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표원, 폴리프로필렌(PP)의 우수재활용(Good Recycled) 표준 제정‧공고산업계, 소비자들의 플라스틱 제품 재활용 확산, ‘K-순환경제’ 가속페달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5. 3. 20. 01:49

본문

국표원, 폴리프로필렌(PP)의 우수재활용(Good Recycled) 표준 제정공고

산업계, 소비자들의 플라스틱 제품 재활용 확산, ‘K-순환경제가속페달

 

PP의 밀도, 용융흐름지수 등 품질기준 마련, GR인증·품질 안정화 실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표준 제정 이어 폴리프로필렌(PP) 표준 제정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국표원’)은 플라스틱의 재활용 촉진을 위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의 우수재활용(Good Recycled) 표준을 320일 제정공고했다.

 

폴리프로필렌은 파이프, 자동차 부품 등 산업계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에서도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다.

 

특히, 배달 용기와 같은 포장재의 주요 소재로 최근 비대면 문화 확산에 따라 소비와 폐기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 세계 폐플라스틱 발생량 : 15,600만톤(00) 35,300만톤(19) 101,400만톤(60)

 

** 한국의 1인당 플라스틱 배출량(90.5)OECD 국가 중 2, OECD 평균(42.4kg)2배 이상

 

정부는 범정부적으로 자원순환성 강화, 친환경 소비 촉진, 폐자원 재활용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2021년부터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PET 원료 생산자의 재생원료 의무 사용 비율을 3%(`23) 10%(’25) 30%(`30)로 목표하고 있다.

 

재활용 소재(재생원료)의 이용 확대를 위해서는 일관된 기준과 품질 확보를 통한 신뢰할 수 있는 시장 창출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플라스틱 재생원료 제조기업은 표준의 부재로 일관된 품질의 확보와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해외 바이어 등 고객사가 요구하는 품질 정보제공에 있어 자체 분석 결과를 사용했으나 업체 간 상이한 시험방법으로 인해 품질 차이가 발생했고 시장 확대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국표원은 이러한 업계의 애로를 해소하고 재생원료 사용 활성화를 위해 우수재활용 표준 제정을 추진했다.

 

국표원은 우수재활용 관련 표준 제정 및 인증평가 등 실무 총괄기관인 한국자원순환산업진흥원을 통해 246월부터 업계, 전문기관 등의 의견을 수렴해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밀도, 용융흐름지수 등 품질기준을 마련했다.

 

그 결과 수십 개의 재활용 제조기업들이 우수재활용 인증획득이 가능해지고 안정적인 품질관리를 실현할 수 있었다.

 

국표원은 242월 재활용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표준을 제정했으며, 추가적으로 이번 폴리프로필렌 표준 제정으로 산업계, 소비자들의 플라스틱 제품 재활용이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재활용 제조업체 A(평택소재)우수재활용 기준 제정으로 기존의 해외인증(GRS, ISCCPLUS )을 대체함으로써 인증 비용을 연간 4백만원 절감하고, 고품질의 플라스틱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판로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전응길 국가기술표준원 적합성정책국장은 플라스틱 재생원료를 기반으로 제품 수출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내 재활용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우수재활용 제품의 표준화를 통하여 K-순환경제의 이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GR 준은 GR제품정보시스템 누리집(www.buygr.or.kr )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우수재활용제품(GR) 인증제도 개요

 

제도 개요

 

ㅇ 국내 발생 재생자원을 주원료로 사용한 재활용 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인증제도로, 재활용 기술 경쟁력 제고를 통한 탄소중립 기여

 

ㅇ 재활용 원료 함량 비율 및 추적성, 품질관리 우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우수한 품질의 재활용 제품에 인증을 부여

 

ㅇ 인증평가는 3단계 평가(서류현장종합)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업무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한국자원순환산업인증원이 수행 중

 

인증 현황

 

(인증분야) 폐플라스틱, 폐고무, 폐요업 등 18개 분야로 구분운영

 

(유효기간) 최초 인증 4+ 유효기간 연장 4

< 연도별 우수재활용제품(GR) 인증 통계 >
구 분 ’97~’19 ’20 ‘21 ‘22 ‘23 ’24
인증() 1,226 100 114 112 131 163 1,846

 

지원 내용

 

GR인증제품은 공공기관 의무구매 제품*으로, FTA 원산지증명서 간편 발급, 정부 업무평가 시 구매 실적 반영, 공공조달 가점 등 판로 지원

 

*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6(공공기관의 녹색제품 의무구매)

 

< 5개년 공공기관 구매실적 >
(단위:백만원)
구 분 ’19 ’20 ’21 ’22 ’23
공공기관 GR제품 구매액 239,313 205,058 213,586 307,890 780,415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기준()

 

제정 배경

 

ㅇ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 기반 구축을 위한 재생원료 사용 의무 신설*의 결과로 관련 시장 활성화 예상

 

* 미국 캘리포니아는 2030년부터 플라스틱 용기에 재생원료 함유량 50%이상 의무화

 

ㅇ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포장재-용기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와 폐기의 지속적 증가로 이에 대한 관리 역량 제고 필요

 

기준() 및 제정 절차

<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품질기준() >
밀 도(g/cm3) 용융 질량 흐름 지수(g/10 min) 인장강도(MPa)
0.90 이상 4.0 이상 12.0 미만 16.7 이상
회 분(%) 아이조드 충격강도(kJ/) 불검출 물질
1.0 이하 2.94 이상
Pb, Cd, Cr⁶⁺, Hg, PBBs, PBDEs

기대효과

 

ㅇ 국내 발생 합성수지 재생원료 사용을 촉진함으로써, EU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선제 대응으로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ㅇ 우수재활용제품(GR)인증을 통해 플라스틱 재생원료 제품의 안정적 수요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재활용산업의 체질 전환*에 기여

 

* (기존) 단순 소각 또는 매립 (전환) 고부가가치 물질 재활용(재생원료 제조)

 

ㅇ 유효 자원의 공급망 확보를 통한 자원 안보 기반 구축 및 관련 시장의 활성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