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부 장관, 베 산업무역부장관과 회담, 현지 한국기업인들과 대미(對美)통상 현안 논의 / 한-베 산업공동위 계기, 양국 교역 1,500억불 달성 및 원전협력 등 MOU 3건 체결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5. 4. 14. 22:09

본문

산업부 장관, 베 산업무역부장관과 회담, 현지 한국기업인들과 대미(對美)통상 현안 논의

- 산업공동위 계기, 양국 교역 1,500억불 달성 및 원전협력 등 MOU 3건 체결

상호관세 조치 등 對美 통상현안 대응 지원을 위한 현지 진출기업 간담회 개최

 

14차 한-베트남 산업공동위원회 및 제8차 한-베트남 FTA공동위원회 개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수석대표)414(,현지시간) 오전 9, 베트남 하노이 산업무역부 회의실에서 응우옌 홍 디엔(Nguyen Hong Dien)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수석대표)을 비롯한 한-베트남 양국 정부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14차 한-베트남 산업공동위원회 및 제8차 한-베트남 FTA공동위원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한 후 20226(하노이) 양국 정상회의에서 설정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 방안, 베트남 원전 협력, LNG 발전 협력 및 청정에너지 협력과 한-베트남 FTA 활용 제고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14차 한-베트남 산업공동위원회 및 제8차 한-베트남 FTA 공동위원회 합의의사록 서명식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14(,현지시간) 10:30 베트남 하노이 산업무역부 회의실에서 응우옌 홍 디엔(Nguyen Hong Dien)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을 비롯한 한-베트남 양국 정부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 143차 한-베트남 산업공동위원회 및 제8차 한-베트남 FTA 공동위원회 합의의사록 서명식을 가졌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14()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하여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 장관과 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이하, 산업공동위) 8차 한-FTA공동위원회’(이하, FTA공동위)를 개최하고 양국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협의했다.

 

아울러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인을 만나 정부의 상호관세 등 對美 통상현안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오전에 개최된 산업공동위에서는 20226(하노이) 양국 정상회의에서 설정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 방안, 베트남 원전 협력, LNG 발전 협력 및 청정에너지 협력 등과 함께, 유통분야 국장급 정책회의 재개와 섬유·의류 산업 투자 협력 등에 합의했다.

 

이어서 개최된 FTA 공동위에서는 수출기업의 비용절감과 통관절차 간소화를 위한 FTA 개정, 전기안전 인증기관 확대, 농축산물 수출입 품목 확대, 양국 수입규제 현황 등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양국 기업들의 한-베트남 FTA 활용 제고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공동위 개최 이후 열린 MOU 서명식에서는 양국 수석대표 간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이행 방안 MOU’에 서명했으며, 양국 원전 담당국장 간 원전 협력 MOU’에 서명했다.

 

또한 한국전력이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MOU’를 체결하는 등 정부 간 2, 기관 간 1건의 MOU를 체결하는 등 무역, 원전 및 전력망·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베트남 하노이 롯데호텔에서 삼성전자, LG전자, 희성전자, 기은무역, 현대자동차, 신한은행, SK, GS에너지, 한화에너지, 두산 에너빌리티, HS효성, 포스코, 롯데백화점, LS일렉트릭, 하나마이크론, 한세실업 등 16개 법인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베트남 진출기업과의 간담회도 진행됐다.

 

안 장관은 최근 미국의 베트남 상호관세 조치로 인한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한편, 최신 동향과 대응방안을 공유했다.

 

,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는 물론 베트남 정부와도 고위급 회담 및 정부 간 협의체를 통해 지속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베 교역 및 투자 현황

 

 

< -베트남 교역현황 >

 

(한국 기준) ’24년 기준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3위 교역 대상국

 

* 교역 순위(’24,억불) : (1)중국 2,729 (2)미국 1,999 (3)베트남 868 (4) 일본 775

 

ㅇ 세부적으로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수출 3, 수입 7위 대상국

 

* 수출 순위(’24,억불) : (1)중국 1,330 (2)미국 1,278 (3)베트남 583 (4)홍콩 350

* 수입 순위(’24,억불) : (1)중국 1,399 (2)미국 721 (3)일본 479 (4)사우디 315
(5)대만 302 (6)호주 300 (7) 베트남 284

자료 : 한국무역협회

 

(베트남 기준) ’24년 기준 우리나라는 베트남의 3위 교역 대상국

 

* 교역 순위(’24,억불) : (1)중국 2,052 (2)미국 1,346 (3)한국 815 (4)대만 789

 

ㅇ 세부적으로 우리나라는 베트남의 수출 3, 수입 2위 대상국

 

* 수출 순위(’24,억불) : (1)미국 1,195 (2)중국 612 (3)한국 256 (4)일본 246

* 수입 순위(’24,억불) : (1)중국 1,440 (2)한국 559 (3)대만 227 (4)일본 216

 

자료 : 베트남 관세총국

 

< -베트남 투자현황 >

 

(한국 기준) ’24년 누계 신고기준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4위 투자대상국이자 ASEAN 내 최대 투자대상국

 

* 해외직접투자 순위(’24년 누계 신고기준, 억불) :
(1)미국 2,985 (2)중국 1,168 (3)케이만군도 1,112 (4)베트남 539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베트남 기준) ’24년말 누계 기준 우리나라는 베트남 최대 투자유치국

 

* 베트남 투자금액(억불, 24년말누계): (1) 한국 920, (2) 싱가포르 831, (3) 일본 777

(4) 대만 409, (5) 홍콩 388, (6) 중국 309

 

자료 : 베트남 재무부(MOF)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

 

WEEKLY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부산패션비즈센터, 봉제... 부산패션비즈센터, 봉제교육 수강생 모집의류제조 소공인,...

www.ktenews.co.kr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HOT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산업부 장관, 베 산업... 산업부 장관, 베 산업무역부장관과 회담, 현지 한국기업...

www.ktenews.co.kr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