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섹션/핫 뉴스 포커싱

경상북도 ‘미래전략산업과’ 내 ‘섬유산업계’ 통합 추진, 전담계 사라질

텍스뉴스 Texnews 2010. 7. 14. 19:44

경상북도 ‘미래전략산업과’ 내 ‘섬유산업계’ 통합 추진, 전담계 사라질 판

‘메디컬섬유 R&D 예·타사업’, 기관 지원예산 - 섬유 파이 확보에 빨간불

 

 

경상북도가 민선5기 김관용 지사 출범에 따라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단행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섬유산업’이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다름 아닌 그동안 경상북도의 ‘섬유산업’을 관장해 온 ‘미래전략산업과’ 내 ‘섬유산업계’가 타 산업계와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는 것.

경북도는 지금까지 ‘미래전략산업과’에 ‘전략산업정책’, ‘성장동력산업’, ‘한방·바이오’, ‘섬유산업’ 등 총 4개의 계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김관용 지사의 2기 체제 출범 및 주요 공략사업이 ‘투자유치’와 ‘일자리창출’에 포커싱 됨에 따라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이와 관련된 새로운 조직이 새로 마련될 전망이며, 동시에 ‘미래전략산업과’의 4개 파트 조직을 3개 파트로 재구성하는 한편 ‘성장동력산업’과 ‘섬유산업’을 통합하는 사안에 대한 집중 검토·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경상북도의 장상길 미래전략산업과장은 “섬유산업계는 반드시 살려 둘 계획”이라고 밝히고 “2개의 산업계의 통합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새로운 명칭에는 섬유산업을 포함시켜 섬유산업이 소외되지 않도록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실제 ‘벤처·창업 중심의 신성장산업 및 사업을 주도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성동동력산업계와 섬유산업계의 통합이 단행될 경우 섬유산업에 대한 경북도의 사업 예산배정 및 사업 활성화에 있어서 적잖은 타격이 뒤따를 게 불 보듯 뻔하다는 시각이다.

2개의 산업계가 통합된 명칭이 ‘섬유산업’ 또는 ‘섬유’라는 명칭이 포함된다손 치더라도 실제 신성장동력산업과의 사업기획·추진 업무 분산은 뒤따를 수 밖에 없으며, 통합계 담당관의 섬유산업에 대한 집중도 또한 뒤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것.

경북도의 조직개편안의 추진은 의회통과 사안이지만 경상북도의 실·국장 및 부단체장 인사단행과 동시에 단행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 섬유관련 기관·단체 및 업계의 대응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미래전략산업과 담당과장의 의지대로라면 우려가 불식될 소지가 없지 않겠지만 지자체장의 공략 이행을 위한 또 다른 대응의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말은 달라진다.

특히 섬유산업진흥사업에 있어서 경북도와 대구시가 상호 연계를 통한 시너지효과 발현 기반의 사업이 구상·추진되고 있는 등으로 경북도의 이러한 행보는 대구광역시 섬유산업과의 연계·공조를 통한 섬유산업 육성에도 적잖은 무리수가 뒤따를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경북도는 대구 및 경북도에 위치한 섬유관련 연구기관·단체 대상의 각종사업예산지원 및 보조금 지원하고 있는 바 섬유산업 반영·투입예산 파이의 분산과 감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경상북도는 지역섬유산업진흥사업 2단계 사업에서 총 100억원을 지원한데 이어 현재 3단계 사업에 4년간 총 60억원(1년 15억원 내외)을 지원할 예정에 있으며, 지역 섬유·패션 관련 연구기관 등에 각종 사업예산·보조금지원 등으로 12억여 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섬유산업계’ 통합이 단행될 경우 당장 경상북도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메디텍스(Medical-textile) 융합제품사업’의 변수 작용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5년간 총사업비 2천5백억 원(국비: 1천4백60억 원, 지방비: 5백40억 원, 민자: 5백억 원)이 투입되는 첨단 메디컬섬유 개발사업.

지난해 지경부에 제출된 메디텍스 융합제품사업안은 현재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과제로 선정돼 심의 중에 있으며, 지경부로부터 내년도 예산 15억 원이 반영된 가운데 기획재정부에서 국회로 넘어가는 단계를 밟고 있다.

‘성장동력산업’과 ‘섬유산업’의 통합이 대구·경북섬유산업 미래먹거리 마련에 어떠한 결과로 다가올 지 귀추가 모아지고 있다.

<김진일 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