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구·개발과제 확보 앞서 ‘전문인력확보’가 우선
R&D 올-인 기업, 시기·질투 아닌 ‘멘토’로 삼아야
스트림연계·슈퍼소재융합산업화사업·지역산업진흥사업을 비롯 시행기관·사업성격에 따른 각종 연구·개발사업이 봇물을 이루고 있는 상반기는 그야말로 기업·연구기관·대학들의 한판 전쟁터를 방불케하는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연구·개발과제들의 동시다발적 공고·접수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R&D를 확보해야하는 주체들의 경우 ‘한 해 농사’나 다름없는 상황에서 더 이상의 선택 여지는 없어 보인다.
하지만 정부과제 추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사업주관이 기업 중심으로 재편된 이후 매년 이맘때가 되면 전문인력에 대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일련의 R&D사업들은 소재개발에서 완제품 생산 및 판매에 이르는 스트림형식의 사업주관·참여·위탁기관이 상호 연계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모습이어서 중소기업 사업주관 또는 참여기업들의 경우 부담감을 덜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여전히 전문인력의 절대부족 및 필요성에 대한 절박성 수위는 높아가는 상황이다.
기업이 사업의 주관으로 참여하게 될 경우 R&D를 위한 기본 요건이 갖춰야만 하지만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업 또는 기업 단독의 능력으로는 헤쳐나갈 수 있는 한계 또한 적잖다는 것.
요컨대 R&D를 추진함에 있어 여전히 기업 스스로의 독자 연구·개발인력 확보 및 능력 배양 보다는 여전히 관련 연구기관들에 철저하게 의존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R&D 추진을 희망하면서 이에 걸 맞는 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자구노력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해를 거듭할수록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인력 확보를 위한 자발적인 인적재원확보의 노력에 변화상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R&D에 대한 경험이 많은 기업들의 경우 사업계획서 작성에서부터 사업평가에 이르기 까지 남다른 노하우가 축적될수록 사업선정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지사.
하지만 R&D 초보기업의 경우 이러한 인적자원에 대한 자구노력이 부족한 가운데 사업을 수행하려다 보니 믿는 곳이라곤 연구기관 뿐인 상황이다.
분명 연구기관의 연구원들은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과제 관련 서류작성을 대행해주는 인력이 아님에도 불구 아직까지 이러한 시스템은 여전히 관행으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이들 기업들의 경우 자주 내 뱉는 말은 ‘연구·개발로만 기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문제가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제대로 된 연구·개발사업 수행을 위한 기업들 스스로의 R&D수행능력과 환경개선이 하루빨리 이뤄져야한다.
R&D사업 확보에만 올-인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문제점도 없지 않지만 그렇지 못한 기업들이라고 해서 마냥 연구기관에 의존해서는 안되며,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씩의 자세는 버려야 할 것으로 보이다.
<김진일 기자>
産地 컨버터들 ‘생산캐퍼 확보’에 최악상황 직면 (0) | 2010.06.02 |
---|---|
産地 컨버터들 ‘생산캐퍼 확보’에 최악상황 직면 (0) | 2010.06.02 |
섬유산업 부활 모드 지속위해선, 임금·설비·환경개선에 투자해야 (0) | 2010.05.28 |
화섬산지 내수 소재생산 컨버터들 소재개발 역량 ‘천양지차’ (0) | 2010.05.10 |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천연염색산업의 新 성장동력산업화 (0) | 201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