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기부 -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실태조사 결과 발표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스마트공장 도입한 기업 19.5%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5. 4. 29. 19:58

본문

중기부 -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실태조사 결과 발표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스마트공장 도입한 기업 19.5%

전체 지능형(스마트) 공장의 75.5%가 기초단계로 파악

스마트공장 활용률은 80% 상회, 제조AI 도입률 0.1% 수준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 인포그래픽

업종 공장 보유 중소중견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지원기업
전체
(A)
중견 중기업 소기업 소공인 전체
(B)
중견 중기업 소기업 소공인 비율
(B/A)
서울특별시 8,952 25 578 2,031 6,319 770 9 137 324 300 8.6%
부산광역시 11,304 118 798 2,822 7,566 1,384 24 300 608 452 12.2%
대구광역시 8,913 112 797 2,701 5,303 1,583 45 271 740 527 17.8%
인천광역시 10,141 83 834 2,969 6,255 1,519 40 327 719 433 15.0%
광주광역시 5,865 68 432 1,498 3,866 670 19 153 293 205 11.4%
대전광역시 3,334 12 258 705 2,358 388 12 66 175 135 11.6%
울산광역시 2,248 124 402 831 891 496 33 146 202 115 22.1%
세종특별자치시 1,251 44 86 219 902 110 10 30 44 26 8.8%
경기도 48,935 457 4,603 13,956 29,919 6,857 187 1,719 2,864 2,087 14.0%
강원특별자치도 4,228 30 300 916 2,982 424 15 81 166 162 10.0%
충청북도 7,863 237 1,151 1,959 4,516 1,127 89 352 405 281 14.3%
충청남도 7,206 233 965 2,345 3,663 1,480 95 461 536 388 20.5%
전북특별자치도 8,135 117 787 1,417 5,813 748 33 166 270 279 9.2%
전라남도 7,393 123 689 2,156 4,425 901 26 130 359 386 12.2%
경상북도 11,314 160 1,386 3,633 6,135 2,173 106 478 937 652 19.2%
경상남도 15,295 179 1,674 3,988 9,453 3,055 94 692 1,292 977 20.0%
제주특별자치도 895 0 35 256 604 99 0 13 44 42 11.1%
총합 163,273 2,122 15,776 44,403 100,972 23,784 837 5,522 9,978 7,447 14.6%

 

지역별 공장보유 기업 및 스마트공장 지원기업 현황

< 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 개요 >

(근거)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7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대상) ‘23년 기준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모집단 163,273, 표본 5,000)


(방법) 조사원 대면조사 실시


(내용) 기업 현황, 스마트제조혁신 인식,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활용, 제조데이터, 인력, 보안 등 총 6개 분야 81개 항목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428() ‘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23.7) 이후 처음 실시되는 조사로,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회를 운영하여 모집단 구성, 설문지 설계 등 사전 조사기획 후 표본조사를 진행했다.

 

지능형(스마트)공장 보급 등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23년 기준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633,182개 사 중 공장 보유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 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했으며, 그 중 5,000개 사를 표본으로 해 2410월부터 251월까지 대면조사를 실시했다.

 

 

󰊱 (일반현황)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은 19.5%

 

이번 조사에 따르면 공장 보유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 사 중 소상공인이 61.8%, 소기업 27.2%, 중기업 9.7%, 중견기업이 1.3%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률은 전체기업에서 19.5%, 중소기업은 18.6%로 나타났으며, 기업 규모가 클수록 도입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 규모별 도입률 : 중견기업 85.7% > 중기업 54.2% > 소기업 28.5%> 소상공인 8.7%

 

󰊲 (스마트제조혁신 인식) 전체 기업 중 22.8%가 중요성을 인식하여 실행

 

* 스마트제조혁신 : 중소기업의 제조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등을 융합해 제품개발, 제조공정, 유통관리, 기업경영방식 등을 개선하는 활동

 

스마트제조혁신에 대한 인식은 전체 기업 중 약 22.8%가 스마트제조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도입하거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전체 기업의 26.5%가 스마트제조혁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스마트제조혁신을 추진하는 주요 목적은 생산 효율성 향상(56.5%)이며, 이어서 품질 관리 개선(37.1%), 비용 절감(22.7%) 순이다.

 

󰊳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활용) 기초 수준 지능형(스마트) 공장은 75.5%, 활용률은 80% 이상

 

지능형(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 중 기초 수준은 75.5%, 기업 규모가 클수록 지능형(스마트)공장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 범위는 부분 도입이 99.8%로 파악된다.

 

* 규모별 중간 이상 비율 : 중견 40.3% > 중기업 29.0% > 소기업 22.6% > 소상공인 19.6%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 평균 비용은 113천만 원, 중소기업은 75천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도입 방식으로는 외부 전문기업을 통한 솔루션 도입이 46.4%, 자체 전문인력을 활용한 경우가 45.9%로 나타났다.

 

도입 시 가장 많은 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자체 자금(56.9%)로 나타났으며, 자체 구축 시 비용은 평균 8.1억 원으로 조사됐다.

 

주요 도입 기술은 ERP(76.3%), 제어컨트롤러(16.9%), MES(14.4%)이며, 향후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기술은 제조로봇(1.7%), 제어컨트롤러(1.3%), ERP(1.1%) 순이다.

 

지능형(스마트)공장 활용률은 구성 요소 모두 80%를 상회했으며, 요소별로 살펴보면 H/W 90.5%, 제조데이터 89.7%, S/W 83.1%로 확인됐다.

 

지능형(스마트)공장이 주로 활용되는 분야는 생산관리(42.2%)이며, 이어서 사업기획·전략수립 26.3%, 재무관리 10.7%, 기술혁신관리 9.2%, 인적자원관리 4.4% 순으로 나타났다.

 

지능형(스마트)공장 활용 수준의 고도화가 필요하다는 밝힌 기업은 45.7%, 고도화를 위해 자체 투자계획을 보유한 기업은 25.6%로 파악된다.

 

󰊴 (제조데이터·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수집기업은 전체의 60.8%, 제조인공지능(AI) 도입기업은 0.1%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60.8%, 이 중 52.1%가 실제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능형(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92.4%가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중 74.0%가 분석하고 있다.

 

제조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업은 전체의 0.1%, 도입 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1.6%로 확인됐으며,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의 경우, 5.2%가 제조인공지능(AI)을 도입했거나 할 계획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데이터·인공지능(AI) 관련 전담 부서와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0.8%로 나타났다.

 

󰊵 (인력) 종사자 14.7명 중 스마트공장 관련 종사자는 5.4

 

기업 내 평균 종사자는 14.7명으로 그 중 생산직이 60.6%를 차지하며, 지능형(스마트)공장 관련 종사자는 전체 종사자의 36.7%5.4명으로 조사됐다.

 

지능형(스마트)공장 관련 전담 부서나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전체의 19.5%이며, 관련 교육을 위한 별도 예산을 마련한 기업은 6.6%로 나타났다.

 

지능형(스마트)공장 관련 추가 인력 확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14.5%, 인력 확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부담(47.1%)으로 확인됐다.

 

이번 결과에 대해, 권순재 제조혁신과장은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지능형(스마트)공장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점검한 첫 공식 실태조사라고 설명하면서,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율 19.5%(31,782개 사), 기초 위주 지능형(스마트)공장(75.5%)등 중소 제조 현장 디지털 전환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여 중소 제조현장의 디지털전환(DX)을 촉진하고, 제조디지털전환(DX)의 기반 위에서 제조인공지능(AI)이 확산되도록 지역특화 제조인공지능(AI)센터를 구축하고 제조인공지능(AI) 전문기업을 육성하는 등 제조디지털전환(DX)·인공지능전환(AX) 생태계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weekly_news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

www.smarttexcrew.com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