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단체장, 임기말기 레임덕(?), 손발 안 맞다
각종 현안 대응 및 청사진 제시에 뒷걸음만
‘화섬직물산지=대구·경북’은 그야말로 산지형성 이후 최대의 위기국면을 맞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를 ‘위기’로 받아들이고 있느냐는 물음에 대한 대답은 한마디로 ‘아니올시다’라 할 수 있다.
1,2단계 밀라노프로젝트사업 추진에 이어 2008년부터 본격 추진 예정에 있는 ‘3단계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을 시작으로 당면한 현안을 풀어나가야할 과제가 한두가지가 아니지만 어떤 이도 내일인양 발 벗고 나서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대구시 대선공약 채택’,‘한국패션센터 정상화’ 등 어느것 하나 가볍게 넘길 사안이 없는 현안들로 가득하지만 전략적인 대응책 마련의 모습은 없어 보인다.
우선 ‘3단계 지역전략산업’에 대한 지역 섬유업계의 대응은 기대 이하라 할 수 있다.
2단계 사업기간이 2004년부터 2008년인 점을 감안, 최소한 나노, 메카트로닉스, 바이오, 모바일 등 대구지역 전략 여타사업과 달리 최소한 2008년 사업추진 당해 연도의 예산은 확보돼 있다는 저자세와 안일함에 빠져있는 상황이다.
물론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를 중심으로 지역 섬유유관기관 및 전문가로 구성된 ‘전략위원회’와 ‘분과위’를 구성해놓고 있긴 하지만 ‘조직 역량 결집’의 사안에 대해서는 낙제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산업자원부는 각 지역의 전략산업기획단에 ‘전략산업의 성과 평가 및 조정권고(안)’을 하달한 상태.
산자부는 섬유산업에 대한 2002년~2005년 대상의 성장성과 지표 발표와 조정권고안을 통해 “국내 섬유산업의 중심지로 지역산업에서의 비중이 큰 점을 고려, 전략산업은 유지하되, 10여년 동안이나 집중적 지원이 이루어진 점을 감안, 향후 지원 비중은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능성섬유 등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등을 지원함으로써 그 간의 지원효과 극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대구 섬유산업은 경북의 섬유와 연계 검토가 필요성과 대구·경북 섬유업체의 통합을 통한 구조 고도화를 추진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산자부의 이러한 조정·권고안은 한마디로 사업의 축소 추진에 포커싱돼 있으며, 더 나아가 지역 섬유업계가 요구·희망하고 있는 방향과는 정면 배치되는 기류를 맞고 있다는데 있다.
이러한 지역섬유산업에 대한 긴박성을 더하고 있는 사안은 또 있다.
지역 섬유업계에선 3단계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에 대해 4천4백억원 정도를 희망하고 있지만, 대구지와 전략산업기획단이 섬유산업에 배정예정에 있는 금액은 765억원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 또한 최종 확정된 예산이 아니라는 말과 배정계획보다 축소될 수도 있다는 예상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이에 대한 섬유업계의 대응이란게 고작 여타전략산업 대비 1년여 사업기간 확보 및 예산 확보와 동기간 내에서의 요구예산 확보계획노력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쉽잖아 보이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대구시가 대선 공약에 반영할 13조원 규모의 ‘국제지식산업도시 대구 프로젝트’ 밑그림을 완성, 대선주자 진영에 전달된 상황이지만 섬유산업에 대한 공략사항은 그 어느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다.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관련 한국봉제기술연구소가 위치한 대구 3공단 소재에 국비 210억원과 지방비 70억원, 민자 20억원 등 총 300억원을 투입해 ‘SPO-BIZ 연구센터’건립을 추진 중에 있지만 국비 확보가 쉽지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더나아가 한국봉제기술연구소는 ‘봉무패션어패럴밸리’(현재, 이시아폴리스:대구 첨단혁신 신도시)에 입주하는 한편 ‘스포비즈 연구센터’와의 사업연계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켜야하는 상황이지만 이 또한 ‘이시아폴리스’ 사업의 적잖은 사업추진 변화와 레이아웃 변경 등으로 입주가 불확실한 상황에 쳐해 있다.
현재 이시아폴리스 첨단혁신 신도시 조성 및 섬유산업분야 입주와 관련 섬유업계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섬유업계 지분 요구 및 섬유전시장 건립, 연구기관 입주 등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긴 하지만 이 또한 제대로 먹혀들지 의문이다.
이러한 당면 현안 가운데 최대 복병(?)으로 자리하고 있는 ‘한국패션센터’.
적잖은 기간동안 극심한 홍역을 앓고 있는데 이어 대구지역 참여연대와 경실련은 섬유관련 기관 대상 정부예산 집행내역의 부당성을 검찰에 고발하는 등 그 대상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사안의 확대를 놓고 지역 섬유단체·기간간의 내부 갈등과 함께 이상적이지 못한 대응과 반응이 줄을 잇고 있다.
정상화를 위한 공동노력 보다는 모든 문제의 ‘도화선’ 내지 ‘문제기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 대구지역 섬유산업은 ‘극과 극’의 갈림길에 놓여있다는 위기의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 아니다.
내년이면 적잖은 섬유단체·기관장들이 임기만료를 맞는다.
정권교체기에 발생하는 ‘레임덕 현상’.
섬유관련 단체장들의 임기만료에 즈음한 각종 현안에 대한 소극적 대응자세는 분명 그것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이다.
‘역량결집 노력’은 섬유단체장 및 섬유인 모두에게 있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임을 인식해야할 때다.
<대구 - 김진일 기자>
서원교역-침장·인테리어용 광폭 날염 전문기업 (0) | 2007.08.06 |
---|---|
한국섬유개발연구원(KTDI) - 전자부품연구원(KETI)과 MOU 체결 (0) | 2007.08.06 |
한국실크연구원- '2단계 지역연고산업진흥사업(RIS)사업' 선정 (0) | 2007.07.30 |
지역 14개 소재기업, 연구과제 성과물 중국 내수시장 적중 (0) | 2007.07.30 |
대구·경북 섬유기업 - 고부가화 칼날 간다 (0) | 2007.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