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틀 단 섬유연구기관들 역할 확대·연계 청사진 마련돼야 할 듯
‘한국’타이틀 단 섬유연구기관들 역할 확대·연계 청사진 마련돼야 할 듯
업종·스트림 기관 간 네트웍 전무, R&D확보·참여통한 인건비 확보에 ‘올-인’
국내 섬유관련 연구기관들은 하나 같이 ‘한국’이란 타이틀을 갖고 있다.
섬유 관련 업종·스트림 별 구축·설립된 연구기관들이 이처럼 ‘한국’이란 타이틀을 달고 있음은 ‘한국을 대표하는 특화 섬유연구기관’임을 내세우기 위함일 것이다.
하지만 정작 그 실상을 살펴보면 ‘한국’이란 타이틀이 무색하리만큼 초라한 것이 현실이다.
모두들 ‘전국구’가 아닌 ‘지역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
물론 섬유산업이 지닌 분야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특화된 전문연구기관으로써의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지만 여타 섬유관련 기관 간 연계와 공조는 사실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섬유스트림간 연계사업을 비롯 업계 중심의 연구·개발과제의 선점을 통한 연구기관의 인건비 확보가 급선무인 연구기관들.
다시 말해 ‘공조’와 ‘연계’의 대상이 아닌 ‘경쟁상대’이자 ‘적자생존’의 대상으로 인식·정착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사업지원예산의 감축 대응과 연구기관 스스로의 자립화 기반 마련을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기관을 대상으로 상호 연계·공조를 피력한다는 것 또한 어폐의 소지를 담고 있다.
‘연구기관 자립화’를 명목으로 끊임없이 예산지원의 숨통을 죄고 있는 가운데 ‘기관 생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대응’은 생각지도 않은 부분에서 부작용으로 속속 나타나고 있다.
연구기관은 관련 업종 기업들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마케팅사업을 측면지원하는 게 본연의 임무이지만 이제 ‘수익사업’을 병행해야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이런 연구기관들의 어쩔 수 없는 대응으로 말미암아 아이러니하게도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경쟁관계에 놓이는 결과도 발생하고 있다.
매년 정기국회의 예산심의에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예산 지원 삭감’ 현안은 한마디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섬유관련 연구기관들의 지원 영역 및 역할과 연구기관 간 공조를 동시에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별도의 지원정책이 뒤따라야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연구기관의 제대로된 연구·개발·마케팅 지원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하는 안정된 예산편성과 지원이 마련돼야한다.
이와 함께 ‘R&D사업’ 확보 능력을 연구기관의 생존과 경쟁력(?)으로 내비쳐지는 상황에서 연구기관 간 연계·공조를 강요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별도의 정책적인 예산을 편성하더라도 유관 기관간 연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묘안을 짜내야 한다.
섬유 연구기관 간 공조 바탕 없이는 섬유산업 내부에서의 ‘프러스 알파’를 기대할 수 없다.
IT, NT, ET, BT 등 이 업종 간 교류·융합이 대세이지만 먼저 섬유 업종간 연대할 수 있는 바탕 마련이 우선돼야할 시점이다.
당면한 섬유연구기관들의 노력으로 이뤄낼 수 없는 한계상황.
정부 관련 부처의 올바른 판단이 요구된다.
<대구 - 김진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