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섹션/핫 뉴스 포커싱

대구 섬유 연구기관, 상근이사(원장·소장)체제 전환 ‘막바지’

텍스뉴스 Texnews 2009. 8. 13. 00:35

대구 섬유 연구기관, 상근이사(원장·소장)체제 전환 ‘막바지’

  4개기관, ‘통합이사진’구성 및 ‘정부출연연구소’ 전환 권유받아



정부의 ‘산업기술혁신촉진법’에 의해 설립·운영되고 있는 대구지역 4대 섬유 관련 전문생산기술연구기관이 그동안 ‘비상근 명예직 이사장’중심에서 ‘상근이사(원장·소장)’ 체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한국패션센터, 한국봉제기술연구소 등 4개 연구기관이 그 주체.

‘상근이사’ 체제로의 전환에 첫 물꼬를 튼 기관은 한국봉제기술연구소로 지난 2007년 정관개정을 통해 대표자를 비상근 이사장에서 상근 이사 체제를 출범시켰다.

이어 올해 7월 16일, ‘한국패션센터’ 또한 임시 이사회를 개최해 정관개정 및 직제개편 등을 추진해 상근 이사(소장) 중심의 책임경영체제로 전환했으며, 한국염색기술연구소도 지난 8월 5일 이사회를 거쳐 대표를 이사장에서 소장으로 전환하는 정관개정을 통과시켰다.

4개 연구기관 가운데 3개 연구기관이 상근이사가 대표직을 수행하게 됐으며,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또한 조만간 정관개정 및 상근이사 대표체제 전환을 위한 이사회를 개최해 이 같은 행보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지역 연구기관들의 이 같은 ‘상근이사(원장·소장)중심체제 전환’ 행보에는 지식경제부의 지속적인 전환요구에 기반 둔 것.

그동안 상근이사 중심의 전환을 두고 섬유업계 일각에서는 업계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시킬 수 있겠느냐는 비관조의 평가가 적잖았지만 상근이사 체제 전환을 통한 책임경영시스템의 도입의 장점 부각과 시대적 흐름 부응으로 귀결되는 모습이다.

지역 연구기관은 이 같은 상근이사 체제 전환에 이어 지역 4개 전문연구기관 통합체제에 대해서도 지경부로 부터 권고받고 있는 상황이다.

지경부는 오래전부터 직·간접 루트를 통해 유사연구기관에 대한 통·폐합을 거론해왔으며, 이러한 요구는 점차 강도가 더해지는 모습으로 ‘권고’차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지경부는 지역 연구기관 실무관계자들과의 간담회 및 관련 연구기관 이사회 등에서 지역연구기관 통폐합과 이를 통한 효율성 확대는 물론 이들 기관대상의 ‘통합이사진 구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경부는 지역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조직·체계 변화를 이끌어내는 한편 더 나아가 현재 ‘전문생산기술연구소’에서 ‘정부출연연구소’로의 전환을 고려함도 동시에 밝힌 상태라는 것.

업계 관계자는 “지경부는 지역연구기관들의 책임경영체제 전화·유도에 이어 관련 기관들의 통·폐합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이들 기반의 정부출연연구소로의 재편이라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또 “지경부의 이러한 변화 요구가 어느선까지 진척을 이룰지 미지수지만 연구기관 간 통·폐합과 정부출연연구소로의 재편 사안은 생각보다 민감성한 사안을 포함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정부출연구소 전환의 경우 법안 마련을 비롯해 선결돼야할 사안이 적잖은 만큼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을 비롯 섬유 전 스트림에 걸쳐 구축된 전문연구기관들은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기반의 설립 근거와 목적을 명확히하고 있다.

하지만 중앙 및 지방정부의 직·간접 예산지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임을 전제, 정부 직속기관이 제시·요구하는 부분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처지다.

지역 연구기관의 모 이사는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뿐 아니라 정부출연연구소에 대한 예산지원 삭감 방침이 현실화되고 있는 게 현실로 이에 따른 기관들의 적절한 대응책 마련도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특화·전문화시켜놓은 연구기관들을 하나로 통폐합을 추진한다는 것은 심각히 고려해봐야할 것이며, 관련 연구기관 또한 이에 대해 중대사안이자 화두로 수면위로 끌어올려 논의해야될 사항”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연구소 이사진은 “지경부가 예산배정의 칼자루를 거머쥐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지역산지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채 정부정책 편의 중심으로 지역 연구기관들을 쥐락펴락하려는 모습도 적잖다”고 전했다.

하지만 그는 “정부의 이 같은 변화요구는 섬유·패션관련 유관기관 간 연계·공조 단절· 기관 이기주의 만연에 따른 효율성 저하 또한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관련 연구기관 스스로의 무책임도 한몫한 만큼 반성의 기회를 가져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요컨데 지경부의 지역 섬유연구기관을 상대로 한 변화요구가 ‘스텝 바이 스텝’으로 확대·요구받고있는 가운데 관련 연구기관들은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연구기관 통·폐합, 통합이사진 구성, 정부출연연구소 전환 등.

정부 관계자의 한마디 한마디에 ‘一喜一悲’ 하고 있을 뿐 연구기관 및 업계 모두를 위한 선택에 있어 어느쪽이 효율적인지에 대해선 다만 고개만 끄떡이고 있는 모습이다.




<김진일 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