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전망 발표
지난 4월 이후 5개월 동안 전년 동월대비 수출 감소세 지속적으로 둔화
한국섬유개발연구원(원장 강혁기, 이하 ‘섬개연’)은 지난 10월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59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9월~10월 경기동향 설문조사 결과와 한국무역협회, 통계청 및 산업통상자원부 등으로부터 입수한 9월 지역 섬유산업 수출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해 업계에 제공했다.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은 주요 섬유 수출국의 코로나19 진정세로 인한 경기회복 및 보건용 마스크 및 방호용품 등의 수출증가의 영향으로 감소폭이 둔화해 전년 동월 대비 11.9% 감소한 201.7백만$를 기록했으며, 감소폭은 4월 이후 5개월만에 10%대 초반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 섬유수출(전년 동월대비 증감률)
: (’20.4) -41.9% → (’20.5)-54.8% →(’20.6) -35.9% → (’20.7)-31.2% → (’20.8)-30.0% → (’20.9) -11.9%
품목별 수출을 살펴보면 섬유원료는 8.8%, 섬유제품은 22.9% 증가한 반면 섬유사는 16.6%, 섬유직물은 20.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역의 주 수출품목인 섬유직물의 전년 동월대비 수출 감소세는 지난 4월 이후 5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됐다.
※ 섬유직물(전년 동월대비 증감률)
: (’20.4)-47.8%→(’20.5)-58.5%→(’20.6)-43.0%→(’20.7)-34.4%→(’20.8)-32.1%→(’20.9) -20.3%
또한 품목별로 전월 대비 수출의 경우, 섬유사는 22.6% 증가, 섬유직물은 18.3% 증가했다.
전국의 9월 섬유 수출은 마스크 및 방역용품등 섬유제품의 수출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11.4%(109.3백만$) 증가한 1,065.2백만$ 수출했으며, 섬유직물은 4.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섬유류 월별 수출 현황>
(단위 : 백만$, %)
구분 |
2019 |
2020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대구경북 |
270 |
245 |
265 |
240 |
229 |
258 |
240 |
257 |
225 |
245 |
245 |
157 |
122 |
157 |
182 |
168 |
202 |
증감율 (전년동월대비) |
0.0 |
-0.4 |
4.7 |
-0.4 |
0.9 |
-1.5 |
-7.7 |
8.0 |
-15.1 |
11.9 |
-0.4 |
-41.9 |
-54.8 |
-35.9 |
-31.2 |
-30.0 |
-11.9 |
전국 |
1,226 |
1,065 |
1,143 |
957 |
956 |
1,113 |
1,089 |
1,084 |
990 |
1,112 |
987 |
751 |
683 |
823 |
971 |
794 |
1,065 |
자료: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텍스토피아 통계자료(한국무역협회 자료가공)
주요국별 섬유 수출을 살펴보면 전년 동월 대비 미국은 14.5% 증가한 반면 중국, 베트남 및 터키는 각각 18.7%, 16.7%, 32.3% 감소했으나 코로나19 진정세로 인한 경제활동 재개로 수출 감소폭은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미국은 점진적인 경제재개로 인한 산업생산 증가 및 소비심리 회복으로 섬유수출 증가
※ 미국 전년 동월대비 섬유수출 증감률 : (’20.6)-11.1% →(’20.7) 2.9% →(’20.8)-26.8% →(’20.9) 14.5%
- 터키는 유럽 각국의 봉쇄 완화조치로 인한 경제활동 재개의 영향으로 섬유 수출 감소세 둔화
※ 터키 전년 동월대비 섬유수출 증감률 : (’20.6)-51.5% → (‘20.7) -37.7% →(’20.8)-35.9% →(’20.9) -32.3%
- 중동지역은 코로나19의 인한 경기침체 장기화로 저가 중국산 섬유 수요 증가로 수출부진 지속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2020년 9월)>
(단위 : 백만$, %)
구 분 |
미국 |
중국 |
베트남 |
일본 |
터키 |
인니 |
홍콩 |
UAE |
사우디 |
세계계 |
|||
대구경북 |
2019년 |
9월 |
금액 |
29.7 |
28.6 |
25.5 |
15.9 |
16.7 |
10.5 |
5.6 |
5.4 |
4.4 |
229.0 |
증감률 |
10.4 |
-7.1 |
1.4 |
-15.4 |
104.8 |
42.6 |
-14.7 |
17.5 |
16.0 |
0.9 |
|||
비중 |
13.0 |
12.5 |
11.1 |
7.0 |
7.3 |
4.6 |
2.4 |
2.3 |
1.9 |
100.0 |
|||
2020년 |
9월 |
금액 |
34.0 |
23.3 |
21.2 |
14.1 |
11.3 |
5.1 |
3.5 |
2.5 |
1.8 |
201.7 |
|
증감률 |
14.5 |
-18.7 |
-16.7 |
-11.5 |
-32.3 |
-51.7 |
-38.0 |
-52.8 |
-58.7 |
-11.9 |
|||
비중 |
16.8 |
11.5 |
10.5 |
7.0 |
5.6 |
2.5 |
1.7 |
1.3 |
0.9 |
100.0 |
자료: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텍스토피아 통계자료(한국무역협회 자료가공)
한편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9·10월의 체감경기 종합지수(BSI)는 주요섬유 수출국의 경기회복으로 인한 수출 회복세의 영향으로 70.9로 조사됐으며, 11월·12월 전망도 계절적 성수기의 기대감으로 소폭 상승해 76.7로 조사됐다.
그러나 향후 코로나19의 재확산 여부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체감경기 종합지수(BSI)>
구분 |
2019년 |
2020년 |
|||||||
7월~8월 |
9월~10월 |
11월~12월 |
1월~2월 |
3월~4월 |
5월~6월 |
7월-8월 |
9월-10월 |
11월-12월 전망 |
|
체감경기 종합지수 |
77.1 |
92.7 |
94.3 |
75.8 |
57.5 |
47.9 |
56.8 |
70.9 |
76.7 |
9·10월의 매출 관련 체감지수를 보면 실적은 내수와 수출은 각각 64.1, 60.1으로 조사되어 7-8월에 비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11-12월 전망도 각각 69.8, 74.7으로 조사되어 계절적 성수기의 영향으로 소폭 회복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수 및 수출 체감 지수>
구분 |
2019년 |
2020년 |
|||||||
7월~8월 |
9월~10월 |
11월~12월 |
1월~2월 |
3월~4월 |
5월~6월 |
7월-8월 |
9월-10월 |
11월-12월 전망 |
|
내수 |
60.3 |
84.1 |
85.8 |
60.2 |
46.5 |
38.9 |
45.7 |
64.1 |
69.8 |
수출 |
75.1 |
85.8 |
89.1 |
65.0 |
36.6 |
30.0 |
48.2 |
60.1 |
74.7 |
또한 섬개연 자체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감산 운영했던 합성섬유 제조업체들의 가동률은 점차적으로 회복해 10월 기준, 8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됐으나, 제직업체의 경우 전반적으로 큰 회복 흐름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평균 가동률도 55%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진일 기자>
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wr_id=513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전망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9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전망 발표 지난 4월 이후 5개월 동안 전년 동월대비 수출 감소세 지속적으로 둔화 2020-11-09 12: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
www.ktenews.co.kr
대·경섬유직물조합-‘스페이스 오즈’에서 ‘한-베트남 온라인 상담회’ 개최 (0) | 2020.11.14 |
---|---|
‘부산국제신발섬유패션전시회(Passion&Fashion BUSAN)2020’ 개최 (0) | 2020.11.14 |
다이텍연구원, 경북지역 친환경 리사이클섬유 제조기반 다지기 나서 (0) | 2020.11.06 |
섬개연, 비대면 신소재 마케팅용 모바일-앱 개발, 기업맞춤형 지원 나서 (0) | 2020.11.06 |
대구경북섬유직물조합 ‘SPACE 5’S’ 기반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 연다 (0) | 202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