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4회 섬유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56명 포상
섬유패션산업 경쟁력강화 및 포스트코로나 대응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발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지난 11월 11일, 오후4시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4회 섬유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섬유의 날’은 국내 업종 중 최초로 섬유패션업이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한 1987년 11월 11일을 기념해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 34회째를 맞이했다.
이번 행사에는 박진규 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56명의 유공자들을 포상하는 한편, 부대행사로 중소협력업체의 자금조달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섬유 유관기관 간 ‘상생특별보증 프로그램 출연 협약식’을 체결하고,‘26년까지 총사업비 1조 4,000억원 투자, 3만 6천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을 발표했다.
박진규 차관은 축사를 통해, “우리 섬유패션산업은 현재 28만여명이 종사하고 있는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국가 주요 산업으로, 그동안 산업발전에 헌신해 온 섬유패션인들의 노고를 치하한다”며, “올해는 코로나19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섬유패션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혁신을 통한 변화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해 위기에 강한 산업으로 만들어 가자”고 밝혔다.
또한 박진규 차관은 섬유패션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제 공급망 재편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➊ 해외 환경규제 강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해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이 무엇보다 시급함을 언급하면서 친환경 소재와 공정기술 개발 및 청정 생산시설 구축 등을 통해 친환경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또, ➋ 코로나19로 비대면 경제가 가속화 되면서 섬유패션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을 이루어 나가야 한다면서 섬유소재 빅데이터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의류 제조 등 디지털 사업 모델을 적극발굴하고 확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➌ 최근 방역, 안전과 안보 현안이 중요해짐에 따라 안전한 사회구현을 위한 섬유패션 분야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면서 케이-방역, 안전, 국방분야의 섬유 소재와 제품 개발, 성능평가 및 인증 기반을 구축하고, 탄소섬유 등 첨단소재의 개발 및 자립화도 이루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➍ 전례가 없는 코로나19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경제주체 간 연대와 협력을 통해 튼튼한 산업생태계를 만들어나가야 한다면서 봉제공장 간 망(네트워크) 생산체계 구축, 섬유 흐름(스트림) 간 기술협력 및 수요-공급기업 간 연대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섬유의 날 기념식에서는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총 56명의 섬유업계 종사자들은 훈장(금1, 은1), 포장(2), 대통령표창(5), 국무총리표창(4), 장관표창(43) 등 정부포상을 수상했다.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한 ㈜파크랜드 이병걸 회장은 47년간의 의류패션 분야의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 기반마련 등을 통해 우리나라 섬유패션산업의 국제적 위상강화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했으며, 260여개 국내 협력사로부터 국산소재를 활용하는 등 상생협력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한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김이진 이사장은열병합발전소 이전 등을 통한 공단 입주업체(126개사)들의 원가절감, 공정개선, 폐수처리 기본요금 면제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등 국내 염색산업의 발전과 지역경제 상생에 기여했다.
▶한편, 자동차용・산업용 필터 소재와 응용제품의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를 통한 고용창출 및 산업용 여과지 국산화, 코로나19 대응 멜트블로운 공급 확대를 통해 마스크 수급 안정화에 기여한 ㈜크린앤사이언스 곽규범 대표이사와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과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에 기여한 태광산업㈜ 전정식 공장장은 각각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웰크론 신정재 대표, ㈜자인 권재원 소장, 삼성물산㈜ 정연암 부장, 도레이첨단소재,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대통령 표창을, ㈜대천나염 김도균 대표, ㈜대성섬유 김철수 대표, ㈜영보월드와이드 김승영 대표,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윤석한 섬유PD가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 정부포상 유공자 명단(훈장, 포장)
훈격 |
수상자 |
주요 공적 |
금탑 산업 훈장 |
㈜파크랜드 이병걸 회장
|
• 47년간 의류패션 분야의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 기반마련, 안정적인 재무구조 확립 등을 통해 Global 위상 강화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47년 근무)
• 200억 규모의 국산소재 활용으로 260여개 협력사 3,000여명의 간접 고용 효과와 12개 브랜드 및 660개 매장 운영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
• (‘19년 실적) 매출 9,456억원, 고용 562명 |
은탑 산업 훈장 |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김이진 이사장 |
• 원가절감, 공정개선, 폐수처리 기본요금 면제 등을 통해 공단 입주업체(126개사)들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등 대구염색산업 발전에 기여(15년 근무)
• 친환경 염색공단 조성, 입주업체 원가절감 및 공단 자구책 마련에 기여(공정개선 및 약품비 절감, 폐수처리 기본요금 면제 등 약 230억원 경감)
• (‘19년 실적) 매출 1,180억원, 고용 201명 |
산업 포장 |
㈜크린앤사이언스 곽규범 대표이사 |
• 자동차용, 산업용 Filter 소재와 응용제품인 에어 클리너 등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를 통해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을 견인하는데 기여(34년 근무)
• 마스크용 원단 긴급지원(371톤, 약 2억만장) 및 마스크 생산의 핵심원료인 멜트 브로운 공급 확대(0.2톤 → 85톤)를 통해 수급 안정화에 기여
• (‘19년 실적) 매출 1,183억원, 고용 182명 |
산업 포장 |
태광산업(주) 전정식 공장장 |
• 울산공장 공장장으로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과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12년 근무)
• LMF, 나일론, 아라미드 제품에 대한 품질경영 시스템 구축과 인증 획득 등을 통해 품질 경쟁력 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
• (‘19년 실적) 매출 20,272억원, 수출 504백만불 고용 347명 |
▣대통령 표창 이하 수여 대상자 현황
소속 |
직위 |
성명 (나이) |
수공 기간 |
주요 공적내용 |
추천 훈격 |
도레이첨단소재㈜ |
(단체) |
- |
20년 |
ㆍ차세대 고부가가치 제품인 메타아라미드, 탄소섬유 등을 통해 섬유기술 고도화에 기여 |
대통령 표창 |
㈜웰크론 |
대표 이사 |
신정재 (55세) |
9년 |
ㆍ축척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능성 침구, 여성용품, 위생재 등 소비자 생활안전에 기여 |
대통령 표창 |
㈜자인 |
소장 |
권재원 (47세) |
15년 |
ㆍ지반침하 방지용 직물, 마이크로 초극세사 침구제품 등 섬유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 |
대통령 표창 |
삼성물산㈜ |
부장 |
정연암 (54세) |
25년 |
ㆍ멜트 브로운(MB) 필터를 적기에 수입하는 등 국내 마스크 수입 안정화에 기여 |
대통령 표창 |
한국탄소융합기술원 |
(단체) |
- |
17년 |
ㆍ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및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국산화 추진에 기여 |
대통령 표창 |
(주)대천나염 |
대표 이사 |
김도균 (63세) |
32년 |
ㆍ신소재 개발에 디지털을 이용한 생산 방식을 적용하여 섬유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
국무총리 표창 |
(주)대성섬유 |
대표 이사 |
김철수 (69세) |
31년 |
ㆍ부산경남봉제산업협동조합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부산지역 봉제산업 활성화에 기여 |
국무총리 표창 |
㈜영보월드와이드 |
대표 이사 |
김승영 (53세) |
17년 |
ㆍ직물분야(고급안감)의 신시장 개척(리사이클 스트리치 이너제품)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
국무총리 표창 |
한국산업기술 평가관리원 |
섬유PD |
윤석한 (48세) |
19년 |
ㆍ핵심 수요산업에 요구되는 고성능 부직포 소재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 |
국무총리 표창 |
㈜구주패브릭 |
대표 이사 |
박영규 (49세) |
21년 |
ㆍ합성섬유교직 수출시장 개척을 통해 섬유제품 수출증대에 기여 |
장관 |
한솔섬유㈜ |
전무 |
한기욱 (62세) |
31년 |
ㆍ3D를 활용한 New Pun 시스템 도입 추진 등 혁신기술을 섬유패션산업에 도입하는데 기여 |
장관 |
㈜다원섬유 |
대표 이사 |
정태섭 (63세) |
21년 |
ㆍLow/high gauge 환편니트 소재분야의 신제품 개발 및 제품화를 통해 대중화에 기여 |
장관 |
㈜서진니트 |
대표 이사 |
권영헌 (51세) |
12년 |
ㆍ새로운 소재, 디자인 등을 예측하여 신제품을 지속 출시하는 등 섬유제품 발전에 기여 |
장관 |
한국탄소융합기술원 |
수석 연구원 |
김성룡 (56세) |
29년 |
ㆍ고강도 중탄성급 제품을 개발하는 등 우리나라 섬유제품의 기술력 향상에 기여 |
장관 |
㈜강길 |
대표 이사 |
김용 (45세) |
19년 |
ㆍ항균원사를 활용하여 생활마스크 130만장을 공급하는 등 마스크 수급안정화에 기여 |
장관 |
㈜나비스 |
대표 이사 |
소대성 (54세) |
22년 |
ㆍ침구류 분야의 공정 개선 및 섬유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 |
장관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단체) |
- |
6년 |
ㆍ섬유패션산업 2, 3차 협력업체의 성장기반 조성 및 제조 뿌리산업 육성에 기여 |
장관 |
경기섬유산업연합회 |
(단체) |
- |
7년 |
ㆍ경기지역 섬유업계의 발전전략과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등 지역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 |
장관 |
두칸 |
대표 이사 |
최충훈 (46세) |
9년 |
ㆍ100% 국산 원자재 사용 및 국내 임가공 생산 등을 통해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장관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본부장 |
복진선 (58세) |
28년 |
ㆍ산업용 섬유소재의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산업용 섬유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 |
장관 |
DYETEC연구원 |
책임 연구원 |
김지연 (44세) |
21년 |
ㆍ염색, 가공기업과의 공동과제 수행을 통해 기능성섬유 분야의 기업경쟁력 향상에 기여 |
장관 |
삼성전자㈜ |
차장 |
강주혜 (39세) |
17년 |
ㆍ멜트 브로운(MB) 필터를 적기에 수입하는 등 국내 마스크 원자재 부족 해소에 기여 |
장관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차장 |
송지영 (40세) |
15년 |
ㆍMB 필터 신규 수입처 발굴, 조달 계약, 인증 등 마스크 수급 안정화에 기여 |
장관 |
㈜성안 |
부장 |
곽기훈 (49세) |
23년 |
ㆍ잠재권축사를 활용한 니트직물을 개발하여 약 300만불 상당의 매출 성장에 기여 |
장관 |
㈜신원 |
이사 |
이규권 (50세) |
20년 |
ㆍ특수복 등 신 item의 해외 현지 vertical 오더 수주($900만)를 통한 수출확대 기여 |
장관 |
㈜국동 |
차장 |
이경연 (41세) |
16년 |
ㆍ미국 수출 900만불에서 2,000만불로 향상될 수 있도록 영업 및 생산관리에 기여 |
장관 |
㈜티케이케미칼 |
부장 |
류찬식 (51세) |
25년 |
ㆍSPANDEX 분야의 공정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품질 안정에 기여 |
장관 |
㈜휴비스 |
부장 |
이광희 (45세) |
17년 |
ㆍ친환경 신축성 섬유소재 등의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향상에 기여 |
장관 |
㈜경일테크 |
상무 |
이상민 (65세) |
18년 |
ㆍ섬유인쇄기계 특허권창출 및 신기술개발로 해외 시장 확대에 기여 |
장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기술원 |
박근혜 (41세) |
12년 |
ㆍ스마트 웨어러블 의류 등 섬유패션산업의 실증적 연구 수행에 기여 |
장관 |
한세실업㈜ |
차장 |
조리라 (43세) |
19년 |
ㆍ부자재, 후가공 등 국내 협력 업체와 상생의 파트너쉽을 통해 수출경쟁력 향상에 기여 |
장관 |
대한화섬㈜ |
기장 |
이상환 (62세) |
39년 |
ㆍ폴리에스터 제품 공정의 안정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 |
장관 |
태광산업㈜ |
분임장 |
박창언 (55세) |
33년 |
ㆍ공업용수 배관 지상화로 용수 Loss 최소화 등 공정개선을 통한 원가절감 기여 |
장관 |
전방㈜ |
과장 |
김영수 (60세) |
32년 |
ㆍ방적생산의 공정의 체계를 확립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 |
장관 |
일신방직㈜ |
차장 |
황영훈 (58세) |
30년 |
ㆍ제조공정 단축과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켜 원가절감 및 수율향상에 기여 |
장관 |
㈜럭스 |
이사 |
노임현 (55세) |
30년 |
ㆍ염색 공법 및 신제품 개발 연구에 이바지하여 불량률 감소 및 수익증대에 기여 |
장관 |
FITI시험연구원 |
팀장 |
임미영 (47세) |
29년 |
ㆍ품질매뉴얼 등 내부 관리체계를 확립하여 시험품질 향상과 시스템 개선에 기여 |
장관 |
코오롱머티리얼㈜ |
과장 |
김근희 (46세) |
27년 |
ㆍ현장에 Computer Color Matching을 도입하여 체계적인 Color 관리 및 염색품질 향상에 기여 |
장관 |
DI동일 |
부장 |
권오석 (49세) |
25년 |
ㆍ신 염색기술 및 정보를 현장의 실무진에게 전파하는 등 섬유분야 기술발전에 기여 |
장관 |
태광산업㈜ |
분임장 |
김중수 (51세) |
25년 |
ㆍ공정개선 활동 및 적극적인 제안 활동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 |
장관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
계장 |
손영해 (42세) |
21년 |
ㆍ기술표준 정보 제공 및 기술 지도를 통해 섬유업계의 발전과 수출 증대에 기여 |
장관 |
KOTITI시험연구원 |
책임 연구원 |
가창현 (45세) |
20년 |
ㆍ섬유시험분석 시스템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시험분석 향상에 기여 |
장관 |
㈜대농 |
사원 |
변상오 (46세) |
20년 |
ㆍ모터 교환 장치 개선을 통해 기계능률 향상 및 정비시간 단축에 기여 |
장관 |
㈜콜핑 |
대리 |
송승미 (59세) |
16년 |
ㆍ물류 입출고 관리업무의 체계를 확립하여 출고안정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 |
장관 |
㈜서원테크 |
차장 |
허은지 (44세) |
22년 |
ㆍ효율적인 재고관리 및 신규 프로세스 공정혁신을 통해 가격경쟁력 향상에 기여 |
장관 |
㈜티케이케미칼 |
부장 |
최찬호 (51세) |
24년 |
ㆍ원사 제품 수출시장 개척 및 다변화를 통해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장관 |
서진섬유㈜ |
대표 이사 |
육이수 (70세) |
33년 |
ㆍ휴대폰 전자파 차단, 고신축 특수사 등의 제품으로 섬유산업 개발 향상에 기여 |
장관 |
성진섬유 |
대표 이사 |
백종남 (62세) |
29년 |
ㆍ경기북부 원자재물류센터 건립 활동 및 지역 섬유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장관 |
㈜엔라인 |
부사장 |
이은경 (54세) |
8년 |
ㆍ브랜드 매출 확대 및 국내외 소비자에게 트렌드를 제시하는 등 패션문화의 확장에 기여 |
장관 |
인터텍스서울㈜ |
대표 이사 |
장인철 (60세) |
25년 |
ㆍ기술 특허를 기반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 |
장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연구원 |
윤혜준 (49세) |
22년 |
ㆍ봉제 생산관리시스템 개발과 기술의 접목으로 새로운 Smart System 개발에 선도적 기여 |
장관 |
㈜이주 |
대표 이사 |
이창석 (50세) |
24년 |
ㆍ의류봉제용 접착심지 기술개발 및 제품생산으로 섬유산업 기술발전에 기여 |
장관 |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주요내용
1. 추진배경
□ 도ㆍ소매업 포함시 종사자 83만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고용 창출산업
*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 : 섬유(10.7), 제조업 평균(9.3), 자동차(8.6), 반도체(3.6)
□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확대, 개도국 추격을 받는 Nut-Cracker상황 직면, GVC 재편, 디지털 전환 등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재도약 기회 활용
2. 주요내용 (4개 전략, 16개 과제, 총사업비 1조 3,947억원)
(그린)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 (11개 과제, 총사업비 1,431억원)
ㅇ 친환경 섬유소재ㆍ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을 통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한 친환경섬유 제조기반 강화
ㅇ 진단 컨설팅, 노후설비 교체 지원을 통해 염색업종의 그린산업 전환
(디지털)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 (11개 과제, 총사업비 1,120억원)
ㅇ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개발ㆍ실증, 섬유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ㆍ활용 등을 통해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제고
ㅇ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의류 제조, 스마트 쇼룸 구축 등 K-패션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구축ㆍ확산
(안전) 첨단기술로 안전한 사회 구현 (11개 과제, 총사업비 2,541억원)
ㅇ 방역ㆍ산업안전ㆍ국방분야의 섬유제품 개발, 성능평가 및 인증 인프라 구축으로 수입대체 및 글로벌 시장진출 확대
ㅇ 고강도ㆍ고탄성 유기섬유, 탄소섬유 등 핵심 전략소재 자립화
(연대&협력)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8개 과제, 총사업비 8,855억원)
ㅇ 지역거점 봉제산업 혁신공정 구축, 섬유스트림간 기술협력 및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기반조성을 통해 섬유패션 생태계 강화
3. 기대효과
□ ‘26년까지 총사업비 1조 4,000억원 투자, 3만 6천개 일자리 창출
⇨ 그린ㆍ디지털 혁신을 통해 섬유패션산업 글로벌 신시장 선점
<김진일 기자>
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wr_id=7977
‘제34회 섬유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56명 포상 > HOT NEWS |
‘제34회 섬유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56명 포상 섬유패션산업 경쟁력강화 및 포스트코로나 대응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발표 2020-11-14
www.ktenews.co.kr
산업부, 유해물질 안전요건 포함한 ‘방한대 예비안전기준’ 공고 (0) | 2020.11.14 |
---|---|
DYETEC연구원 ‘염색산업용 에너지 최적화 플랫폼 개발 성공’ (0) | 2020.11.14 |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이사장 김이진 – 은탑산업훈장 수훈 (0) | 2020.11.14 |
㈜자인 연구소장(이사) 권재원 – 대통령 표창 수상 (0) | 2020.11.14 |
‘대구마스크산업협동조합’ 창립으로 컨트롤타워 구축 (0) | 202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