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 마스크 이어-밴드(끈) 시장 공략에 나선 ‘미광텍스’
차별화 마스크 이어-밴드(끈) 시장 공략에 나선 ‘미광텍스’
‘마스크 끈 기계 시스템장치 및 정렬 수납 박스’ 특허출원, 제품 불량률⬇, 가동률⬆
국내·외 MSDS 인증·제시, 폴리프로필렌(PP) 이어밴드 개발
▶미광텍스가 특허출원한 ‘마스크 끈 정렬 수납 박스’는 꼬임 불량률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어밴드의 매듭을 박스 외부에 노출시킴에 따라 품질관리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이어밴드 박스 디자인 또한 운반 및 이동 시 엉킴방지가 가능하도록 박스 상단에 쿠션 뚜껑을 채택했다. 8kg 4Box 1패키지 당 3개의 매듭으로 구성, 매듭의 피크테일 노출형으로 마스크 제품의 불량률 저감과 가동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차별화 에어커버링 및 일반 커버링 등 특수사가공 전문기업인 미광섬유(대표 최병덕)가 코로나19에 따른 마스크 시장 수요 확대로 마스크 이어 밴드(끈) 생산라인 신규구축을 통한 생산·공급망 확대에 본격 나서고 있다.
미광섬유는 지난 5월, 다양한 섬유사가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적의 마스크 이어 밴드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한편, 마스크 수요기업들을 대상으로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제품을 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미광텍스가 생산·공급하는 마스크 이어밴드의 차별화 요소는 특허 출원한 ‘마스크 끈 기계 시스템장치 및 정렬 수납 박스’에 있다.
먼저, 미광텍스의 마스크 이어밴드는 8kg 4Box 1패키지 당 3개의 매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듭의 피크테일 노출형으로 마스크 이어링 공정을 통한 제품의 불량률 저감과 가동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이어밴드 생산 및 재 와인더를 통해 공급되는 제품들과 비교우위의 차별화 요소가 크게 어필되고 있다.
이어밴드 생산과 동시에 꼬임방지 기술을 채택해 이어밴드 수납박스에 곧바로 적층되도록 설계함에 따라 재 와인더를 거치지 않아 품질의 일관성은 물론 해사성을 한층 높였다.
또, 이 같은 차별화된 생산공정을 통해 생산된 이어밴드는 마스크 이어링 공정에서 발생되는 꼬임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어밴드의 매듭관리에 편리하도록 박스 외부에 노출시킴에 따라 품질관리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밴드 박스 디자인 또한 운반 및 이동 시 엉킴방지가 가능하도록 박스 상단에 쿠션 뚜껑을 디자인 반영하는 한편, 이어밴드의 적층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한편, 미광텍스가 생산·공급하고 있는 이어밴드는 식약처 KF, 미국 FDA, 유럽 CE 인증기준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인증을 통과한 성적서를 수요기업에 제공하는 등 품질의 안전성과 신뢰성 및 차별성을 어필하며, 수요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또, 마스크와 동일 재질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원사를 활용한 이어밴드를 개발하는 등 마스크 이어밴드의 신수요 흐름에 대응하고 있다.
PP 이어밴드 제품은 기존 나일론 원사와 비교해 낮은 초음파 열융착 온도에서도 접착력이 뛰어나 생산성과 품질관리에 유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마스크의 주요 부자재인 스펀본드(SB)와 멜트블로운(MB) 필터재가 폴리프로필렌 소재임에 따라 접착불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불량품의 폐기물 처리 및 리사이클 공정에서 유리하다는 평가를 얻고 있는 등 수요·상담이 증가하고 있다.
미광텍스는 현재, 4대의 마스크 이어밴드 생산라인을 통해 월 1천5백만 미터를 생산·공급하고 있는 가운데, 2대를 증설 추진하는 등 최종 8대 생산라인으로 월 3천만 미터 공급이 목표다. (문의 : 054) 931-1418)
<김진일 기자>
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wr_id=5132
차별화 마스크 이어-밴드(끈) 시장 공략에 나선 ‘미광텍스’ > 섬유/소재 | 한국섬유경제
차별화 마스크 이어-밴드(끈) 시장 공략에 나선 ‘미광텍스’ ‘마스크 끈 정렬 수납 박스’ 특허, 제품 불량률⬇, 가동률⬆ 2020-11-04 21:01 별화 마스크 이어-밴드(끈) 시장 공략에 나선 ‘미광텍
www.kt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