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소재 데이터 축적·활용 통해 현대판 연금술 연구개발 지원
반도체, 바이오, 우주항공 등 5개 첨단 소재 대상 공공 데이터 구축·활용
소재종합솔루션센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데이터·인공지능(AI)기반 소재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민간기업에 데이터 확산 및 신소재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5개 분야 첨단 소재 대상 ‘소재 데이터 사업’ 신규 과제를 추진한다.
‘제조업 가치사슬의 시작점이자 부가가치의 원천’ 소재산업은 오랜 연구개발 기간 및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분야로 ‘현대의 연금술’에 비견되는 산업이다.
미국의 소재게놈프로젝트(MGI), 일본의 신원소전략 등 소재 분야 선진국들은 소재 분야 데이터 축적·보급을 통해 연구개발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는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업력이 짧은 국내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소재 데이터 사업’을 추진, 소재 기업의 소재 연구 혁신과 도전적인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본 사업은 출연연 등 공공연구소 내 장비를 구축·활용해 소재 데이터를 축적하고, 국내 소재 기업에 개방해 신물질 개발 및 핵심 전략 소재의 조기 선점 촉진을 추진한다.
이번 신규 과제는 4세대 반도체 소재로 불리는 산화갈륨 소재, 우주항공 분야 3D 프린팅 분말 소재 등 유망 첨단 소재의 데이터를 축적해 전략 소재의 조기 사업성 확보 및 공급망 안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산업부는 ‘20년 4개 분야(화학, 섬유, 세라믹, 금속)에 대해 소재 데이터 사업을 추진했으며, 본 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섬유분야 K社는 소재 데이터 AI 모델을 활용해 의류용 원사 공정을 최적화하고, 신소재 개발 기간을 6개월 단축, 불량률 10% 저감의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과제당 60억 원, 5년간 총 300억 원 지원 예정인 5개의 신규과제는 비영리기관이 참여기관으로 신청 가능하며, 4월 2일부터 5월 2일까지 한 달간 공고를 통해 지원신청서를 접수받을 예정이다.
◈「소재 데이터 사업」 신규과제 개요
□ 개 요
ㅇ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10대 분야 중 향후 시장성과 성장성이 큰 5개 분야의 유망 소재를 발굴·지원
* 근거 : 「소재부품장비산업법」 제12조
ㅇ 소재 데이터(원료, 조성, 공정)를 축적·활용해 AI기반 신소재 개발
ㅇ 향후 데이터 구축, AI모델 개발, 기업지원을 단계적으로 추진 예정
□ 세부 내용
산업 분야 | 과제 내용 |
반도체 | ㅇ 전기차,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성이 높은 전력반도체용 산화갈륨(Ga2O3) 소재 데이터 구축·활용 * 실리콘(Si) 소재 대비 인버터(직류 → 교류) 효율 10배 이상 향상 가능 |
바이오 | ㅇ 생체적합성·세포 독성(면역 거부) 등 특성으로 개발이 어려운 고기능성 골이식재 소재 데이터 구축·활용 * 정형외과용 골이식재는 소수의 다국적 기업이 시장의 약 80% 점유중 |
우주항공 | ㅇ 고도의 신뢰성, 품질 인증이 필요한 우주항공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금속 분말 소재 데이터 구축·활용 * 우주항공 산업은 다품종 소량 생산 산업으로, 기존 방식 대비 △경제적(부품 수↓) △제조 시간 단축 효과 큰 3D프린팅이 각광 |
미래차 부품 | ㅇ 고온으로 인한 부품 성능 저하, 고장 등 안전성에 대한 높은 신뢰성 확보를 위한 미래차용 반도체 회로기판 소재 * 대규모 리콜 사태로 수조원의 손실 발생 가능하여 高신뢰성 확보가 긴요 |
기초화학 | ㅇ 원료 비율, 오염 정도 등이 다양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해중합 촉매 소재 데이터 구축·활용 * 화학산업 NDC 달성에 폐플라스틱 재활용(해중합 포함)이 주요 역할 예정 |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