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중소기업 기술개발(R&D) 협력사업 지원통해 ‘기술 동반성장’ 박차 ‘2025년 하반기 구매연계·상생협력형기술개발(R&D)’ 신규과제 모집 공고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5. 5. 23. 00:36

본문

·중소기업 기술개발(R&D) 협력사업 지원통해 기술 동반성장박차

‘2025년 하반기 구매연계·상생협력형기술개발(R&D)’ 신규과제 모집 공고

2025년 기업 간 협력기술개발(R&D)을 추진하는 99개 과제 공고

2년간 최대 6억원 기술개발(R&D) 지원, 기술개발부터 판로 연계까지 전주기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523()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25년 구매연계·상생협력형기술개발(R&D)’ 신규과제 모집을 공고했다.

 

구매연계·상생협력형 기술개발(R&D)’2002년부터 도입된 중기부의 대표 기술개발 지원사업으로, 수요기업 맞춤형 기술개발부터 판로 확보까지 연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업당 최대 6억 원의 기술개발(R&D) 자금(2년간)이 지원되며, 올해 신규 지원 규모는 총 112개 과제다.

 

이 중 13개 과제는 지난 1월에 선공고를 통해 모집 완료했으며, 이번 공고를 통해 나머지 99개 과제를 추가 선정한다.

 

중기부는 그간 '성과확산 행사' 등을 통해 수요기업·중소기업·투자기업 간 협업의 장을 마련하는 등 중장기적인 협력관계 조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이를 통해 지원과제당 평균 매출액이 4.3억원( ‘24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성과조사분석연구, 정부지원연구비 1억원 기준)에 달하는 등 중소기업의 실질적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지원유형은 중소기업이 수요기업 및 투자기업과 협력하는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며 세부분야(트랙)는 아래와 같다.

 

< 참고 : 구매연계·상생협력형기술개발(R&D) 지원 유형 및 물량 >

구 분 2025년 하반기
신규과제수 공모유형
구매연계 국내수요처 20 자유
해외수요처 13
소재부품장비 10
조달혁신 10
혁신형도전 16 지정
소 계 69
상생협력 일반 30 자유
합 계 99

 

구매연계형 기술개발(R&D)’은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등 실제 구매 수요가 있는 수요처와 중소기업을 연결(매칭)하여, 기술개발 이후 구매까지 연계하는 방식이다.

 

특히, 복수의 수요처를 확보하여 신청할 경우 가점을 부여하며, 개발 도중 기술 환경이 변해 구매가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중기부가 사전 점검을 실시해 개발 목표나 내용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민관협력 개방혁 혁신(오픈이노베이션)’ 사업을 통해 선발된 창업기업의 경우, 이번 구매연계형 기술개발(R&D) 사업과 연계하여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상생협력형 기술개발(R&D)’은 중기부와 민간 투자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개발(R&D) 자금을 조성해, 투자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이나 제품을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방식이다.

 

투자기업은 개발 과정에서 기술 검증, 실증 환경 제공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중소기업(()안세기술)은 항공기 시각 유도시스템 공동 개발을 위해, 공사에서 제공한 실증환경을 통해 850회 이상 검증해 국제기술안전성표준을 확보(독일GS, 유럽CE 인증)했으며, 개발된 제품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운영 중이다.

 

’24년부터는 해외 공항 진출을 위해 양 기관이 상생협력 관계로 발전했다.

 

올해는 투자기업 간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 투자기업 사전심사를 상대평가로 개선하고, 공공기관 동반성장평가 지표에서 과제신청보다는 과제선정의 점수에 무게를 두어 수월성 높은 과제를 유도하는 등 제도의 내실화에 집중했다.

 

구매연계·상생협력형기술개발(R&D)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오는 523()부터 623()까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누리집(www.iris.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세부 공고 내용과 유형별 신청절차는 중기부 누리집(www.mss.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기술개발에 그치지 않고 제품화 및 매출 증대로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구매연계·상생협력형 기술개발(R&D)이 중소벤처기업의 실질적인 성장을 이끄는 연결고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구매연계형·상생협력형 R&D 개요

 

(구매연계형) 수요처의 구매수요가 있는 구매연계* R&D를 지원하여 가치(공급)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반 마련

 

* 구매수요 기반 개발이 완료된 제품을 수요처에서 정부지원금의 3배 이상 구매

 

* 공공 수요처(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는 정부지원금의 1배 이상 구매

 

수요처 유형에 따라 별도 트랙으로 운영

세부 지원분야 지원내용 지원규모
국내수요처 국내수요처의 수요가 있는 제품의 기술개발 지원 최대 2, 6억원,


총연구개발비의 75% 이내

OI연계 민관협력 OI 플랫폼을 통해 발굴된 기업 대상 별도 트랙
해외수요처 해외수요처의 수요가 있는 제품의 기술개발 지원
소재부품장비 국내수요처의 수요가 있는 소재, 부품, 장비분야의 기술개발 지원
조달혁신 국내수요처 중 공공수요처(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인 기술개발 지원
혁신형도전 대ㆍ중견기업 수요처가 제안한 과제제안서 기반 기술개발 지원

 

< 구매연계형 지원 개요 >

수요처 구매동의서ㆍ계약서 발급 과제 선정평가 협약ㆍ과제지원
중소기업-수요처 기술개발 협의
수요처 구매 동의의사 확인(구매동의서 또는 계약서)
수요처 적정성, 기술성, 사업성, 연구역량 등 종합 평가 협약체결(수요처-중소기업-중기부)
정부지원 연구비 지급
(최대 2, 6억원 이내 지원)

 

(상생협력형) 투자기업의 투자수요가 있는 공동투자* R&D를 지원하여 가치(공급)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 형성

 

* 민간(대기업, 중견기업), 공공(공기업 등)이 투자기업의 형태로 참여하여 정부지원금의 66%~100%내 연구비 매칭 지원

 

< 상생협력형 지원 개요 >

투자기업 동의서 발급 투자기업 사전심사 과제 선정평가 협약ㆍ과제지원
중소기업-투자기업 협의
투자기업 투자 동의의사 확인(투자확인서)
투자기업이 과제별 기술성, 사업성, 연구역량 평가 투자기업 적정성, 기술성, 사업성, 연구역량 등 종합 평가 협약체결(투자기업-중소기업-중기부)
연구비(정부, 투자기업) 매칭
(최대 2, 12억원 이내)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

 

WEEKLY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효성, 장애어린이 재활...  사진1. 효성은 종로구에 있는 푸르메재단을 ...

www.ktenews.co.kr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HOT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효성, 장애어린이 재활...  사진1. 효성은 종로구에 있는 푸르메재단을 ...

www.ktenews.co.kr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