표했다.
대구·경북지역의 5월 섬유 수출은 섬유직물 수출증가 및 터키, 미국, 중국 등으로의 수출증가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9.4% 증가한 274.4백만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섬유원료 45.6백만달러, 섬유직물 145.8백만달러, 섬유제품 18.6백만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각각 3.8%, 21.5%, 2.2% 증가한 반면, 섬유사는 64.4백만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6.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폴리에스터 직물과 니트는 전년동월 대비 각각 30.1%, 22.0% 증가한 50.2백만달러, 23.9백만달러를 수출했으며,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5월과 비교하면 폴리에스터 직물은 10.6% 감소한 반면, 니트는 0.4%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국별 섬유 수출을 살펴보면 전년동월 대비 미국(4.5%), 중국(7.6%), 터키(19.5%) 등 많은 국가에서 증가한 반면 일본(7.9%) 등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5월~6월 체감경기 종합지수(BSI)는 경기침체로 인한 오더 감소와 원가상승 등의 요인으로 전월 대비 하락해 89.9로 조사됐으며, 7월~8월도 경기침체 및 계절적 비수기 진입에 따른 오더 감소, 원가상승 등의 요인으로 하락 전망세를 보여 ‘21년 7월~8월 이후 최저인 84.8를 나타냈다.
대구·경북지역 5~6월 매출 관련 체감지수는 전월 대비 하락해 내수 86.1, 수출 88.1로 조사됐으며, 7~8월도 각각 86.1, 87.4로 하락 전망했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지역 원사업체는 국제 원유가격의 가파른 상승세로 인한 원료가격 인상 및 그동안의 적자 누적으로 원사가격을 인상했으며, 원사 수급 불안정으로 생산량도 20%~30% 감산했다고 밝혔다.
또, 향후 원료가격이 안정되지 않으면 원사가격 인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의 제직업체는 올해들어 코로나19의 진정세에 따라 지난 4월까지는 경기 회복세를 보였으나 5~6월 들어서는 계절적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오더 감소 및 원가상승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관계자는 “올해 지역 섬유업체 경기는 코로나19의 진정세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인플레이션 불안 및 원가 부담 증가 등의 요인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김진일 기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5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 WEEKLY NEWS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5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 WEEKLY NEWS | 한국섬유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5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전년동월 대비 9.4% 증가한 274.4백만달러 기록 오더 감소 및 원가상승 부담 등으로 어려움 가중 2022-06-24 15:27 한국섬유개
www.ktenews.co.kr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수출 실적 발표 (0) | 2022.07.22 |
---|---|
경북테크노파크,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 지원기업 2차 모집 개시 (0) | 2022.07.11 |
다이텍硏, 섬유소재 데이터 플랫폼 연계 지원기업 모집 빅데이터 활용 기업 신소재 개발 및 기획 역량 강화 지원 (0) | 2022.06.13 |
2022년 경북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 지원사업 수혜기업 모집 경북·포항TP 바우처 지원을 통한 지역활력 제고 및 기업성장 협업 (0) | 2022.06.13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4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채산성 악화 속, 전년 대비 6.4% 증가한 267.6백만달러 기록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