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4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채산성 악화 속, 전년 대비 6.4% 증가한 267.6백만달러 기록
▶대구경북 월별 섬유수출 추이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대구경북섬유연합회는 대구·경북지역 4월 섬유산업 수출 관련 통계자료를 발표했다.
대구·경북지역 4월 섬유 수출은 지속되는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되고 있으나 미국, 중국 등으로의 섬유사 및 직물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6.4% 증가한 267.6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2022년 수출누계(1~4월) 역시 전년동기 대비 16.3% 증가한 1,065.9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섬유사 62.9백만 달러, 섬유직물 139.7백만 달러, 섬유제품 19.0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각각 3.6%, 12.1%, 3.3% 증가했으며, 섬유원료는 46.0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폴리에스터 직물은 43.0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20.6% 증가했으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4월과 비교해 여전히 17.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트의 경우는 25.3백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동월 대비 14.5% 증가해 2019년 4월에 비해 2.7%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국별 섬유 수출을 살펴보면 미국과 중국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1.4%, 10.6% 증가한 반면 터키, 베트남은 각각 14.1%, 6.7% 감소했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지역 섬유업체의 수출은 코로나19의 안정세로 섬유류 관련 제품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수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섬유 직물의 4월 수출실적은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증가했으나 예년 수준(2021년 4월 대비 12.1% 증가, 2019년 4월 대비 4.2% 감소)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에너지 가격의 가파른 상승에 따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채산성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진일 기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3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3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3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스트림 전반, 원가상승분 완제에 반영하지 못해 채산성 악화 어려움 가중 2022-04-27 19: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
www.ktenews.co.kr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다이텍硏, 섬유소재 데이터 플랫폼 연계 지원기업 모집 빅데이터 활용 기업 신소재 개발 및 기획 역량 강화 지원 (0) | 2022.06.13 |
---|---|
2022년 경북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 지원사업 수혜기업 모집 경북·포항TP 바우처 지원을 통한 지역활력 제고 및 기업성장 협업 (0) | 2022.06.13 |
경북테크노파크, 경북지역주력산업 수혜기업 모집 통합공고 실시친환경섬유 등 경북지역 4대 주력산업 대상, 6월 14일까지 접수 (0) | 2022.06.13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3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0) | 2022.04.27 |
KOTMI, 대구지역 섬유 및 섬유기계 대상 시제품 제작지원기업 공모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