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패션산업의 제조기반 디지털화 모델로 지목받는 DTP시장, 구조재편 가속화 / 폴리 DTP 승화전사 가격경쟁 치열, 특화소재 중심 DTF 신수에 선제 대응해야
섬유패션산업의 제조기반 디지털화 모델로 지목받는 DTP시장, 구조재편 가속화
폴리 DTP 승화전사 가격경쟁 치열, 특화소재 중심 DTF 신수에 선제 대응해야
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친환경 대응, 제조 기반 디지털화의 대표적 모델로 지목되고 있는 디지털텍스타일프린팅(DTP) 시장.
DTP 글로벌 마켓을 주도하는 글로벌 장비 메이커들이 최첨단 신기술을 채택한 신모델을 연이어 출시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관련 산업계 또한 빠르게 재편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통의 스크린 날염에 이어 로터리 날염 시장을 대체하기 시작한 DTP 승화전사 시장.
90년대 중·후반기를 시작으로 스트린 및 로터리 날염의 S/O 제시용으로 본격 소개되기 시작한 DTP 시장은 2010년 초·중반을 전·후로 고속 성장해 플로터 타입의 저속 프린트 시스템이 도입·활성화됐다.
하지만, 2010년 후반을 지나며, 현재까지 고속 프린트 장비로 대체되고 있는 모습이며, 이 과정에서 동종군 내 궤도 이탈하는 모습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폴리에스터 화섬소재 중심의 분산 잉크를 바탕으로 전개돼 온 DTP 승화전사 시장에서 가격 중심의 생존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첨단화·고속화가 장착된 DTP 장비에 분산 잉크의 안정화·보편화, 승화전사에 최적화된 용지의 개발에 따라 고속 DTP 승화전사 마켓이 주도권을 잡은 모양새다.
전통 스크린 날염 -> 저속 플로터 타입 DTP -> 고속 DTP으로의 전환 속도가 가파르다.
문제는 이 또한 물량과 가격 본위의 글로벌 수요시장에서 무한경쟁 상황으로 가속화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속 승화전사 DTP 장비의 글로벌 시장 확대 공급 및 기술 공동화가 주된 요인으로 보이지만, 국내 화섬직물소재의 글로벌 소싱 환경의 악화가 더 큰 원인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급변하고 있는 국내 폴리에스터 화섬직물 소재업계의 글로벌 오더 수주현황 및 현황을 보더라도 벌크 오더&품질&가격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승화전사 DTP 물량은 급속히 빠져나가고 있다.
물론, 다행스럽게도 이러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서 독자 포지션을 공고히하며, 안정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기업들도 있다.
이들 기업은 제조 기반 완제품을 수출하는 기업 또는 내수기반 완제품 및 브랜드 기업과 공고한 밸류-체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동업종 내 궤도이탈 기업들의 오더까지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업계에서는 단순 임가공 중심의 폴리에스터·승화전사 기업들의 경우, 불특정 다수 기업을 대상으로 한 벌크 오더 수행은 빠르게 사라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화된 소재개발 및 완제품·브랜드·수출기업과 공고한 라인-업과 공급망을 확보한 기업, 온라인 플랫폼 구축으로 B2B, B2C 시장에서 안정적 환경을 구축한 기업들 중심으로 제2의 구조재편이 예견된다는 점이다.
궁극적으로 폴리에스터 DTP 승화전사 시장의 구조재편과 정예화에 이은 후속 변화에도 밀착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DTP 승화전사의 글로벌 입지 또한 특정 시점을 거치며, 결국은 가격경쟁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만큼, 소재의 변화와 생산라인의 변화를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면, 나일론, PLA, 폴리프로필렌(PP), 고강력 PE 등을 주요 소재로 특수용도 분야 타깃의 전환을 통해 비가격경쟁 요소 확보가 가능한 신수요시장 진출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분산 잉크 DTP 승화전사에서 반응성 및 산성 잉크, 안료(피그먼트) 기반의 전환을 위해서는 소재에 직분사하는 방식인 DTF(Direct to Fabric) 설비의 신규 채택과 함께, 다양한 기능성 소재의 특성과 완제품 요구물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비용이 뒤따라야 한다.
무엇보다 글로벌 친환경·지속가능성을 키워드로 급변하고 있는 천연소재와 리사이클소재 등 수요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DTP 프린트 기재(원단)의 변화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DTP 생산라인의 변화에도 기민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산 및 글로벌 DTP 장비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대리점(에이전트)들 또한 고속 DTP 승화전사로 전환에 이은 다이렉트 DTP로 방향 전환이 가시화될 경우, 입지 변화가 잇따를 전망이다.
또, 향후 DTP 시장은 동종산업군 내 흐름과 DTP 장비 공급기업들의 마케팅 의존에서 벗어나 개별기업 스스로의 고유한 영역 선점과 특화된 밸류-체인이 확보된 기업을 중심으로 더욱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DTP 장비, 잉크, 전사지 등 누구든 확보할 수 있는 범용 요소가 아닌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 소재를 바탕으로 전·후처리기술 기반의 융·복합 공정기술 개발 등 차별화 요소를 확보하는 게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김진일 기자>
http://www.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hot_news&wr_id=8467http://www.smarttexcrew.com
한국섬유경제
대구섬유박물관, 점자리... 대구섬유박물관, 점자리플릿, 수어해설 영상 갖춰문화 소...
www.ktenews.co.kr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세컨드 아르무아', 2월 4일, 2024 F/W 서울패션위크 무대 (1) | 2024.01.24 |
---|---|
스와치(SWATCH), 자연의 힘 담은 ‘파워 오브 네이처’ 컬렉션 (1) | 2024.01.22 |
SFI - 서울컬렉션 참가 디자이너에 ‘컬렉션이 환경과 어떻게 양립하는지 밝혀달라’ 공개요청 (0) | 2024.01.16 |
슈즈테크 기업 ‘크리스틴컴퍼니’, CES 2024 참가스마트 신발제조 솔루션 ‘신플(SINPLE)’ 선 봬 (1) | 2024.01.03 |
한국섬유스마트공정연구원(PROI) 클러스터형 스마트공방 사업 선정 (0)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