慶北道 -‘경북첨단섬유 신발전 전략수립’ 위해 용역 의뢰
고강도섬유,하이브리드융복합,천연염색,자원순환형 밸리 구상
경상북도(도지사: 김관용)가 경상북도 섬유산업의 새로운 도약 모델 창출을 위한 ‘경북첨단섬유 신발전 전략수립’ 밑그림을 그려나가고 있다.
경상북도는 지난 3월 25일, 대구경북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경상북도 김성경 경제과학진흥국장, 장은재 미래전략산업과장 등 경북도 관계자를 비롯 섬유관련 학계, 기관, 업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경북첨단섬유 신발전 전략수립을 위한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
경북도는 섬유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국가 및 지역단위 경제수준부합 신섬유업종 창출 및 경상북도 섬유산업의 새로운 모델 창출에 본 용역사업 추진의 의미를 부여했다.
오는 7월 15일까지 4개원간을 연구 용역기간으로 경상북도 일원의 23개 시군 및 필요의 경우 대구시와 연계가능한 범위에서 이뤄지며, 2010년 부터 2014년까지 5년 기간의 중장기 계획으로 마스터플랜이 짜여질 전망이다.
우선 연구 용역은 경북섬유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및 발전 육성 모델 도출, 신 발전 육성전략 및 세부실행계획 등을 중심으로 경북섬유산업발전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기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경북섬유산업의 전국 비중은 업체수 기준 5.2%, 종업원수 기준 7.1%로 대구의 10.9%, 11.2%에 비해 뒤떨어지지만 출하액 기준 9.7%(3조2천9백60억원), 부가가치 기준 9.8%(1조4천1백60억원), 수출액 기준 12.3%(16억3천7백만불) 등으로 대구의 9.0%, 8.4%, 8.4%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
특히 경북도는 이 같은 지역뿐 아니라 대구·경북권역에서의 섬유산업이 국가 및 지역경제발전의 중추적 역할 수행을 강조하는 한편 차세대 산업으로의 특화 육성발전시켜나간다는 계획이다.
대구와 연계된 경북의 Market-in을 위한 뉴 섬유발전모델과 대구·경북 Market-in을 위한 커버넌스 시스템을 구본 구상으로 한다.
고기능성 섬유, 천연섬유, 산업용 섬유 등 미래 첨단섬유산업을 주력산업화해 낙후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한편 인구유입 및 낙후도를 개선한다는 것.
경북도 일원에 흩어져 있는 섬유관련 산업의 잠재력을 결집시킴을 전제, 동부권(울진, 영덕, 포항 등)을 자원순환형 섬유권, 북부권(안동, 상주, 풍기 등)을 고감성 천연섬유권, 남부권(영천, 청도, 경주 등)을 천연염색산업권, 서부권(구미, 김천 등)을 Hybrid융복합섬유산업권, 중부권 및 대구인근권(고령,성주, 칠곡, 경산, 영천, 군위, 의성 등)을 차세대 섬유산업 단지조성권역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도청이전에 따라 향후 대구시와 연계할 수 있는 주변주역을 전략산업 기지화함은 물론 첨단소재섬유의 핵심생산기지 조성의 경우 경북도의 지리적 중심지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대구시에 입지하고 있는 각종 섬유관련 연구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는 한편 대구시의 국책사업으로 채택된 ‘슈퍼섬유소재 융합제품 산업화사업’ 및 ‘대구텍스타일 콤플렉스(DTC)’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 모색 등을 경북 첨단 섬유산업 발전을 위한 밑그림으로 제안됐다.
‘고감성 섬유밸리’,‘천연염색밸리’,‘융복합 섬유밸리’ 등 4대 밸리 조성사업과 연구지원 분야 연계사업 등 5개 분야로 구성될 신발전 사업안은 집적 및 집중형을 지향하며, 권역별 분산 연계형으로 짜여질 전망이다.
한편 대구경북연구원에 용역의뢰된 신발전 사업안은 설문조사 및 중간보고회 등을 거쳐 오는 7월 말 최종보고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경상북도 김성경 경제과학진흥국장은 “이번 용역사업은 경북섬유산업의 기초를 다지는 기회로 경북도의 현황 진단은 물론 액션플랜으로써의 연구과제로 생각하고 있으며, 기존 섬유산업과의 차별화에 포커싱 두는 한편 선택과 집중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연구돼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일 기자>
한국실크연구원, 정상노 제10대 신임원장 취임 (0) | 2009.04.13 |
---|---|
냉감·발열 기능성 원단 전문기업 - ‘(주)아바 코리아’ (0) | 2009.04.08 |
KTDI - 영주(풍기)지역 섬유단지 특화지원사업 결과발표회 가져 (0) | 2009.03.31 |
대구염색공단, ‘제29기 정기총회’ 개최 (0) | 2009.03.31 |
제1회 섬유패션 우수인력 해외유학사업 결과보고회 개최 (0) | 2009.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