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센터는 지역산업기술개발(기초기술)사업(섬유패션 특화정보 리소스 구축을 통한 섬유패션 상품기획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섬유패션 특화정보 리소스 구축을 통한 지역 소재·패션업체들의 섬유패션 상품기획을 지원하기 위해 리소스 페어를 개최했다.
국내외 섬유패션 특화 신규 리소스(선진 의류·소재샘플, 비주얼자료, 트렌드 자료)전시와 리소스 가이드 형태의 제안으로 업계의 효율적인 활용에 도움 주기위해 마련된 것.
최신 TREND Image Wall을 통한 08/09 FW 패션의류·소재 트렌드 정보 제안과 국내외 최신 트랜드 패션상품(의류 및 악세사리 )샘플 전시 대여시스템 운영 , 신규 해외 소재샘플 전시 및 필요로 하는 섬유패션 관련업체에 스와치 컷팅 배포, 섬유패션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비주얼 관련자료 구입 및 전시로 최신 트랜드 정보 전달 등 다양하고 알찬 구성으로 전시되고 있다.
리소스 구성의 경우 FASHION RESOURCE (패션 리소스) 분야에서 국내외 최신 트랜드 패션상품 (의류 & 액세서리) 샘플 수집 및 전시와 연도별/시즌별/복종별 구분전시, 신상품 전시 의류 및 소재 관리시스템 구축 (바코드, 도난방지 등), 상품개발 시 참고자료로 필요로 하는 섬유패션 기업에 대여시스템 구축 및 운영 등으로 이뤄져 있다.
FABRIC RESOURCE (패브릭 리소스) 에서는 선진 소재샘플 수집 및 전시와 연도별/시즌별/종류별 구분전시 및 신소재 전시로 짜여 져 있다.
VISUAL RESOURCE (비주얼 리소스)의 경우 섬유패션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비주얼 관련자료 구입 및 전시로 리소스 센터로서의 기능 극대화 및 대중적인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관련 도서·잡지 비치와 컬렉션 DVD, 도서 신간코너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한국패션센터의 이러한 사업을 참관한 '파이스트'의 안동진 사장은 "리소스페어를 참관해보니 기대 이상으로 실제적인 도움이 컸다. 특히 섬유기업들에게 있어 마켓 헌팅의 내용으로 상당히 좋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하지만 여전히 지역의 섬유기업들은 이렇게 차려놓은 밥상도 제대로 찾아 먹지 못하는가 하면, 설상가상으로 기관에서 실제 바이어와의 연결을 희망하는 상황으로 차려놓은 밥상에 만족하지 않고 그 밥을 먹여주기를 바라고 있다.
섬유인들의 이러한 지나친 기관 의존적 접근방식.
하루빨리 변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 - 김진일 기자>
‘2007 대국제패션페어(DGIFF) -참가업체 모집 (0) | 2007.07.30 |
---|---|
그린조이 마케팅 -‘스타마케팅’ 이어 ‘드라마제작지원’으로 확대 (0) | 2007.07.09 |
그린조이 골프웨어SBS-TV강남엄마따라잡기(하희라) 드라마제작지원 (0) | 2007.06.25 |
커리어캐릭터캐주얼 '더 윌(the will)' (0) | 2007.06.18 |
한국봉제기술연구소 - 새로운 도약을 위한 3본부 10팀 체제 조직개편 (0) | 2007.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