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융·복합섬유소재 전문기업 (주)백일 - 차세대 산업용 방열보호복 마켓 공략 본격화
산업안전 보호복 일괄 생산라인 구축, ‘WINFIRE TEX’ 브랜드로 글로벌 시장 공략 로드맵
‘KETAN’ 융·복합 난연섬유 , 알루미늄 열보호 다층섬유 - 내굴곡성, 경량성, 피복지수 자랑
▶(주)백일은 2015년, 경기도 고양시 소재의 본사 및 제조시설을 대구 테크노폴리스에 생산기반시설을 신설·확장하는데 100억 원의 투자를 단행했다.
지난해 12월에는 미래 20년을 향한 신사업 분야로 ‘산업안전 융합소재’를 타깃으로 설정, 안전융합 섬유생산 제조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1천여평에 ‘산업안전 융합섬유 생산동’(사진 우측)을 신축·완공했다.
향후 ‘산업안전 융합섬유 생산동’에는 제·편직 및 열본딩 등 안전보호복 생산 관련 일괄 생산라인을 구축하는데 30~40억 원 가량을 추가 투입해 미래성장 로드맵을 더욱 구체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주)백일 나용원 대표(사진 왼쪽 두 번째)가 연구원 관계자 및 보호복 공급 전문기업 관계자와 함께 자체 개발한 방열보호복 제품에 대해 평가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주)백일 나용원 대표(사진 왼측)와 연구소 연구원이 개발제품에 대한 품질평가 및 향후 개발방향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자동차용 복합 섬유소재에서 산업용 고기능성 복합소재에 이르기까지 융·복합 산업용섬유 소재 개발 전문 기업인 (주)백일(대표 나용원, www.baekil.com)이 글로벌 마켓 공략을 향한 행보를 더욱 가속화시켜 나가고 있다.
(주)백일은 슈퍼섬유인 아라미드를 다양한 산업소재에 적용 가능하도록 특화된 섬유제품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특히, 수송용 유체이송장비 부품인 고무복합소재의 보강섬유분야에서 듀폰의 노멕스 케블라 직·편물 및 코드분야 제품의 경우 다년간 축적된 기술 노하우와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특화된 수요마켓을 대상으로 내구성과 안전한 라이프 스타일 제시 및 보다 기능이 향상된 고성능 슈퍼섬유 소재를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주)백일은 향후 20년을 향한 신사업 분야로 ‘산업안전 융합소재’를 타깃으로 설정하는 한편, 관련 마켓을 향한 다양한 융·복합 신소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안전융합 섬유생산 제조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안전 융합섬유 생산동’을 1천여평 규모로 신축·완공했으며, 향후 여기에 제·편직 및 열본딩 등 안전보호복 생산 관련 일괄 생산라인 구축과 국내·외 판매확대를 위한 전문인력 충원 및 국내·외 파트너십 구축 등 신사업 추진과 관련 더욱 구체화시켜 나가고 있다.
그동안 아라미드섬유소재 중심의 직·편물 생산기술 및 자동차호스용 고무보강재의 엄격한 품질관리기술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업안전 융합소재’ 마켓을 적극 공략해 새로운 터닝 포인트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산업안전 융합소재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행보는 ‘KETAN’ 유·무기 융·복합 난연섬유 소재(Organic & inorganic blended fire retardant fiber)와 알루미늄 열보호 다층 섬유소재(Aluminized heat protective multi layer fabric), 내열 보호 내피(Inner) 아라미드 난연소재(Aramid staple inner textile)를 접목시킨 차세대 산업용 열보호 소재에 포커싱 두고 있다.
우선, ‘KETAN 유·무기 융·복합 난연섬유소재’는 Oxi PAN계 탄화섬유와 아라미드 혼방원사로 우수한 원사의 균제도 및 방적성을 지닌다.
KETAN 20'S Twill(weight 220g/m²), KETAN 10'S 2PLY Twill(modified)(weight 240g/m²) 소재는 우수한 난연성과 내열 특성을 갖는 제품군으로 직물의 경량화 및 높은 피복지수(Cover factor)를 가져 보호복 소재직물에 최적의 성능을 자랑한다.
‘알루미늄 열보호 다층 섬유소재’는 3층 Triaxial 구조로 적층된 방열복 외피구조로 열과 복사열, 대류열에 우수한 보호특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다층구조의 내굴곡 반사체 복합직물이다.
이 소재는 알루미늄 적층 케탄소재, 알루미늄 적층 케블라 소재, 알루미늄 적층 FR 비스코스 레이온 소재 등 기본 베이스 난연섬유소재에 기계적, 난연 특성이 우수한 케블라, 탄화섬유 방적사 FR 비스코스로 구성된 방열 보호복 소재이다.
또, ‘내열 보호 내피 아라미드 난연소재’는 아라미드 방적사를 활용해 보호복, 내열장갑 등의 내·외피에 활용된다.
직·편물로 우수한 촉감과 이지-케어성을 갖춘 난연 섬유소재로 노멕스 허니콤 메쉬, 아라미드 인터록 양면 니트, 아라미드 쿠션조직 니트, 노멕스 평직 20S, 30S, 40S, 60S, 80S가 있다.
특히, (주)백일이 산업용 방열보호복 시장을 겨냥해 개발·제시하고 있는 소재들은 기존 제품과 비교해 뛰어난 내굴곡성과 경량성 등 물리적 성능을 한층 향상시킴은 물론 우수한 피복지수를 자랑하는 데 있다.
이는 기존 마켓에 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소재들이 소·모방 공정을 통해 생산된 아라미드 소재를 채택하고 있는데 반해 특화된 면방 생산 공정을 통해 탄화섬유 및 아라미드 원사를 생산·채택하고 있어 높은 품질력과 착용감을 자랑한다.
이 같은 차별화된 기능성 난연소재의 개발에 따라 그동안 유럽, 일본, 대만 및 미국으로부터 수입해 국내 제철소 조선공장 등 중공업 분야에 공급되고 있는 용접 보호복 분야 핵심소재의 수입대체는 물론 글로벌 마켓을 대상으로 역수출 및 신시장 개척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이미 보호복 공급 전문기업인 S사를 통해 H사 공급에 이어 P사를 대상으로 한 방열보호복 공급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존 수입제품 대비 차별화된 성능이 크게 부감됨은 물론 관련 수요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주)백일은 방열 보호복의 국산화 및 상업화를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한편, 특화 마켓을 겨냥해 자체 개발된 기능성 융·복합소재의 브랜드화로 기업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시켜나가고 있다.
먼저, ‘방열복용 아라미드 코팅원단의 제조 방법’ 및 ‘경량감 및 유연성이 우수한 활성탄소 섬유/ 아라미드 혼합 방적사의 제조방법’에 대해 특허출원하는 등 기초연구의 내실을 다져온 가운데 내굴곡형 내열 반사체 필름의 국산화 추진을 위해 산·학·연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또, 산업용 고무복합소재인 복합 친환경 코드사 브랜드를 ‘VULKAIN’으로, 수송용 고무복합소재인 아라미드 섬유를 ‘FLEXBONE’으로, 친환경 난연 보호용 섬유를 ‘HELITEX’ 브랜드로 전개하는 한편, 차세대 산업용 방열보호복 소재 브랜드를 ‘WINFIRE TEX’로 새롭게 론칭시키는 등 특화소재군 대상의 글로벌 브랜드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나용원 대표는 “산업용 열보호 소재 마켓 공략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향후 30~40억 원 가량이 추가로 투입될 계획이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 마켓을 겨냥해 비교우위의 차별화된 융·복합소재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자구노력이 선제적으로 이뤄져야겠지만, 산업용섬유를 발전시키고 섬유소재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이며, 전략적인 중장기 지원정책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그는 대만의 비의류용 및 산업용섬유소재산업 활성화 지원정책 등을 예를 들며, “최근 정부는 스마트 팩토리를 통한 제조업 혁신을 강조하고 있지만 관련 정책과 각종 지원분야에 있어서 실제 중소기업들에게 요구되는 현실과 적잖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저희 회사는 스피커 댐퍼용 아라미드 소재를 상당부분 공급해왔으며, 관련 마켓을 선도해왔지만 지금은 상당부분 중국과 베트남으로 소싱기지가 넘어간 상태”라며, “정부의 스마트 팩토리 지원사업의 현실적인 예산지원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생산공정의 혁신을 기반으로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일기자, texmewx@hanmail.net>
창조적 안목으로 ‘기능성소재’를 리뉴얼, 공략하라! (0) | 2020.02.10 |
---|---|
(주)텍스켐서울 - 스위스 ‘HeiQ’사 차별화 섬유 기능성 가공제 시장 확대 (0) | 2019.03.16 |
(주)광장이노텍 초단열 에어로젤소재, 세계최초 소방내피 충진소재 구현 (0) | 2018.09.17 |
(주)대호GPS - 접촉냉감 기능성 제품 ‘쿨-케어(COOL-CARE)’ 본격생산 돌입 (0) | 2018.09.03 |
경기도 양주시 입암지구 섬유중소기업 협동화단지 입주업체 모집 나서 (0) | 201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