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DI,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전년 동월 대비 35.6% 증가한 266.9백만 달러 기록
글로벌공급망 불안 지속, 원자재 폭등으로 채산성 악화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류 수출 실적을 분석·발표했다.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 수출은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글로벌 섬유 수요 회복의 영향으로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으로의 수출 증가 및 기저효과로 증가세를 이어나가 전년동월 대비 35.6% 증가한 266.9백만달러를 기록했다.
2021년 수출누계(1~10월)도 전년동기 대비 27.9% 증가한 2,426.1백만달러를 나타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섬유원료 48.2백만달러, 섬유사 69.9백만달러, 섬유직물 134.0백만달러 그리고 섬유제품은 14.9백만달러를 수출, 전년동월 대비 각각 14.1%, 62.5%, 38.0%, 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폴리에스터 직물과 니트의 경우도 43.6백만달러, 21.5백만달러를 수출, 전년동월 대비 각각 72.2%, 64.2%가 증가했으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10월과 비교하면 각각 16.0%, 12.2% 감소한 상황으로 예년 수출실적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경북 월별 섬유수출 추이>
미국은 정부의 경기부양책 및 연말 성수기 도래에 따른 섬유제품의 소비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미국(46.3%), 중국은 코로나19의 진정세 지속 및 중추절, 국경절 등 대표적인 소비 성수기로 인한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섬유 소비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중국(43.8%)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2021년 10월)>
(단위 : 백만달러, %)
구 분 | 미국 | 중국 | 베트남 | 터키 | 일본 | 인니 | 사우디 | UAE | 홍콩 | 전세계 | |||
대구경북 | 2020년 | 10월 | 금액 | 30.1 | 24.5 | 20.0 | 15.0 | 13.3 | 5.3 | 2.1 | 2.4 | 2.7 | 196.8 |
증감률 | -6.0 | -31.0 | -36.7 | -11.5 | -31.8 | -48.7 | -60.1 | -62.3 | -47.2 | -23.9 | |||
비중 | 15.3 | 12.4 | 10.2 | 7.6 | 6.8 | 2.7 | 1.0 | 1.2 | 1.4 | 100.0 | |||
2021년 | 10월 | 금액 | 44.0 | 35.2 | 23.3 | 20.9 | 14.0 | 8.2 | 2.5 | 4.6 | 4.4 | 266.9 | |
증감률 | 46.3 | 43.8 | 16.2 | 39.4 | 4.5 | 56.0 | 21.7 | 89.6 | 66.2 | 35.6 | |||
비중 | 16.5 | 13.2 | 8.7 | 7.8 | 5.2 | 3.1 | 0.9 | 1.7 | 1.7 | 100.0 |
자료: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텍스토피아 통계자료(한국무역협회 자료가공)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지역 섬유업체 수출은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글로벌 섬유제품 수요 증가로 회복세를 보여 지난 3월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국제유가 급상승에 따른 원자재 가격상승, 해상운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역 제직업체의 경우, 염료, 조제 가격과 염색가공료 인상 및 원사가격의 가파른 상승에 따른 상승분을 제품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채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김진일 기자>
KTDI,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KTDI,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유경제
KTDI,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글로벌공급망 불안 지속, 원자재 폭등으로 채산성 악화 2021-11-20 19:54 KTDI, 대구·경북지역 10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전년 동월 대비 35.6% 증가한 266.9백
www.ktenews.co.kr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경북테크노파크,‘2022년 경북 글로벌강소기업’ 2월 9일까지 모집 (0) | 2022.02.06 |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2022년 섬유 수출 및 경기전망 발표 (0) | 2022.01.28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AI융합 섬유패션 현장 기술인재양성 실시 (0) | 2021.10.16 |
대구·경북 섬유산업 8월 섬유수출 6개월 연속 증가 (0) | 2021.10.04 |
‘제25회 진주실크 디자인 경진대회’ 모집요강 발표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