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뉴스 섹션/섬유뉴스

by 텍스뉴스 Texnews 2022. 10. 28. 23:52

본문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악화로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한 230.1백만 달러 기록

▶ 대구경북 월별 섬유수출 추이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는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섬유 경기동향 설문조사 결과와 9월 지역 섬유산업 수출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발표했다.

 

대구·경북지역의 9월 섬유 수출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악화에 따른 섬유류 제품의 소비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한 230.1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섬유직물 122.6백만 달러, 섬유제품 17.0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3.1%, 5.5% 증가한 반면 섬유원료 39.7백만 달러, 섬유사 50.8백만 달러를 수출헤 전년동월 대비 각각 13.4%, 29.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폴리에스터 직물과 니트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5.4%, 2.3% 증가한 43.9백만 달러, 17.3백만 달러를 수출했으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9월과 비교하면 폴리에스터 직물은 4.5% 증가, 니트는 16.8%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국별 전년 동월 대비 섬유 수출은 베트남(71.5%), 튀르키예(6.0%) 등의 국가에서 증가했으며, 중국(-33.0%) 및 미국(-3.4%) 등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9~10월 체감경기 종합지수(BSI)는 미국·EU 등 주요 섬유국의 제품 소비 위축에도 불구하고, 성수기 재고물량 확보에 따른 소싱증가 등으로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해 85.4로 조사됐으며, 11~12월은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등의 요인으로 하락 전망된 가운데 85.2로 나타났다.

 

▶ 체감경기 종합지수 (BSI)  월별 추이

 

 

 

▶ 분야별 실적 및 전망 체감 지수

 

 

 

대구·경북지역 9~10월 매출 관련 체감지수는 내수는 전월 대비 하락해 76.5, 수출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한 87.1로 조사됐으며, 11~12월은 각각 81.0으로 어려움이 예상됐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지역 원사업체는 경기침체에 따른 오더 감소 및 재고 증가로 인해 가동률이 감소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직업체의 경우 전반적인 오더량 감소로 재고관리 차원에서 가동률을 조정하고 있으며, 원가상승 및 인력 부족으로 납기에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일 기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악화로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한 230.1백만 달러 기록 2022-10-28 23:4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