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인증 합리화 위한 정부 인증제도 존속 필요성 검토
‘3주기(`25~`27) 적합성평가 실효성 검토 추진 계획’ 발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은 인증제도 존속 필요성 검토 대상 목록 및 검토 중점방향이 담긴 ‘3주기(`25~`27) 적합성평가 실효성검토 추진 계획’을 제580회 규제개혁위원회에 보고했다.
정부는 합리적인 인증 운영 및 기업 부담 경감을 위해 `19년부터 적합성평가 실효성 검토 제도를 도입/운영 중이다.
적합성평가는 제품, 서비스 등이 규정된 요건에 충족되었는지를 평가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전기용품 안전 인증’, ‘인삼류 검사’, ‘식품명인 지정’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인증’으로 통용된다.
인증은 국민 안전, 보건, 환경보호 및 제품 시장 출시 지원 등을 위해 존재하지만, 일부 유사, 중복, 불합리한 기준 등은 기업 부담을 초래하거나 시장진입 규제로 작용하기도 하며, 1주기(`19.~) 통폐합 17개/186개 → 2주기(`22.~) 통폐합 11개/222개 → 3주기(`25.~`27.) 246개 통폐합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속 증가 중이다.
이번 보고를 통해 향후 3년간(`25~`27.) 존속 필요성 등을 검토할 목록을 확정하고, 연도별 검토 계획 및 검토 중점방향을 제시했다.
검토 대상 인증제도는 28개 부처 246개 인증제도이며, `25년에 80개, `26년에 83개, `27년에 83개 제도에 대해 실효성 검토를 실시하고, 검토 내용에 따라 폐지, 통합, 개선, 존속 등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기준이 없거나 실적이 저조한 제도, 단순 홍보 목적이거나 해외 사례가 없는 경우 폐지를 추진하고, 기업 부담 경감을 위해 유사 인증 간 통합, 성적서 상호인정, 절차 간소화, 유효기간 확대 등을 유도할 예정이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민안전/보건, 환경보호 등에 차질이 없는 선에서 인증제도로 인한 기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현장 소통도 지속 확대하는 등 규제 합리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진일 기자>
◈적합성평가 실효성 검토 제도 개요
□ [배경] 정부는 전체 인증제도 대상 3년 주기 존속 필요성 등을 검토하는 ‘적합성평가 실효성검토 제도’ 운영중(`19년~)
* 적합성평가는 제품, 서비스의 특성, 공정 등이 규정된 요건에 충족하는지를 평가하는 활동을 의미하고, 인증, 검사, 지정 등을 포함하며, 국내에서는 ‘인증’으로 통용됨
□ (주요내용) 각 부처의 정책 목적 달성을 위해 운용되는 인증제도가 필요성, 적절성, 완성도 측면에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검토
<실효성검토 항목>
필요성 | 적절성 | 완성도 | ||
‣법정제도로 유지 필요성 ‣유사 ‧ 중복 여부 ‣시장에서의 인증수요 |
‣유효기간,비용,기준등적절성 ‣국가, 국제표준과의 조화 ‣적합성평가기관 관리 적절성 |
‣근거,대상,범위 등의 명확성 ‣사후관리 등 운영관리 절차 ‣위법사항 처벌근거 |
<적합성평가 실효성검토 절차 및 추진체계>
① 검토대상목록 확정 |
② 분석검토 |
③ 정비방안 도출 |
④ 정비방안 확정‧이행 |
|||
연차별 검토대상 목록 작성/보고 | ▶ | 필요성, 적절성, 완성도 등 실효성 검토 | ▶ |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및 기술규제위원회 최종검토 등 | ▶ | 인증제도 정비방안 최종 확정 및 부처 통보 |
각 부처-> 규제개혁위원회 |
각 부처 | 기술규제개혁작업단 (국표원) |
규제개혁위원회 |
□ [추진경과] 적합성평가 실효성검토 제도/업무 법적근거 확립(`18년) 및 1, 2주기 적합성평가 실효성 검토 실시(`19년~)
ㅇ 업무 근거 마련을 위한 국가표준기본법 정비* 및 국표원(기술규제개혁작업단)이 사전 검토해 규제개혁위원회에 보고토록 총리 훈령** 정비
* 「국가표준기본법」('18. 6.), 동법 시행령 개정('18. 12.)
** 「현장중심의 규제개혁 추진을 위한 규제개혁작업단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18. 12.)
ㅇ 1주기(`19~`21) 186개 검토, 88개 정비안(폐지 13, 통합 4, 개선 71) 도출, 2주기(`22) 64개* 검토, 50개 정비안(폐지 10, 통합 1, 개선 39) 도출
* 2주기 당초 검토대상 222개 중 `23년 79개, `24년 79개는 `24년 「인증 규제 정비」 방안(규제개혁추진단(국조실)이 인증제도를 원점 재검토)으로 대체됨
◈소관 부처의 연차별 실효성검토 대상 제도 수
연번 | 부처 | 2025 | 2026 | 2027 | 합계 |
1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 | 1 | - | 1 |
2 | 경찰청 | - | - | 1 | 1 |
3 | 고용노동부 | 3 | 1 | 1 | 5 |
4 | 공정거래위원회 | 2 | - | - | 2 |
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5 | 4 | 4 | 13 |
6 | 관세청 | 1 | - | - | 1 |
7 | 교육부 | - | 4 | - | 4 |
8 | 국가보훈부 | - | 1 | - | 1 |
9 | 국가유산청 | 2 | 1 | - | 3 |
10 | 국토교통부 | 10 | 15 | 16 | 41 |
11 | 기상청 | 1 | 1 | 1 | 3 |
12 | 기획재정부 | - | - | 1 | 1 |
13 | 농림축산식품부 | 5 | 7 | 9 | 21 |
14 | 문화체육관광부 | 5 | 1 | 3 | 9 |
15 | 방위사업청 | - | 2 | 2 | 4 |
16 | 보건복지부 | 5 | 4 | 5 | 14 |
17 | 산림청 | 2 | 5 | 3 | 10 |
18 | 산업통상자원부 | 7 | 8 | 8 | 23 |
19 | 소방청 | 2 | 3 | - | 5 |
20 | 식품의약품안전처 | 3 | 2 | - | 5 |
21 | 여성가족부 | 1 | - | 1 | 2 |
22 | 원자력안전위원회 | - | - | 1 | 1 |
23 | 중소벤처기업부 | 2 | 1 | 1 | 4 |
24 | 특허청 | - | - | 1 | 1 |
25 | 해양경찰청 | - | 2 | - | 2 |
26 | 해양수산부 | 11 | 10 | 11 | 32 |
27 | 행정안전부 | 5 | 3 | 3 | 11 |
28 | 환경부 | 8 | 7 | 11 | 26 |
합계 | 80 | 83 | 83 | 246 |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
HOT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부산패션비즈센터, 섬유... 부산패션비즈센터, 섬유패션 마켓 리서치 실무 교육생 모...
www.ktenews.co.kr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
HOT NEWS 1 페이지 | 한국섬유경제
부산패션비즈센터, 섬유... 부산패션비즈센터, 섬유패션 마켓 리서치 실무 교육생 모...
www.ktenews.co.kr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환경부, 민관 협력으로 생활가전 부품부터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 마련해 (0) | 2025.03.31 |
---|---|
세계적(글로벌) 중견기업으로 도약(점프업) 할 유망 중소기업 100개 선발 (0) | 2025.03.25 |
경북테크노파크,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내 지능형IoT부품센터 준공식 개최전국 최초 ‘물류자동화 요소부품 실증 TEST-BED’ 구축·운영 (1) | 2025.03.25 |
부산경남봉제산업협동조합, 2025년 의류제조업체 환경개선사업 추진 4월 9일까지 신청받아, 현장 확인 통해 30여 개 사업장 지원 예정 (1) | 2025.03.21 |
국표원, 폴리프로필렌(PP)의 우수재활용(Good Recycled) 표준 제정‧공고산업계, 소비자들의 플라스틱 제품 재활용 확산, ‘K-순환경제’ 가속페달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