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산업부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텍스뉴스 Texnews 2025. 1. 3. 21:01

산업부 2024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결과 발표

산업기술인력 약 172만명, 반도체·바이오헬스 등 높은 현원증가세 유지

섬유산업 산업기술인력 현원(23), 32,941, 채용인력 4.5% 감소세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근로자 10인 이상의 전국 21,086개 표본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2023년 말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 등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이다.

 

전체 산업기술인력 규모는 약 172만 명, 전년 170만명 대비 1.0% 증가했으며, 12대 주력산업 종사자는 약 114만 명으로 전체의 66.5% 차지했다.

 

산업기술인력 전년현원 증가율은 (‘21)1.4%, (‘22)1.1%, (‘23) 1.0%였으며,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 비중은 (‘21)66.3%, (‘22)66.4%, (‘23)66.5% 였다.

 

반도체 및 바이오헬스 산업은 다른 주력산업에 비해 높은 현원 증가세를 보였으며, 조선산업은 8년 연속 현원 인력 감소세에서 벗어나 반등했다.

 

산업별 전년현원 증가율은 반도체(4.4%), 바이오(4.0%), 섬유(0.9%), 디스플레이(0.1%)였으며, ’24년 현원 58,528명으로 전년0.8% 증가 및 외국인 비중 9.5%로 전년비 6.2%p 증가했다.

 

다만, 섬유·디스플레이 산업만 전년 대비 현원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섬유산업은 최근 5년간 지속 감소 주력산업으로 집계됐다.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등을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인 부족인원은 전년 3.8만명 대비 1.9% 증가한 3.9만명으로 나타났다.

 

주요산업별 부족인원은 소프트웨어(6,536), 전자(5,556), 화학(4,681), 기계(4,238) 등이었다.

 

구인·채용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5년간 점진적 상승 추세가 지속된 가운데, (구인) 경력자 구인비중(‘19)54.3%(‘23)55.2%, 신입자 구인비중 (’19)45.4%(‘23)44.5%로 나타났다.

 

퇴사인력은 전년대비 감소, 입사 1년 내 조기 퇴사율도 4년간 지속 하락세를 보였다.

 

섬유산업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현원(23)의 경우, 32,941명으로 290명 감소(0.9%)했으며, 주력산업별 부족률 증감은 최근 5년간 0.1~0.2%p 밴드 내에서 안정적 수준 유지한 반면, 소프트웨어, 바이오헬스, 화학, 섬유 산업은 3~4%대로 타 주력산업 대비 부족률이 높은 편이었다.

 

,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에서는 전년대비 0.8% 감소했으며,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변화에서는 가장 높은 4.5% 감소세를 보였다.

 


<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개요 >


(조사대상)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 사업체(121,654) 21,086개 표본사업체
(조사기간) ‘24. 7. 29. 10. 18.
(조사내용) ‘23년말 기준 산업별ㆍ직종별ㆍ지역별 현원, 부족인원, 구인·채용인력 등
(조사범위) 제조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영상제작 및 통신 서비스업, 기타 서비스업
(조사주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조사근거) 정부승인통계 제115016(’05~)

전체 현황

 

(산업기술인력 현원) `23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총 1,716,846, 전년대비 1.0%(17,172) 증가. 코로나19 영향 이후 최근 3년간 지속 증가

* 산업기술인력 증가율(전년대비): (‘19)0.7%(‘20)0.9%(‘21)1.4%(‘22)1.1%(‘23)1.0%

 

(부족인원) 부족인원은 총 39,190명으로 전년대비 1.9%(714) 증가, 부족률은 2.2%5년간 동일 수준 유지

 

<연도별 산업기술인력 현원 및 부족인원 추이>

(단위: , %)

구분 사업체 근로자수
(A)
산업기술인력
현원
(B)
비중
(B/A)
부족인원
(C)
부족률
(C/(B+C))
2019년 기준 4,931,028 (1.1) 1,672,937 (0.7) 33.9 37,924 (1.2) 2.2
2020년 기준 4,869,360 (1.3) 1,657,673 (0.9) 34.0 36,450 (3.9) 2.2
2021년 기준 4,951,110 (1.7) 1,681,423 (1.4) 34.0 37,667 (3.3) 2.2
2022년 기준 5,015,902 (1.3) 1,699,674 (1.1) 33.9 38,476 (2.1) 2.2
2023년 기준 5,063,630 (1.0) 1,716,846 (1.0) 33.9 39,190 (1.9)
2.2

: 1) 부족인원: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2) 부족률=[부족인원/(현원+부족인원)]×100
3) ( ) 안의 수치는 전년대비 증가율

 

사업체 특성별 현황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 현원은 총 1,142,482명으로 전년대비 1.2%(13,993) 증가하여 최근 3년간 지속 증가

 

* 12대 주력산업 증가율(전년대비): (‘20)0.3%(‘21)1.5%(‘22)1.2%(‘23)1.2%

 

- 산업기술인력 현원은 섬유, 디스플레이 산업만 전년대비 감소, 그 외 주력산업은 모두 전년대비 증가.

 

특히 조선(0.8%)8년 연속 인력 감소세에서 벗어나 반등에 성공하였으며, 반도체(4.4%)와 바이오헬스(4.0%) 산업은 다른 주력산업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증가세 유지

 

* 최근 5년간 지속 증가 주력산업: 반도체,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 IT비즈니스

* 최근 5년간 지속 감소 주력산업: 섬유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현원 변화>

(단위: , %)

구분 전체 기계 디스
플레이
반도체 바이오
헬스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소프트
웨어
IT
비즈니스
‘19 1,102,119 152,599 50,007 95,429 32,557 35,291 118,199 204,141 59,621 64,412 123,546 142,914 23,403
증가율 0.1 0.7 0.2 2.8 3.1 2.5 0.3 0.1 1.1 1.3 2.0 2.5 1.2
‘20 1,098,921 150,122 48,795 99,285 34,140 34,000 116,498 202,889 58,622 63,531 120,533 146,714 23,793
증가율 0.3 1.6 2.4 4.0 4.9 3.7 1.4 0.6 1.7 1.4 2.4 2.7 1.7
‘21 1,115,526 151,337 48,864 104,004 35,528 33,494 119,818 205,024 58,225 64,381 122,307 148,270 24,273
증가율 1.5 0.8 0.1 4.8 4.1 1.5 2.8 1.1 0.7 1.3 1.5 1.1 2.0
‘22 1,128,489 152,346 48,812 109,014 36,999 33,231 121,897 205,206 58,042 64,475 123,505 150,122 24,839
증가율 1.2 0.7 0.1 4.8 4.1 0.8 1.7 0.1 0.3 0.1 1.0 1.2 2.3
‘23 1,142,482 153,074 48,786 113,818 38,493 32,941 123,740 206,122 58,528 64,876 124,878 151,847 25,379
증가율 1.2 0.5 0.1 4.4 4.0 0.9 1.5 0.4 0.8 0.6 1.1 1.1 2.2
증가인원 13,993 728 26 4,804 1,494 290 1,843 916 486 401 1,373 1,725 540

: 증가율 및 증가인원은 전년대비 기준

 

-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30,596명으로 전년대비 2.7%(813) 증가. 부족률은 2.6%로 전년 수준 유지

 

* 12대 주력산업 부족인원 : (’19)28,390(’20)28,050(’21)28,709(’22)29,783(’23)30,596

 

 

- 주력산업별 부족률 증감은 최근 5년간 0.1~0.2%p 밴드 내에서 안정적 수준 유지. 소프트웨어, 바이오헬스, 화학, 섬유 산업은 3~4%대로 타 주력산업 대비 부족률이 높은 편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변화>

(단위: %, %p)

구분 전체 기계 디스
플레이
반도체 바이오
헬스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소프트
웨어
IT
비즈니스
‘19 2.5 2.7 0.6 1.6 3.2 2.6 2.0 2.6 1.0 1.9 3.3 4.0 1.6
‘20 2.5 2.6 0.5 1.6 3.2 2.7 1.9 2.6 0.9 1.7 3.3 4.0 1.6
‘21 2.5 2.7 0.6 1.7 3.4 2.9 1.9 2.6 1.1 1.7 3.4 4.0 1.7
‘22 2.6 2.7 0.7 1.6 3.5 3.0 1.9 2.6 1.3 1.8 3.5 4.1 1.9
‘23 2.6 2.7 0.8 1.7 3.3 3.2 1.9 2.6 1.3 1.8 3.6 4.1 2.0
증감 - - 0.1 0.1 0.2 0.2 - - - - 0.1 - 0.1

: 증감은 전년대비 기준

 

구인·채용인력 현황

 

(총괄) `23년 한 해 동안 구인인력은 전년대비 1.4%(2,126) 증가한 155,987, 채용인력은 전년대비 2.1%(3,062) 증가한 148,636명 수준

 

<산업기술인력 구인 및 채용 인력>

(단위: , %)

구분 구인인력 채용인력
합계 경력자 신입자 대졸외국인 합계 경력자 신입자 대졸외국인
‘23 155,987
(100.0)
86,092
(55.2)
69,483
(44.5)
412
(0.3)
148,636
(100.0)
81,472
(54.8)
66,885
(45.0)
279
(0.2)

: ( )안의 수치는 인력 경력유무별 각각의 비중

 

- 구인 및 채용 인력 모두 `20년 이후 3년 동안 지속 증가 패턴

* 구인인력 증가율(전년대비): (‘19)4.7%(‘20)0.4%(‘21)4.1%(‘22)2.1%(‘23)1.4%

* 채용인력 증가율(전년대비): (‘19)2.5%(‘20)7.4%(‘21)8.4%(‘22)1.9%(‘23)2.1%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 변화>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변화>

(경력유무별) 구인인력 중 경력자는 2.4%(1,981) 증가한 86,092, 신입자는 0.3%(193) 증가한 69,483명임. `19년 이후 경력자 구인비중 상승 지속

* 경력자 구인인력 비중: (‘19)54.3%(‘20)54.4%(‘21)54.6%(‘22)54.7%(‘23)55.2%

* 신입자 구인인력 비중: (‘19)45.4%(‘20)45.4%(‘21)45.1%(‘22)45.0%(‘23)44.5%

 

- 채용인력의 경우, 전년대비 기준 경력자는 3.4%(2,709) 증가, 신입자는 0.6%(423) 증가. 경력자 채용인력 비중은 지속 상승 추세

* 경력자 채용인력 비중: (‘19)50.4%(‘20)52.4%(‘21)52.8%(‘22)54.1%(‘23)54.8%

* 신입자 채용인력 비중: (‘19)49.2%(‘20)47.4%(‘21)47.0%(‘22)45.7%(‘23)45.0%

<경력유무별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 비중>
<경력유무별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비중>


: 1) 외국인 인력을 제외하고 구한 비중 기준 2) 전체 구인인력 및 채용인력 대비 경력유무별 각각의 비중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현황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변화>

(단위: , %)

구분 12대 주력 산업 전체 기계 디스 플레이 반도체 바이오 헬스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소프트
웨어
IT
비즈니스
‘19 1,102,119 152,599 50,007 95,429 32,557 35,291 118,199 204,141 59,621 64,412 123,546 142,914 23,403
증가율 0.1 0.7 0.2 2.8 3.1 2.5 0.3 0.1 1.1 1.3 2.0 2.5 1.2
‘20 1,098,921 150,122 48,795 99,285 34,140 34,000 116,498 202,889 58,622 63,531 120,533 146,714 23,793
증가율 0.3 1.6 2.4 4.0 4.9 3.7 1.4 0.6 1.7 1.4 2.4 2.7 1.7
‘21 1,115,526 151,337 48,864 104,004 35,528 33,494 119,818 205,024 58,225 64,381 122,307 148,270 24,273
증가율 1.5 0.8 0.1 4.8 4.1 1.5 2.8 1.1 0.7 1.3 1.5 1.1 2.0
‘22 1,128,489 152,346 48,812 109,014 36,999 33,231 121,897 205,206 58,042 64,475 123,505 150,122 24,839
증가율 1.2 0.7 0.1 4.8 4.1 0.8 1.7 0.1 0.3 0.1 1.0 1.2 2.3
‘23 1,142,482 153,074 48,786 113,818 38,493 32,941 123,740 206,122 58,528 64,876 124,878 151,847 25,379
증가율 1.2 0.5 0.1 4.4 4.0 0.9 1.5 0.4 0.8 0.6 1.1 1.1 2.2

: 증가율은 전년대비 기준

 

<12대 주력산업별 5년간 산업기술인력 증가율>

기계 디스플레이 반도체

바이오헬스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소프트웨어 IT비즈니스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 현황

 

<산업기술인력의 구인인력 변화>


(단위: , %)
구분 합계 경력자 신입자 대졸 외국인
‘19 145,336(100.0) 78,845(54.3) 65,973(45.4) 518(0.4)
‘20 144,790(100.0) 78,718(54.4) 65,690(45.4) 382(0.3)
‘21 150,678(100.0) 82,335(54.6) 67,895(45.1) 448(0.3)
‘22 153,861(100.0) 84,111(54.7) 69,290(45.0) 460(0.3)
‘23 155,987(100.0) 86,092(55.2) 69,483(44.5) 412(0.3)
증가율 1.4 2.4 0.3 10.5

: ( )안의 수치는 인력 전체 대비 각각의 비중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 변화>

 

: 수치는 전년대비 증가율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의 경력유무별 비중>

: 전체 구인인력 대비 경력유무별 각각의 비중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현황

 

<산업기술인력의 채용인력 변화>


(단위: , %)
구분 합계 경력자 신입자 대졸 외국인
‘19 142,298(100.0) 71,759(50.4) 69,969(49.2) 570(0.4)
‘20 131,817(100.0) 69,089(52.4) 62,434(47.4) 294(0.2)
‘21 142,840(100.0) 75,450(52.8) 67,079(47.0) 311(0.2)
‘22 145,574(100.0) 78,763(54.1) 66,462(45.7) 349(0.2)
‘23 148,636(100.0) 81,472(54.8) 66,885(45.0) 279(0.2)
증가율 2.1 3.4 0.6 20.2

: ( )안의 수치는 인력 전체 대비 각각의 비중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변화>

: 수치는 전년대비 증가율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의 경력유무별 비중>

: 전체 채용인력 대비 경력유무별 각각의 비중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wr_id=5857

 

산업부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 WEEKLY NEWS | 한국섬유경제

산업부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산업기술인력 약 172만명, 반도체·바이오헬스 등 높은 현원증가세 유지 2025-01-03 20:00 산업부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

www.ktenews.co.kr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