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에너지 생산·저장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매스 기반 형상기억고분자 섬유 개발 / 섬유 무게의 56,000배 이상 하중 견디는 인공근육섬유, 첨단 섬유 및 웨어러블 산업 전반 활용 기대
DGIST, 에너지 생산·저장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매스 기반 형상기억고분자 섬유 개발섬유 무게의 56,000배 이상 하중 견디는 인공근육섬유, 첨단 섬유 및 웨어러블 산업 전반 활용 기대▶(좌측부터) DGIST 에너지환경연구부 임상규 책임연구원, 서혜진 전임연구원, 김영광 전임연구원, 홍성희 전임연구원▶에너지 생산 및 저장이 가능한 바이오매스 기반 인공근육섬유 개념도 및 주요 성능 비교 및 그림 그림설명 : 설명 : 바이오매스기반의 PLA/TPU 소재를 활용해 인체근섬유를 모사한 내구성이 뚸어한 인공근육섬유를 제조했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열제어를 통한 형상기억현상 기반의 인공근육섬유의 성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압전 에너지생산 및 에너지저장 기능까지 구현한 다기능성 인공근육섬유를 개발했다. ..
통계 및 공지/테크니컬텍스타일-Technical Textile
2025. 1. 26.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