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과기정통부 소재 데이터 개방 협력으로 AI기반 소재연구개발 활성화
300만건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 데이터안심구역 통해 국내 기업·연구자에 개방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가 데이터·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4월 8일(화) 양 부처는 산업부가 구축(사업명: 가상공학플랫폼구축(소재 데이터 사업), 전문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한 약 300만 건의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과기정통부의 데이터 안심구역을 통해 개방하기로 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소재 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도 산업 분야로 한 번 채택된 소재는 쉽게 대체되지 않아 ‘선도자 이익’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장기간의 소재 연구개발의 결과물인 소재 데이터(레시피)는 부가가치의 원천으로 소재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면 고비용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도 도전적인 소재 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산업부는 2020년부터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 데이터를 축적해왔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약 300만건의 소재 데이터를 국민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하게 된다.
원료, 조성, 공정에 따른 다양한 소재 특성을 담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R&D 성공률을 제고하고 데이터 기반 창업도 촉진할 전망이다.
개방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안전하게 제공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가 지정한 보안 통제 공간으로, 민감하거나 미개방 데이터를 기술적·물리적·관리적으로 보호하면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데이터안심구역은 현재 전국에 8개 기관(10개소)이 지정돼 있으며, 교통, 고용,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미개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 정밀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도구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에 산업부 소재 데이터가 추가됨에 따라 제조업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AI 학습데이터 기반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공공 ’소재 데이터‘ 활용 절차 >
❶ ((선택)사전 컨설팅) 개방된 데이터의 정보, 데이터 활용 절차 등을 소재 데이터관리 공공연구소*에 문의 → 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해 사전 컨설팅 * (소재 분야) 화학, 섬유, 세라믹, 금속 / (문의처) 참조 ❷ (데이터 활용 신청) 온라인 이용신청*(이용목적, 기간 등) → 심의(소재 데이터 제공기관) * https://dsz.kdata.or.kr , https://kbig.kr / 한번 신청시 최장 4주간 이용 가능 ** (1단계) 과기정통부 지정 데이터안심구역 3개소(KDATA(서울, 대전), NIA(판교))를 통해 개방 (2단계) 타 안심구역으로 개방 확대 ❸ (데이터 분석·활용) 데이터안심구역 방문 및 수준별* 데이터 분석·활용 * 예시) (초급)단순 열람 ~ (고급)맞춤형 AI모델 생성(자社 데이터 + 공공 데이터간 융합) ** 데이터 전문인력 상주 → 데이터 분석 도구(R, Jupiter 등) 미숙련자 지원 가능 ❹ (분석결과 반출) 반출심의(소재 데이터 제공기관) → 분석결과값, AI모델 등 자료반출 |
양 부처는 소재 분야 기업 및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데이터·AI 기반 소재 R&D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AI 기반 소재 연구의 최신 트렌드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방안, ▲소재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사례 ▲제조 분야 AI 서비스 확산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재 산업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R&D 혁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라고 하며, “약 5년간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기업들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 시대에는 소재 데이터와 같은 고품질 데이터 개방이 기술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된다”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의 산업 혁신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의 여러 사업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데이터 기반 소재 R&D 생태계를 강화하고,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 경쟁력 제고를 적극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 「소재 데이터 사업」 개요
□ 개 요
ㅇ (산업 현황) 장기간, 고비용 투자(평균 10년)가 필요한 소재 산업은 R&D 결과물인 “소재 데이터(레시피)”의 빠른 확보가 승패를 좌우하나,
- 국내 소재 연구자 대다수는 데이터 부족을 경험*중
* 국내 연구자 중 데이터가 충분하다고 응답한 연구자는 4.4%에 불과(’24, 과기부)
ㅇ (지원 내용) 소재 기업의 데이터·AI를 활용한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연구개발 기간·비용을 단축하고 국산 소재 경쟁력을 강화
□ 지원 내용
ㅇ (소재 표준화) 소재 데이터 국가 표준화(KS) → 데이터 구축 가이드 제시
ㅇ (데이터 구축) 공공 장비를 활용하여 소재 데이터를 구축 및 개방
* 과기정통부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개방(‘25.4~)
ㅇ (AI모델 지원) 소재 물성을 예측할 수 있는 AI모델을 개발·지원
< 지원 성과 사례 >
관련 데이터 | 바이오매스 원료 친환경 섬유 | 기업명 | K社 |
소재 데이터를 활용해 PLA 공정 레시피 확보 → 불량률 개선 ⦁(문제점) 숙련공 노하우에 의존한 소재 개발로 품질관리 난항 ⦁(지원내용) 정성적인 공정 변수를 데이터화 → 데이터를 AI분석하여 최적의 공정 조건을 도출 ⦁(지원성과) 개발 기간 6개월 단축, 불량률 10% 저감 등 |
![]() |
▣데이터 안심구역 제도 및 현황
□ 데이터안심구역 개요
ㅇ(개 요) 보안이 확보된 안전한 환경에서 미개방데이터를 분석·활용할 수 있는 구역(「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제11조)
ㅇ(기 능) 물리적‧관리적‧기술적 보안대책을 갖추고 이용자에게 미개방데이터*, 안전한 분석환경과 분석시스템·도구 제공 및 분석 결과의 반출 지원 등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법인 등이 보유·관리하고 있으나 법인ㆍ단체 또는 개인의 경영상ㆍ영업상 비밀을 포함하는 등의 사유로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데이터
ㅇ(이용절차) 이용자는 ▲K-DATA 데이터안심구역(dsz.kdata.or.kr), ▲NIA데이터안심구역(kbig.kr) 서비스 포털을 통해 데이터안심구역의 미개방데이터 조회 → 이용신청 → 승인 → 데이터 분석 → 승인 → 결과 반출
□ 데이터안심구역 현황
ㅇ「데이터산업법」에 따른 데이터안심구역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등 현재 총 8개 기관이 지정되어 10개 구역 운영 중
< 데이터안심구역 지정・운영 현황(’25.4월 현재 기준) >
기관명 | 소재지 | 제공데이터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 | 서울/대전 | 금융,의료 데이터 등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온라인 | 농식품데이터 |
전라북도·국민연금공단 | 전주 | 사업장정보 등 |
한국도로공사 | 성남 | 국토교통 데이터 |
한국전력공사 | 서울/나주 | 전력 데이터 |
강원도 | 춘천 | 의료 데이터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판교 | 헬스케어 데이터 등 |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 서울 | 공개제한 공간정보 |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 개방 목록 및 문의처
분야 | 데이터명 | 문의처 | |
1 | 화학 | 미래모빌리티용 경량복합재 | 042)860-7955 한국화학연구원 |
2 | 올레핀 생산용 촉매 | ||
3 | 모빌리티 구조용 접착소재 | ||
4 | 섬유 | 차량용 고내광성 내장재 | 053)350-3853 DYETEC연구원 |
5 | 고강도 생분해성 섬유 | ||
6 | 바이오매스 원료 친환경 섬유 | ||
7 | 세라믹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전극 | 055)792-2698 한국세라믹기술원 |
8 | 미래차 전장용 캐퍼시터 | ||
9 | 미래모빌리티용 복합소재 | ||
10 | 금속 | 그린수소 생산용 촉매 | 055)280-3843 한국재료연구원 |
11 | 가스터빈 부품용 합금소재 | ||
12 | 연료전지용 알루미늄합금 |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wr_id=5613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부산패션비즈센터, 봉제교육 수강생 모집 (0) | 2025.04.10 |
---|---|
도전·혁신적 미래먹거리분야 소재·부품 기반구축사업 신규 추진 2028년까지 4년간 6개 과제에 총 600억원 지원 예정 (0) | 2025.04.10 |
DTC 아카데미, 디지털&지속가능 경쟁력 강화 교육 이어간다 디지털 마케팅에서 친환경 실천까지 지역산업 새로운 전환 시도 (0) | 2025.04.09 |
제4회 Dornbirn GFC-Asia 2025, 부산에서 개최 글로벌 섬유산업 미래 조망하는 국제섬유 컨퍼런스 (0) | 2025.03.20 |
제2회 K섬유혁신포럼Korea Textile Innovation Forum4월 4일(금) 부산 BEXCO 제2전시장 321호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