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의 환경·안전규제 증가세 지속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 1,334건(12.0%↑), 사상 최대치 기록
‘25년 1분기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통보한 기술규제는 1,334건(12.0%)을 기록해 분기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번 분기의 가장 큰 특징은 미국, EU, 중국 등 주요 3대 수출시장에서 규제가 평균 증가율보다 높은 20% 이상 크게 증가한 점이다.
미국은 자동차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 경고시스템 도입 의무화, 중앙 에어컨 및 히트 펌프에 대한 테스트 절차 강화 등 자동차 안전규제, 에너지효율규제를 강화하고 화장품 제조 시 독성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등 전년 동기 29.4% 급증한 132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화재장비, 전기조명 제품 등 생활용품·전기전자 분야 안전규제를 제·개정해 23.4% 증가했다.
유럽연합(EU)은 전기전자제품 내 특정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고 승용·대형차의 형식승인 시험절차를 개정하는 등 전기전자·자동차안전 분야의 규제 증가로 인해 2배 급증했다.
그간 국가기술표준원은 주요 수출 상대국의 기술규제에 따른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해왔으며, 이에 따른 올해 1분기 실적으로는 EU의 에코디자인 규정 내 외부전원공급장치 규제 대상에서 스마트폰 간 무선 충전 기능은 제외시켰으며, 인도 폴리프로필렌(PP) 규제와 관련해서는 인증 시행 시기를 유예하는 등 12건의 애로를 해소했다.
국가기술표준원 김대자 원장은 “미국의 관세부과와 더불어 비관세장벽인 기술규제의 증가로 수출환경이 한층 악화되고 있어, 양·다자간 협상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업의 TBT 애로를 적극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베트남은 전기자동차 충전 사용 장비 기술규정*을 발표(’25.3.11)하였고 올해 6월 15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의견수렴일은 4월 25일까지로 업계는 면밀히 검토 후 의견을 개진(KnowTBT.kr)할 필요가 있다.
<김진일 기자>
◈‘25년 1분기 무역기술장벽 통보 현황
【 표1 연간 무역기술장벽 통보 추이 (단위: 건, %) 】
구분 | 2025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1분기 | 1,334 | 1,191 | 1,121 | 916 | 1,030 | |
증감률 | 12.0 | 6.2 | 22.4 | △11.1 | 7.3 |
【 표2 무역기술장벽 통보 상위 10개국 (단위: 건, %) 】
구분 | 미국 | 르완다 | 케냐 | 탄자니아 | 우간다 | 중국 | 부룬디 | 이집트 | 칠레 | 한국 | |
`24.1분기 | 102 | 83 | 83 | 89 | 151 | 64 | 71 | 133 | 11 | 16 | |
`25.1분기 | 132 | 105 | 94 | 89 | 88 | 79 | 75 | 54 | 45 | 40 | |
증감률 | 29.4 | 26.5 | 13.3 | 0 | △41.7 | 23.4 | 5.6 | △59.4 | 309.1 | 150 |
【 표3 15대 중점국 무역기술장벽 통보 현황 (단위: 건, %) 】
10대 수출국 |
미국 | 중국 | 유럽연합 | 일본 | 베트남 | 대만 | 호주 | 멕시코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
`24.1분기 | 102 | 64 | 14 | 13 | 22 | 6 | 4 | 2 | 1 | 0 | |||
`25.1분기 | 132 | 79 | 28 | 16 | 15 | 10 | 3 | 3 | 0 | 0 | |||
증감률 | 29.4 | 23.4 | 100 | 23.1 | △31.8 | 66.7 | △25 | 50 | △100 | 0 | |||
5대 신흥국 |
칠레 |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러시아 | 인도 | ||||||||
`24.1분기 | 11 | 12 | 6 | 4 | 2 | ||||||||
`25.1분기 | 45 | 27 | 21 | 2 | 1 | ||||||||
증감률 | 309.1 | 125 | 250 | △50 | △50 |
【 표4 산업별 무역기술장벽 통보 비중 】
2024년 1분기(1,191건) | 2025년 1분기(1,334건) |
![]() |
![]() |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wr_id=5948
주요국의 환경·안전규제 증가세 지속 > WEEKLY NEWS | 한국섬유경제
주요국의 환경·안전규제 증가세 지속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 1,334건(12.0%↑), 사상 최대치 기록 2025-04-14 13:59 주요국의 환경·안전규제 증가세 지속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 1,334건(12.0%↑), 사상
www.ktenews.co.kr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경북테크노파크, 항공산업 진출지원 위한 사업 설명회 개최 경북TP, 실질적 맞춤형 지원으로 항공산업 진입 장벽 낮춘다 (0) | 2025.04.15 |
---|---|
산업부 장관, 베 산업무역부장관과 회담, 현지 한국기업인들과 대미(對美)통상 현안 논의 / 한-베 산업공동위 계기, 양국 교역 1,500억불 달성 및 원전협력 등 MOU 3건 체결 (0) | 2025.04.14 |
국표원, 신제품(NEP) 인증제도 혁신 위해 머리 맞댄다 인증제도 개선 방향 논의를 위한 간담회 개최 (0) | 2025.04.14 |
중견-중소기업 간 협력으로 혁신과 상생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중견 중소기업 상생형 혁신 도약 사업, 5개 신규 과제 선정 (3) | 2025.04.10 |
산학연이 함께 ‘26년 산업기술 투자 대상 검토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