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섬유패션산업 활성화에 174억원 지원
’23년 섬유패션산업 활성화 기반마련 사업 공고
디지털․친환경 전환과 전체 공정 경쟁력 강화 지원
사업명 | 과제명 | 지원 규모 (백만원) |
비 고 |
섬유패션 빅데이터 구축 |
❶ 섬유패션 빅데이터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 1,060 | 공고 (RFP 1) |
글로벌 브랜드 육성 및 기반 조성 |
❶ 글로벌 브랜드 육성 | 3,000 | 공고 (RFP 2-1) |
❷ O2O 글로벌 텍스타일 마케팅지원 | 500 | 공고 (RFP 2-2) |
|
❸ 디지털 선도 프로젝트 사업단 구성 및 시범사업 지원 | 500 | 지정 ((한국섬유산업연합회) |
|
❹ K-패션 온라인 유통망 구축(모바일) | 550 | 지정 (대경섬유직물공업협동조합) |
|
K-패션 디지털 플랫폼 구축 | 550 | 지정 (한국섬유산업연합회) |
|
프리미엄 소재 개발 및 마케팅 지원 |
❶ 디지털 텍스타일 공정기술 지원 | 700 | 공고 (RFP 3-1) |
❷ 친환경 제조공정을 갖춘 그린&클린팩토리 전환 지원 |
500 | 공고 (RFP 3-2) |
|
❸ 고부가가치 섬유소재 시제품 제작 및 수출지원 | 4,240 | 지정 (한국섬유수출입협회) |
|
생활용 섬유제품 역량 강화 |
❶ 생활용 섬유제품 역량강화 | 1,700 | 지정 (대경섬유산업연합회) |
일자리 창출ㆍ 창업 지원 및 현장 애로 지원 |
❶ 섬유패션 수요기업 맞춤형 인력양성 | 750 | 공고 (RFP 5-1) |
❷ 고부가 의류제조 산업 활성화 및 기반조성 | 1,388 | 공고 (RFP 5-2) |
|
❸ ICT 기반 의류제조사업 혁신공정 구축 및 활용 | 700 | 지정 (KT) |
|
디지털 기반 신속 신발제조지원시스템 구축 | 디지털 기반 신속 신발제조지원 시스템 구축 |
1,000 | 공고 (RFP 6) |
방적산업 제조공정 기반강화 | 방적산업 제조공정 기반강화 | 300 | 공고 (RFP 7)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섬유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 지원을 위해 ’23년도 174억원 규모의 섬유패션산업 활성화 기반마련 사업을 공고했다.
금년 사업은 패션테크 시장 선점 및 디지털 전환, 제조현장의 친환경화, 원사부터 의류까지 전체 공정의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신규 과제 2개(13억원)을 포함해 총 15개 과제를 지원하게 된다.
섬유패션산업은 건실한 수출과 일자리 창출로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견인한 기간산업*이며, 원사부터 의류까지 전체 공정이 지역별로 제조기반**을 보유하고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핵심산업이다.
* (사업체 수) 4.7만개, (생산액) 37조원, (종사자 수) 25만명, (수출) ‘22년 123억불
** (경기) 니트・염색가공, (대구) 직물・염색가공, (부산) 신발・의류, (경남) 실크, (전북) 산업용 섬유 등
< 섬유산업의 공정 >
그러나,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해외 이전 증가에 따른 생산기반 약화, 10인 미만 중소기업의 높은 비중(90% 이상) 등으로 디지털․친환경 전환이라는 메가 트렌드 대응과 고부가 생태계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섬유패션의 디지털 전환 전략(’22.2), 친환경․저탄소화 전략(’22.8)을 수립하고,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섬유패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올해 사업의 중점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패션테크 시장 선점 및 디지털 전환 지원
ㅇ 메타패션 콘텐츠 제작 등 메타패션을 활성화*하고, 창작․교육 등 제작환경을 조성하는 ‘메타패션 플레이그라운드’ 구축도 추진한다.
ㅇ 가상 피팅, 사이즈 추천, 주문․생산․판매 등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
* 실물의류를 가상의류로 만들어 업로드 후 3D 아바타에 착장 등(모바일) 사이즈 매칭 및 디지털 원단의 3D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활용 등(온라인)
ㅇ 중소 섬유소재 기업이 구비하기 어려운 3D 스캐닝 장비․프로그램의 공동활용과 섬유소재 물성․감성의 디지털화를 지원하기 위해 「텍스타일 디지털화 지원센터」(Ktextile Lab)* 운영을 지원한다.
* 3D 텍스타일 스캐닝 장비(VIZOO, Adobe Substance), 3D 패턴 디자인 툴(Wacorn), 물성 측정장비(Fabric Kit, TSA), 3D 디자인 프로그램(CLO Virtual, xTex, Adobe 3D Sampler) 등 보유
ㅇ 패스트 패션 경향으로 개발빈도는 높으나 개발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신발의 신속한 제작 지원을 위해 디자인 설계․3D 프린팅․발 치수 제공 등 시스템 구축과 시제품 제작을 신규로 지원한다.
제조현장의 친환경화 지원
ㅇ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해 염색 등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과 에너지 저감시설*을 10개사 이상 설치하고, 국내외 환경규제 법규의 이행 진단․컨설팅․인증을 지원한다.
* (예) 폐수 열교환기, 대기오염방지시설, 염색공정 조제 자동공급장치 등
원사부터 의류까지 전체 공정의 경쟁력 강화 지원
ㅇ (원사) 업-미들 스트림간 원사 공급 안정화와 국내 제조기반 유지․강화를 위해 방적 공정*별 핵심 부품 정보의 DB 구축과 기업 간 연계를 신규로 지원한다.
* 짧은 섬유를 긴 실로 만들어 원단과 브랜드 기업에 공급하는 방적공정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면서 교체 주기가 다양해 방적기업 간 재고 보유량 등 정보공유 필요
ㅇ (섬유소재) 부가가치가 높고 수출이 유망한 기능성․친환경* 등 섬유소재의 시제품 제작을 100개사 이상 지원하고 기술컨설팅․성능평가․수주 상담회 등을 통해 사업화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 기능성 섬유소재 : 항균․보호 소재, 고내구성 소재 등 / 친환경 섬유소재 : 재활용 섬유․유기농 소재 등 친환경 원료 사용 소재, 화학약제 사용량이 적은 친환경 공정 소재 등
ㅇ (봉제․의류) 낮은 브랜드 인지도 등으로 국내외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화를 위해 유망 브랜드 발굴․사업화․글로벌화를 성장단계별로 지원한다,
- 또한, 전문인력 고령화에 따라 기술 전수를 통한 패턴․샘플 전문가를 300명 이상 양성하고, 무상 재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자동 재단실* 운영을 지원한다.
* CAD/CAM을 활용한 자동 재단 및 패턴 입출력 서비스 제공(동대문패션비즈센터)
※ 세부 공고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업부, 섬유패션산업 활성화에 174억원 지원 > WEEKLY NEWS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재)경북TP, 제조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업지원 사업 추진 (0) | 2023.03.28 |
---|---|
ECO융합섬유연구원,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업무협약 체결 (0) | 2023.03.27 |
경북테크노파크, 2023년 ‘5단 2실 1센터’로 개편, 전문성 강화 (0) | 2023.01.21 |
경북테크노파크 - 민주당 ‘총체적 관리부실’ 지적에 적극 해명 (0) | 2023.01.21 |
다이텍연구원, ‘서구 제일 종합 사회복지관’에 기부금 전달 (0) | 2023.01.16 |