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성 본위의 웰빙 라이프스타일 확대로 집중 조명 받는 ‘쉐이퍼 웨어’, ‘레그 쉐이퍼’
메디컬 스타킹 (Medical Stocking) 응용·접목시킨 마켓 아이템&셰어 확장 흐름 지속 전망
‘호이저리(hosiery)’ 환편기, 압박스타킹 비롯 다양한 아이템 개발 가능, 성장가능성 무궁무진
다리건강, 여행, 임산부, 스포츠, 재활, 혈전예방, 정맥류 궤양 방지용 등 용도 아이템 확대
<편집자 주>
글로벌 패션 마켓에서 핫-아이템으로 자리하며, 변화와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레깅스’, ‘레시가드’, ‘애슬레저’ 트렌드
이런 가운데, ‘메디컬 스타킹 (Medical Stocking)’ 아이템을 중심으로 이를 응용·접목시킨 아이템들의 마켓셰어 확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특히, 쉐이퍼 웨어, 레그 쉐이퍼 등 체형 보정과 건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아이템들이 건강·기능성 본위의 웰빙 라이프스타일과 맞물리면서 이머징 아이템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독일의 기능성 호이저리 싱글 환편기 글로벌 메이커인 ‘MERZ(멀츠)’사의 한국대리점인 가인상사(대표 김준수)의 협조 아래 ‘메디컬 스타킹(Medical Stocking)’의 대표 아이템군으로 자리하고 있는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을 중심으로 이해를 돕는 한편 관련 업계의 응용마켓 진출을 제시하기 위해 신년특집 기획을 마련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압박스타킹 이란? (compression stocking)
스타킹 요법은 정맥류 치료 과정에 있어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정맥류 치료법 중에는 보존요법, 혈관강화요법, 레이저요법, 광투시요법, 수술요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정맥류의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의 선택이 상당히 중요하다.
정맥류 질환 자체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의 심각한 질환은 아니며,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쉽게 치료를 결정하지 못한다. 이러한 치료 목적은 혈액순환 및 미용적 개선이며, 위험성이 적고 효과적인 치료방법 선택이 보다 중요하다.
보존요법 중 고탄력 압박스타킹 요법이 있는데, 대부분 주사요법이나 수술전·후에 착용을 추천하고 있으며, 임상결과에 따르면 압박스타킹요법은 주사, 수술요법과 함께 3대 요법으로 정맥류 치료과정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구미 선진국에서도 정맥류 질환치료 후에는 필수적으로 고탄력 정맥류 스타킹을 착용하도록 권장하고 있고, 특히 독일과 같은 경우는 1년에 두 켤레는 의료보험이 적용되도록 법제화 되어 있다.
정맥류 질환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의료용 고탄력 스타킹 착용만으로도 증상을 크게 완화시킬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상태가 수술이나 경화요법에 부적절할 경우, 즉 예후가 좋지 못하거나 고령의 노인일 경우, 비만증, 임신후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경우 등은 모두 보존적 스타킹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의료용 압박스타킹은 증상을 완화시키고 중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해 주지만 질환을 완치시키는 것은 아니다.
의료용 압박스타킹으로 다리를 압박하게 되면 정맥혈의 재귀, 즉 심장으로의 혈액 복귀를 증가시켜주고, 다리 혈액순환의 중추저긴 역할을 하는 종아리 근육펌프의 기능을 향상시켜 준다.
세계의 유명한 정맥류학자들은 거의 대부분 정맥류 질환의 치료효과는 물론 치료 후 혈액순환 개선을 위해 고탄력 압박스타킹의 착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압박스타킹의 수요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생활 및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well-being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구매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해외여행 인구와 서비스업 종사자의 꾸준한 증가세는 물론 노령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실버건강 제품에 대한 구매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정맥류에 대한 인식변화와 미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 사무직 근로자 및 컴퓨터 사용시간의 증가는 물론 예방차원의 의료 보조용품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또, 저출산 시대 및 임산부 보조용품시장의 증가와 스포츠 관련 보조용품시장의 확대, 예방적 차원의 의료보험 체계 전환 요구, 정맥류 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다리건강과 바른 자세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은 관련 제품의 마켓셰어 확대 흐름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 압박스타킹의 분류
▶다리건강 (Leg Health)용
우리 모두가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살기 바라지만 정작 혹사당하고 있는 다리 건강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하지정맥에 발생되는 질환은 모든 연령대의 남·녀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으며, 좋지 못한 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상처, 수술 그리고 고연령, 임신 등의 요소들은 다리 건강뿐만 아니라 심장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유전적인 요인이나 수술, 고연령, 임신 등의 요인들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우선 좋지 못한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한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우선 다리건강을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과 바른자세, 편안한 신발착용 그리고 압박스타킹의 착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규칙적인 보행과 수영, 자전거타기는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발달시키면서 다리로부터 심장쪽으로 정맥혈 순환에 많은 도움이 된다.
따라서 부종, 정맥류, 림프질환의 경우 꾸준한 운동과 압박스타킹의 착용이 권장된다.
▶여행용 (Travel sock)
장거리 자동차 여행 또는 비행기를 이용한 여행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다리 건강에 영향을미치게 되는데, 장시간 똑같은 자세로 앉아있으면 몸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이러한 운동부족은 발과 다리부종의 원인이 되며, 다리의 피로와 통증을 동반해 다리가 부겁게 느껴진다.
오랫동안 앉은 자세로 움직이지 않고 있으면, 다리에서 심장쪽으로 정맥혈이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혈액순환의 장애는 혈액의 응고를 초래하고 이는 다시 혈전증으로 진행될 수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같은 자세로 5시간이상 의자에 앉아 여행을 하다보면 혈전이 발생하게 되어 건강을 위협하게 되는데 이를 우리는 이코노믹증후군 (economic class syndrome) 이라 한다.정맥혈전증(Thrombosis)은 심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 DVT) 이나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여행 시에는 단계 압박스타킹을 착용하여 정맥혈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임산부용 (Pregnancy)
임신기간은 아기와 동시에 임산부를 특별히 관리해야 하는 시기로서, 이 기간 동안에는 아기와 임산부 모두 많은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특히 임산부의 혈관에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임신을 하게 되면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정맥이 이완 팽창하게 되는데, 혈관의 이완은 임신 첫 3개월 동안 발생하게 되며, 혈액의 양 또한 임신기간 동안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임산부 혈액의 양은 임신 전에 비해 약 45%정도 증가하게 된다.
정맥 혈관의 이완·팽창은 특히, 정맥에 존재하는 정맥판막(Valve)의 기능에 영향을 끼쳐 정맥혈의 역류를 초래하게 된다.
혈관의 이완, 판막의 기능저하, 그리고 혈액량의 증가는 임산부의 다리로부터 심장으로 올라가는 정맥혈이 제대로 순환하지 못해 혈액이 다리에 머물게 되면서 나타나는데, 이는 다리의 부종과 통증을 유발하며, 특히 발목부종은 대부분의 임산부에게 나타나게 된다.
임신 3개월부터는 아기의 무게와 자궁때문에 하지정맥의 혈액순환 장애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임산부의 신체적 상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압박스타킹은 정맥의 충혈을 감소시키고 다리표면의 혈관을 감싸주게 되고, 이는 다시 혈액의 량과 혈관의 이완을 조절해 부종과 하지정맥류 질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스포츠 및 재활용품
생활 체육의 활성화에 따른 수요증가와 Healing에 대한 관심도 증가로 이에 대한 압박스타킹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이클/마라톤/축구와 같은 많은 활동량과 폐활량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분야의 경우 근육 활동의 극대화와 활동후의 피로회복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압박스타킹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발목부터 무릎아래까지 착용하는 칼프서포트(Calf sipport)의 경우 광범위한 생활 체육분야 다양하게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게 세계적인 추세이다.
또한, 재활 스포트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크게 확대될 수 있는 Arm sleeve / Knee sleeve 등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어 의료분야를 뛰어넘는 거대시장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계 압박용 스타킹 (Gradient Compression Stocking)
압박스타킹은 일반 스타킹과 달리 단계 압박 구조(Gradient Compression)로 되어 있다.
단계 압박구조란 심장에서 가장 먼쪽인 발목부위의 압박이 가장 강하고(100%), 종아리(70%),허벅지(40%) 순으로 점차 압박이 약해지는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구조는 압력차이를 발생시키고, 이는 다시 정맥의 혈류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압력단위는 일반적으로 mmHg로 표시된다.
압박스타킹은 스타킹의 압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피부아래 정맥을 강하게 압박함으로서 정맥의 이완 및 팽창을 방지하게 한다.
단계 압박은 기능성 스타킹(메디컬 스타킹)직조 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메카니즘이다.의학적으로 가장 알맞는 압력을 수치화해 심장에서 가장 먼 쪽인 발목을 가장 강하게(100% 압력), 무릎부위(70%압력), 허벅지(40%) 순으로 심장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압력을 가하며, 정맥내경을 좁혀서 정맥혈류의 스피드를 증가시켜 자연스럽게 정맥피를 심장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과거 메디컬 스타킹이 나오기 전까지는 압박붕대를 직접 사람이 감아서 사용한 적도 있으나 정확한 단계압박을 가하기가 어려워 지금은 대부분 메디컬 스타킹(기능성 스타킹)을 착용한다.
▫ 압력과 건강 다이어트 스타킹
심장박동에 의해 혈액은 동맥을 통해 전신에 공급되고 발끝부터 다시 심장으로 올라오는 혈관이 정맥이다.
건강다이어트 스타킹을 착용하면 물리적으로 다리의 둘레, 특히 종아리 둘레를 가늘게 만들고 다리의 피부 아래에 있는 표피정맥의 내경 또한 따라서 가늘어지므로 그 속을 흐르는 정맥피의 혈류속도가 빨라진다.
이것은 정맥피의 물웅덩이 현상(한 곳에 고이는 현상)을 없애 혈전(Thrombus)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항상 슬림한 다리를 유지할 수 있는 다이어트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정맥내 판막기능 향상
메디컬스타킹을 착용하면 정맥내벽에 반월형으로 마주보고 붙어있는 판막이 정상적으로 여닫이 작용을 할 수 있게 해 정맥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며, 정맥류(Varicose vein)를 예방해 준다.
▫ 인체 해부학적 뒤꿈치 편직
인체해부학적으로 편직되지 않은 스타킹을 착용한 후 걸으면 발목의 움직임에 의해 스타킹이 수축이완을 반복해 다리, 특히 종아리 부위에 압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아 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혈전 예방용 (Anti Embolism)
외과적 수술후 또는 침대에 장기간 누워있는 환자의 혈전방지용으로 개발된 의료용 스타킹
▶정맥류 궤양 방지용 (Ulcer care)
정맥류 궤양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두겹으로 된 스타킹으로 궤양 부위에 직접 닿는 안쪽에는 별도의 스타킹(Liner)을 착용하고, 바깥쪽에는 지퍼방식의 스타킹(압력 40mmHg)을 착용하는 2중구조로 되어있어, 착용 시 궤양부위에 최대한 영향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안쪽에 착용하는 Liner는 가벼운 압력으로 착용 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임파부종 방지용(Lymphedema)
팔과 다리 그리고 손부위의 부종, 유방암 수술 후의 임파부종 관리를 위한 스타킹으로 지방흡입(post-liposuction) 후 동반되는 부종에도 착용한다.
※ 정맥류 질환 (Vein Problem) 이란 ?
흔히 ‘힘줄이 튀어 나왔다’라고 말하는 ‘정맥류’는 검붉은 색의 혈관이 부풀어 올라 다리 피부를 통해 튀어나와 있는 혈관 질환을 말하는데 정맥류는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올려 보내는 정맥내 판막이 망가지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판막(Valve)은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혈액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판막이 망가지거나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역류되는 혈액과 올라오는 혈액이 만나면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그 압력으로 정맥이 부풀게 된다.
누워 있을 때는 잘 보이지 않지만 서 있게 되면 다리에 약 300-800cc의 혈액이 몰려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심하면 지렁이가 지나가는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종아리에 많이 나타나며, 장기적으로 피가 고이게 되면 피부염이 발 안쪽에 잘 발생하는데 이럴 경우 미용상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심해지면 다리에 정맥염증이 생기고 피부가 썩게 된다.
■ 압박스타킹의 원리
스타킹 압박은 조직압을 증가시켜 세포 외액을 모세 정맥계로 되돌려 주어 다리 부종과 울혈을 감소시켜 주게 되는데,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탄력 의료용 스타킹은 부위에 따라 적당하게 압력을 분배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발목의 압력을 100 %로 보았을 때 무릎부분은 70% 허벅지는 40%로 압력이 위로 올라 갈수록 약해지게 제작되어 정맥의 재귀를 촉진시켜 주므로 스타킹을 신으면 정맥 혈액 순환이 나빠진다는 것은 전혀 의학적 근거가 없는 잘못된 상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의료용 스타킹은 천연고무(rubber 신장도 80%), 라이크라 (lycra 신장도 50%), 나일론(nylon신장도 300%)과 같이 사용되는 제품의 원사에 따라 다양한 신축성을 갖고 있으며, 압박 압력의 생리학적 고른 분배를 위해 특수 제작된다.
이런 스타킹은 보통 일반 스타킹이 아닌 의료기계로 분류되며, 식품의약청에 등록 허가가 있어야 판매가능하다.
국내의 경우, 2개사 정도가 마켓 진입을 위한 다각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맥류 전용 의료용 고탄력 스타킹은 일반 스타킹에 비해 압력이 세기 때문에 착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처음 착용할 때에는 병원에서 착용법 및 스타킹 관리법에 대한 의사의 처방과 설명에 따라야 한다.
■ 압박스타킹의 압력에 따른 분류
일반 패션 스타킹은 15-60 데니아 정도이며, 기능성 스타킹(건강다이어트 스타킹)은 통상적으로 140 데니아 이상의 원사로 편직한다.
스타킹의 압력 강도는 데니아와 동시에 탄력사(Elastan, Lycra)의 혼용률이 높을수록 압력이 강해지는데, 그러나 단순히 데니아 수치만 높다고 해 메디컬 스타킹의 기능을 하지는 못한다가장 핵심인 단계 압박 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일반 패션 스타킹은 착용 후 다리에 파스를 붙인 듯한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없다.
기능성 스타킹에 사용되는 원사의 데니아는 70부터 140데니아, 280데니아, 560데니아로 올라간다.
일반 스타킹에서는 데니아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순수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비교적 높은 압력(20-30mmhg 압력이상)은 데니아라는 말 대신 압력단위 mmHg라는 기호와 압력등급(class 1,2,3,4)으로 표시한다.
스타킹에는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와 정맥류 질환에 따라, I-IV까지 등급 구분이 되어진다."
▷class I light 18-21mmHg ▷class II medium 23-32mmHg ▷class III strong 34-46mmHg ▷class IV very strong 49mmHg 이상
이 중 정맥류의 정도에 따라 보통 적당한 압력(30-40mmHg)인 II 등급이 주로 사용된다.
구미 선진국에서는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없으며,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압력 등급 결정은 병원에서 정확한 초음파 혈류 검사 후에 의사로부터 처방을 받아 구입해야 한다.
의료용 고탄력 스타킹은 아침에 일어나서 착용하고 자기 전에 잠자리에서 벗어야 하고, 하루 평균 8시간 정도 착용을 권장하고 있다.
■ 의료용 압박스타킹 시장의 세계적 명브랜드
독 일 : VENOSAN, MEDI, JOBST, BAUERFEIND, JUZO, Ofa,THUASNE (약 600대)
이태리 : Ibici, Cizeta (약 200대)
스위스 : Venosan, Sigvaris (약 400대)
프랑스 : Sigovis, Inoothrva (약 200대)
일 본 : Toko, SAN ACE, Plus vglon, Beckslire (약 220대)
대 만 : 약 80대 이상
■압박 스타킹의 제조공정(PROCESS)
의료용 압박 스타킹의 제조는 엄격한 공정관리가 요구되며, 적절한 치료효과와 생산의 신뢰성, 그리고 최고의 편의성 등에 대해 엄격한 관리가 뒤따라야 한다.
의료용 압박 스타킹 생산을 위해서는 7개의 제조공정이 필수적이다.
1. YARN COVERING (원사 커버링) 2. KNITTING (편직) 3. SEWING (봉제) 4. PRE-BOARDING / PRE-SETTING (염색전처리) 5. DYEING (염색) 6. BOARDING / FINISHING (가공) 7. PACKING (포장)
▶ YARN COVERING ( 원사 카바링)
" 주로 사용되는 원사는 더블커버링사로 Lycra 40D, 60D, 70D 그리고 inlay yarn 으로는 압력단계에 따라 250D에서 500D 를 사용한다.
단계별 사용원사는 개략적으로 Class I 280D-44F 13/2, Class II 350D-22F 7/2, Class III 420D-44F 13/2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slip portion 에는 double covered lycra 40D or Nylon 60D (60/20/2), 뒷꿈치용으로는 double covered lycra 40D or 60D and Nylon 40D (40/13/2) 가 많이 사용되며, 요구되는 품질이나 압박기준에 따라 사용되는 원사는 달라질 수 있다.
▶ KNITTING (편직)
" 만들어지는 스타킹은 직경이 다른 기계에서 각각의 사이즈를 생산하며, 기계의 직경은 요구되는 사이즈에 따라 변경된다.
용도별 제품에 따른 생산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다.
강한 압박이 요구되는 메디컬 스타킹은 선염사를 이용해 보통 24게이지의 환편기에서 편직이 가능하며, 편직조작은 2courses : plain + 2 courses : 1x1 으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원사는 40D lycra+nylon DTY 70D/2을 기본으로 하며, 더블 카바링사에서 lay-in yarn으로 280D에서 500D 정도의 원사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원사를 생산 공급하는 회사로서 W. Zimmermann GmbH & Co. KG 과 SALZMANN AG 라는 두 회사가 있다.
스타킹의 종류에 따른 개당 생산시간은 다음과 같다.
▷Knee High Stocking appr. 3-4 min.
▷Thigh High Stocking appr. 4-5 min.
▷Pantyhose (one leg) appr. 5-6 min.
▶MERZ CC4 MED knitting machine
4-feed Knitting machine으로 메디칼 압박 스타킹 제품, 색전증 방지 및 여행용 양말 제품, 무릎 및 발목 보호대 제품 등을 생산할 수 있으며,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다음의 4가지 직경의 설비가 활용된다.
▫ CC4-MED 4 1/4"", 320 needles, gauge E24 (small) ▫ CC4-MED 4 3/4"", 360 needles, gauge E24 (medium)
▫ CC4-MED 5 1/2"", 420 needles, gauge E24 (large)
▫ CC4-MED 6"", 452 needles, gauge E24. (extra large)
▶Positive Feeder
발뒷꿈치에 적용되는 기능은 메디컬 스타킹에 반드시 요구되는 기능이다.
추가적으로 발가락용으로도 편직이 가능하다 MERZ 급사장치는 속실의 공급량을 조절해 모든 메쉬조직에 들어가는 실의 장력을 조절하며,여러 단계에서 각각 다른 압박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생산되는 MEDICAL STOCKING은 압박강도에 따라 CLASS I,II,III으로 구분되어야 하며, 기준에 일치되도록 생산해야 한다.
compression class compression in mmHg* (1 kPa = 7.5 mmHg)
I 18 to 21
II 23 to 32
III 34 to 46
▶ SEWING (봉제)
몇몇의 절단과 봉제 작업자들은 모든 부속품들을 (hem sewing, toe closing, assembly, elastic sewing 등) 같이 준비해야 하며, 이들은 매우 정밀한 작업에 대한 작업 숙련도가 있어야 한다.
생산된 제품에 대한 편안함과 견고함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좌우된다.
▶ PRE-BOARDING / PRE-SETTING (프리텐터와 셋팅)
편직과정중 제품들은 어느정도 스트레치성이 부여되어야 하며, pre-setting 공정은 제품들의 규격에 대한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pre-setting 공정은 2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첫번째는 염색 전에 편직 원단이 완화되도록 하며, 정련기 또는 steam iron으로 진행된다.
두번째 과정은 setting과 가공으로 염색공정을 위한 제품 준비가 이루어진다.
▶ DYEING (염색)
염색시간은 최소한 5시간정도가 소요되며, 세정, 염색, 예비건조, 건조의 4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각각의 염색과정은 주의해서 관리되어야 하며, 색상은 일반적인 조명 아래에서 샘플과 같이 확인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정은 제품의 색상 농도 결정에 아주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BOARDING / FINISHING (텐터와 가공)
염색된 제품들은 동일한 기계에서 프리셋팅이 이뤄지도록 해야 하며, 이런 과정은 우수한 색상과 깨끗한 외관을 부여한다.
▶ COMPRESSION MEASURMENT (압력측정)
제품에 대한 부위별 압박 측정은 염색 및 가공후 이루어져야 하며, 제품 발송전 별도의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되어야 한다.
측정장비 : MST MK IV (from Salzmann / Germany)
(문의 : MERZ(멀츠)사 한국대리점 : 가인상사 02-3672-4955/6)
<김진일 기자>
이탈리아, 이테마(ITEMA)그룹 ‘R9500 테크노’ 산업용직기 시연회 개최 (0) | 2018.01.30 |
---|---|
친환경·고기능성 나일론 BCF원사, 폴리프로필렌 BCF원사 생산 전문기업 - (주)동도 (0) | 2017.02.03 |
(주)우양물산, 이태리 ‘CHIORINO’社 신개발 연사기 벨트 등 본격 전개해 (0) | 2016.03.02 |
DYETEC, WPM 섬유분야 대기업-중소기업 상생 중심에서 매개역할 (0) | 2010.12.13 |
DYETEC ‘슈퍼소재 기능성 코팅 기술 개발’사업 활발 진행 (0) | 2010.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