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I, ESG 우수패션기업 ‘Who’s Sustainable’ 발표 / 소비자와 함께 뽑은 지속가능 리더에 영원, 코오롱, 휠라 등 10개사에코럭셔리, 에코 디자이너 특별부문도 선정
SFI, ESG 우수패션기업 ‘Who’s Sustainable’ 발표
소비자와 함께 뽑은 지속가능 리더에 영원, 코오롱, 휠라 등 10개사
에코럭셔리, 에코 디자이너 특별부문도 선정
▶우수 ESG 패션기업으로 선정된 각사 대표사진, 윗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BYN블랙야크 강준석 사장, 네파 이선효 대표, 이랜드월드 조동주 대표, 영원무역 성래은 부회장, 코오롱FnC 유석진 대표, 던필드 송재연 대표, F&F 김창수 대표, 삼성물산 이준서 패션부문장, 휠라홀딩스 윤근창 대표, 신세계Int’l 윌리엄킴 대표, 이새FnC 정경아 대표, 티백 조은애 대표
지속가능패션이니셔티브(의장 주상호, 이하‘SFI’)가 국내 패션 기업들의 2024년도 ESG 활동을 종합 평가해 이슈별 지속가능 패션을 선도하는 10개 패션기업과 특별부문 2개 패션기업을 선정하고 그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이한 ‘Who’s Sustainable’은 SFI가 개발한 섬유패션 특화 ESG 평가 기준에 따른 친환경(5개 이슈), 사회적 책임(4개 이슈), 투명경영(1개 이슈) 등 총 10개 주요 ESG 이슈를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졌다.
평가 방식은 소비자 설문조사 80%와 SFI 워킹그룹 전문가 평가 20%의 비율로 반영됐으며, 1,800여 명의 소비자와 섬유패션업계 종사자들이 직접 참여해 지속가능한 패션기업을 선정했다.
산업영향력·소비자신뢰 반영한 종합평가
SFI는 매출액 1,000억 원 이상으로 인지도가 높은 내수 패션기업을 대상으로 지난1년간 언론 보도 내용 및 노출 빈도, 산업 파급 효과등을 분석해 이슈별 4개 후보 기업을 선정했다.
이후 2월18일부터 26일까지 소비자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섬유패션 전문가와 변호사, 변리사, 노무사, 교수, 언론 대표 등으로 구성된 17명의 SFI 워킹그룹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ESG 우수 패션기업이 ‘Who’s Sustainable’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올해는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 비중이 80%로 확대되면서 기업의 ESG 활동이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반영하는 데 중점 뒀다.
에코럭셔리 · 에코디자이너 특별부문도 선정
10개 이슈별 우수기업 선정과는 별도로 지속가능한 패션의 가치를 실현하는 에코럭셔리, 에코디자이너 부문에서도 각각 1개씩의 기업을 선정했다.
에코럭셔리는 친환경 소재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해 건강하고 수준 높은 삶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생산하는 브랜드이며, 에코디자이너는 제품이 생산되어 폐기될 때까지 환경과 생태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한 제품을 설계하는 디자이너를 뜻하는데 이들 기업들은 혁신적인 친환경 디자인과 지속가능한 소재 활용, 윤리적 생산 방식등을 기반으로ESG 가치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주상호 SFI의장은 “지속가능한 패션이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산업 전반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며, “소비자와 함께 선정한 ‘Who’s Sustainable’ 기업들은 국내 섬유패션 ESG경영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섬유패션ESG 경영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하며, 오는 4월 정책간담회 개최 시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발표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10개 ESG 이슈별로 선정된 기업은 ▲지속가능한 소재 ‘BYN블랙야크’ ▲친환경 공정생산 ’네파’ ▲수요예측 적정생산 ‘이랜드월드’ ▲공급망 최적화/물류 효율화 ‘영원무역’ ▲리사이클 순환 ‘코오롱FnC’ ▲사회공헌/지역사회 봉사 ‘던필드’ ▲조직문화/작업환경 ‘F&F’ ▲동반성장/공정거래 ‘삼성물산’ ▲고객만족/제품안전 ‘휠라’ ▲투명경영/주주친화적 행보 ‘신세계Int’l’이며, 특별부문에 선정된 기업은 ▲에코럭셔리 ’이새FnC’ ▲에코디자이너 ‘티백’이다.
<섬유패션ESG 우수기업 평가 주요내용>
○ 지속가능한 소재 –BYN블랙야크
BYN블랙야크는 K-rPET 재생섬유 활용한 제품 출시, 환경 동물복지 고려한 리사이클 다운, 친환경 공법의 마이크로 텐셀, 친환경 발수재 등 친환경 소재를 적극 도입했으며, 폐페트병 재활용 순환체계 고도화를 구축했다고 평가됐다.
○ 친환경 공정생산 – 네파
네파는 다양한 리사이클링 소재를 활용한 ‘그린마인드 컬렉션’을 선보였으며, 염색 과정에선 물 대신 액체로 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드라이다이(Dry Dye)’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화학약품, 물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했다.
○ 수요예측 적정생산 – 이랜드월드
이랜드월드는 소량생산 후 고객들의 구매패턴을 분석하고 베스트 상품과 후기 키워드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매량을 예측해 적정물량을 생산함으로써 불필요한 생산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사업방향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 공급망 최적화/ 물류효율화 – 영원무역
영원무역은 생산기지 조정과 섬유 스트림 투자 확대, 친환경 소재개발이 가능한 니어쇼어링 원단공장 설립 추진 등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주력하면서 수직계열화 통해 생산공장 현지 원부자재 조달로 경쟁 우위를 확보해 수익성을 개선했다..
○ 리사이클 순환 – 코오롱FnC
코오롱FnC는 오엘오릴레이 마켓을 기획하여 ‘구매-사용-판매-보상’으로 이어지는 ‘자사상품 순환구조 모델’의 안착과 ‘오래입기’ 실현을 보여주고 있으며, ‘RE;CODE’를 통한 바람직한 업사이클링 활동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사회공헌/ 지역사회 봉사 – 던필드
던피드그룹은 어려운 이웃을 돕는’ 우리 쌀 지원’ 활동의 확대를 비롯하여 양로원과 아동, 미혼모 복지시설 등에 대한 나눔과 기부를 이어오고 있으며, 한강변 던필드 숲 조성 등 넓은 범위에서의 사회봉사를 실천하고 있다.
○ 조직문화/ 작업환경 – F&F
F&F은 모성보호 프로그램 운영, 청년인재의 육성을 위한 채용 프로그램 시행, 시차 출퇴근제, 다양한 포상제도 등으로 ‘2024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되는 등 조직문화 및 작업환경 부문을 인정받고 있다.
○ 동반성장/ 공정거래 – 삼성물산 패션부문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바탕으로 공정거래에 앞장서고 있으며, 함께 성장해 가는 문화를 정착하고자 2016년부터 동반성장데이 행사를 진행해 오면서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 고객만족/ 제품안전 – 휠라
휠라은 고객만족과 제품안전을 위해 철저한 검수 시행과 함께 리콜 프로세스를 투명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불량 사례집, 수선 가이드북, 고객상담 사례집을 제작하여 매장 점주들에게 배포하고 교육하고 있다.
○ 투명경영/ 주주친화적 행보 – 신세계Intl
신세계Intl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자사주 107만 주 소각을 예정하는 등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해 주주가치 제고, 자기자본이익률 개선, 매출액 신장에 노력하고 있으며, ‘헬프라인’을 통해 임직원의 부정부패를 제보받고 있다.
○ 에코럭셔리 – 이새FnC
‘자연소재’, ‘자연염색’, ‘핸드메이드’에 대한 강한 신념을 바탕으로 All in Korea 구현에 동참하면서 자연친화적 고품격을 지향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공기법 사용으로 물과 전력 사용량을 대폭 절감해 오고 있다.
○ 에코디자이너 – 티백
지속가능한 시그니처 소재를 찾기 위해 리사이클 폴리와 에코가죽, 한지섬유와 오가닉 코튼, 대나무 PLA가죽까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오고 있으며, 업사이클링 액세서리 브랜드 ‘니울’과 협업한 서스테이너블 K패션 아트쇼에서 큰 호응을 받았다.
※Sustainable Fashion Initiative (SFI) 소개] 지속가능패션이니셔티브는 섬유패션산업의 ESG생태계 기반 구축을 위해 섬유패션 ESG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설립됐다.
현재 섬유패션 특화 ESG가이드라인 개발, 섬유패션 ESG 자가진단 운영, ESG 교육컨설팅, Eco-Friendly Design Index 및 DPP 개발 등 여러 활동을 진행 중이다.
<김진일 기자>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